의료공백 속 비대면 진료 증가…“10주간 38만여 건”

입력 2024.05.24 (21:07) 수정 2024.05.24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공의 사직이 잇따른 지난 2월, 정부는 모든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했습니다.

코로나19 때 이미 한차례 검증을 거친 비대면 진료는 지난 두달 반 동안 38만 건 이상 이뤄지면서 새로운 원격진료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주현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공의 만여 명이 잇따라 사직한 지난 2월.

정부는 환자들이 동네 병·의원 등으로 몰릴 것에 대비해,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월 중대본 회의 :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하여 국민들께서 일반 진료를 더 편하게 받으실 수 있도록."]

지난 10주간 이뤄진 비대면 진료는 38만 5천여 건.

전면 허용 전인 직전 1월과 비교하면, 하루 평균 약 1천 건씩 더 늘어난 셈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나 기관지염, 알레르기비염 같은 경증 환자들이 많았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비대면 진료 확대가) 경증 외래 환자를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외래 부담의 완화로 중증·응급 환자 진료에 역량을 집중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판단…."]

정부는 비상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고, 대안으로 준비했던 '외국인 의사'도 당장은 투입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다만, 비대면이나 상급종합병원 진료 모두 여의치 않은 중등증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갈 곳이 더 줄었습니다.

[안기종/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 "중등도 환자들이 사실은 치료가 좀 연기되고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거든요. 다른 병원으로 이제 전원하고 바로 전원이 안 되니까 또 응급실도 가게 되고…."]

응급실 내원 환자가 늘기 시작한 가운데, 정부는 응급실 과부하를 막기 위해 중증도별 환자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 편집:유지영/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료공백 속 비대면 진료 증가…“10주간 38만여 건”
    • 입력 2024-05-24 21:07:16
    • 수정2024-05-24 22:09:10
    뉴스 9
[앵커]

전공의 사직이 잇따른 지난 2월, 정부는 모든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했습니다.

코로나19 때 이미 한차례 검증을 거친 비대면 진료는 지난 두달 반 동안 38만 건 이상 이뤄지면서 새로운 원격진료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주현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공의 만여 명이 잇따라 사직한 지난 2월.

정부는 환자들이 동네 병·의원 등으로 몰릴 것에 대비해,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월 중대본 회의 :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하여 국민들께서 일반 진료를 더 편하게 받으실 수 있도록."]

지난 10주간 이뤄진 비대면 진료는 38만 5천여 건.

전면 허용 전인 직전 1월과 비교하면, 하루 평균 약 1천 건씩 더 늘어난 셈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나 기관지염, 알레르기비염 같은 경증 환자들이 많았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비대면 진료 확대가) 경증 외래 환자를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외래 부담의 완화로 중증·응급 환자 진료에 역량을 집중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판단…."]

정부는 비상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고, 대안으로 준비했던 '외국인 의사'도 당장은 투입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다만, 비대면이나 상급종합병원 진료 모두 여의치 않은 중등증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갈 곳이 더 줄었습니다.

[안기종/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 "중등도 환자들이 사실은 치료가 좀 연기되고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거든요. 다른 병원으로 이제 전원하고 바로 전원이 안 되니까 또 응급실도 가게 되고…."]

응급실 내원 환자가 늘기 시작한 가운데, 정부는 응급실 과부하를 막기 위해 중증도별 환자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영상 편집:유지영/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