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전기차 화재…진화장비 확충 시급

입력 2024.05.25 (21:24) 수정 2024.05.27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기차는 불이 나면 불을 끄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수조에 담궈서 끄는 게 아주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런 진화용 수조가 많이 부족합니다.

어느 광역시는 등록된 전기차만 4만 대가 넘는데 진화용 수조는 딱 한 개뿐입니다.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에 세운 전기차에서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치솟습니다.

소방관들이 쉴 새 없이 물을 뿌리지만 불은 쉽사리 잡히지 않습니다.

등록 대수 대비 화재 발생 비율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비슷하지만, 진화는 전기차가 훨씬 어렵습니다.

전기차는 배터리가 젖는 걸 막기 위해 방수 처리를 해놓는데다, 국내 전기차에 주로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화재 시 몇 분 안에 1,000도 가까이 열이 올라가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양국/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 "전해질이 이제 원료고, 양극재에서 산소가 나오죠. 리튬을 먹여 놓은 음극 탄소재료에도 불이 잘 붙거든요. 이런 것들이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확 나는 거죠."]

이 때문에 최근엔 불이 난 전기차에 공기 차단용 덮개를 씌운 뒤 주변에 수조를 설치해 침수시키는 진화법이 도입됐습니다.

하지만 전국 소방서에 보급된 진화용 수조는 아직 2백여 개에 그칩니다.

전기차 4만 3천 대가 등록된 인천엔 단 한 개 배치됐습니다.

이마저도 수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이나 대형 차량 화재에서는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다양한 진화 장비를 개발할 필요가 있고, 표준화 규정을 만들어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도 필요합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관련 화재는 2018년 3건에서 지난해 72건까지 늘어나는 등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늘어나는 전기차 화재…진화장비 확충 시급
    • 입력 2024-05-25 21:24:04
    • 수정2024-05-27 08:04:00
    뉴스 9
[앵커]

전기차는 불이 나면 불을 끄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수조에 담궈서 끄는 게 아주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런 진화용 수조가 많이 부족합니다.

어느 광역시는 등록된 전기차만 4만 대가 넘는데 진화용 수조는 딱 한 개뿐입니다.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에 세운 전기차에서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치솟습니다.

소방관들이 쉴 새 없이 물을 뿌리지만 불은 쉽사리 잡히지 않습니다.

등록 대수 대비 화재 발생 비율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비슷하지만, 진화는 전기차가 훨씬 어렵습니다.

전기차는 배터리가 젖는 걸 막기 위해 방수 처리를 해놓는데다, 국내 전기차에 주로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화재 시 몇 분 안에 1,000도 가까이 열이 올라가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양국/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 "전해질이 이제 원료고, 양극재에서 산소가 나오죠. 리튬을 먹여 놓은 음극 탄소재료에도 불이 잘 붙거든요. 이런 것들이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확 나는 거죠."]

이 때문에 최근엔 불이 난 전기차에 공기 차단용 덮개를 씌운 뒤 주변에 수조를 설치해 침수시키는 진화법이 도입됐습니다.

하지만 전국 소방서에 보급된 진화용 수조는 아직 2백여 개에 그칩니다.

전기차 4만 3천 대가 등록된 인천엔 단 한 개 배치됐습니다.

이마저도 수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이나 대형 차량 화재에서는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다양한 진화 장비를 개발할 필요가 있고, 표준화 규정을 만들어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도 필요합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관련 화재는 2018년 3건에서 지난해 72건까지 늘어나는 등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