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비에 소송비용까지 모두 소비자몫…‘도현이법’은 폐기수순

입력 2024.05.27 (21:34) 수정 2024.05.27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의 이번 재연 실험은 운전자 측에서 직접 비용을 내고 진행했습니다.

급발진 의심 사고의 경우 원인을 입증할 책임이 운전자, 즉 소비자에게 있어서 소비자 부담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예린 기잡니다.

[리포트]

브레이크를 밟은 채 천천히 후진하는 차량.

갑자기 뒤차를 들이받더니, 앞으로 달려나가 다른 차들을 잇따라 들이받습니다.

대리주차를 했던 아파트 경비원과 차주는 급발진 사고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블랙 박스 카메라가 명확하게 브레이크를 밟은 게 있었기 때문에…."]

급발진을 증명하지 못하면 파손된 차량 12대에 대한 수리비 2억 원을 차주와 경비원이 함께 떠안아야 합니다.

현행법상 급발진 사고 입증 책임은 소비자인 차주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보험회사가 지금 (구상권) 청구가 들어오면 저나 운전하신 경비 아저씨가 그걸 부담하기에는 현재로서는 상당한 고통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서는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도, 제도도 없습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급발진의 의심이 상당한데도 불구하고 국가로부터 전혀 어떤 상담이나 보호나 절차나 이런 거를 받을 수 없다는 게…."]

언제 결론이 날지 모르는 소송 역시, 비용을 생각하면 선뜻 나서기 어렵습니다.

[박순장/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처장 : "자동차 급발진이라는 것은 자동차의 정교한 부품 거기에 전기·전자, 이런 입증은 하기가 곤란하죠. 정밀 검사비가 한두 푼이 들겠어요? 차량 가격에 버금가는 돈이 들겠죠."]

차량 결함 여부를 입증할 책임을 소비자가 아닌 제조사에 묻도록 하는 일명 '도현이법'이 해법으로 제시됐지만, 21대 국회에서 처리가 어려워 폐기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한효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리비에 소송비용까지 모두 소비자몫…‘도현이법’은 폐기수순
    • 입력 2024-05-27 21:34:17
    • 수정2024-05-27 22:05:45
    뉴스 9
[앵커]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의 이번 재연 실험은 운전자 측에서 직접 비용을 내고 진행했습니다.

급발진 의심 사고의 경우 원인을 입증할 책임이 운전자, 즉 소비자에게 있어서 소비자 부담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예린 기잡니다.

[리포트]

브레이크를 밟은 채 천천히 후진하는 차량.

갑자기 뒤차를 들이받더니, 앞으로 달려나가 다른 차들을 잇따라 들이받습니다.

대리주차를 했던 아파트 경비원과 차주는 급발진 사고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블랙 박스 카메라가 명확하게 브레이크를 밟은 게 있었기 때문에…."]

급발진을 증명하지 못하면 파손된 차량 12대에 대한 수리비 2억 원을 차주와 경비원이 함께 떠안아야 합니다.

현행법상 급발진 사고 입증 책임은 소비자인 차주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보험회사가 지금 (구상권) 청구가 들어오면 저나 운전하신 경비 아저씨가 그걸 부담하기에는 현재로서는 상당한 고통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서는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도, 제도도 없습니다.

[이○○/사고 차량 주인 : "급발진의 의심이 상당한데도 불구하고 국가로부터 전혀 어떤 상담이나 보호나 절차나 이런 거를 받을 수 없다는 게…."]

언제 결론이 날지 모르는 소송 역시, 비용을 생각하면 선뜻 나서기 어렵습니다.

[박순장/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처장 : "자동차 급발진이라는 것은 자동차의 정교한 부품 거기에 전기·전자, 이런 입증은 하기가 곤란하죠. 정밀 검사비가 한두 푼이 들겠어요? 차량 가격에 버금가는 돈이 들겠죠."]

차량 결함 여부를 입증할 책임을 소비자가 아닌 제조사에 묻도록 하는 일명 '도현이법'이 해법으로 제시됐지만, 21대 국회에서 처리가 어려워 폐기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한효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