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1단 비행 중 폭발”

입력 2024.05.28 (06:02) 수정 2024.05.28 (06: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 어젯밤, 예고한대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발사 1시간 30분 만에, 신형 로켓이 1단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했다며, 빠르게 발사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젯밤 10시 44분쯤,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 방향으로 발사한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항적을 포착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습니다.

이 발사체는 약 2분 뒤인 10시 46분쯤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됐다며, 공중 폭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합참은 전했습니다.

합참은 우리 감시 장비로 촬영한 폭발 장면도 이례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서북도서 지역의 우리 경비함정에서 촬영한 영상인데, 발사체가 군 카메라에 포착된 지 30초 만에 화염에 휩싸이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북한도 발사 1시간 반 만인 오늘 새벽 0시 반쯤,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확인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 위성 운반 로켓에 탑재해 어제(27일) 발사했지만, 1단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신은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와 석유 엔진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며,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이 사고 원인들도 심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북한은 어제 새벽 일본 정부에, 어제부터 다음달 4일 사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에 발사 시기를 맞추느라 신형 엔진의 신뢰성이 완벽하게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발사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발사에는 러시아 기술진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발사가 실패해 검증은 어렵게 됐습니다.

북한은 추가 발사 일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국가안보실은 어젯밤 11시 40분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 등을 점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건 성공 여부와 관계 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사회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라고 규탄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제공:합동참모본부/영상편집:송화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1단 비행 중 폭발”
    • 입력 2024-05-28 06:02:22
    • 수정2024-05-28 06:19:52
    뉴스광장 1부
[앵커]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 어젯밤, 예고한대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발사 1시간 30분 만에, 신형 로켓이 1단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했다며, 빠르게 발사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젯밤 10시 44분쯤,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 방향으로 발사한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항적을 포착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습니다.

이 발사체는 약 2분 뒤인 10시 46분쯤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됐다며, 공중 폭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합참은 전했습니다.

합참은 우리 감시 장비로 촬영한 폭발 장면도 이례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서북도서 지역의 우리 경비함정에서 촬영한 영상인데, 발사체가 군 카메라에 포착된 지 30초 만에 화염에 휩싸이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북한도 발사 1시간 반 만인 오늘 새벽 0시 반쯤,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확인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 위성 운반 로켓에 탑재해 어제(27일) 발사했지만, 1단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신은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와 석유 엔진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며,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이 사고 원인들도 심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북한은 어제 새벽 일본 정부에, 어제부터 다음달 4일 사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에 발사 시기를 맞추느라 신형 엔진의 신뢰성이 완벽하게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발사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발사에는 러시아 기술진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발사가 실패해 검증은 어렵게 됐습니다.

북한은 추가 발사 일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국가안보실은 어젯밤 11시 40분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 등을 점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건 성공 여부와 관계 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사회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라고 규탄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제공:합동참모본부/영상편집:송화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