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 맡겨달라”…초저출생 서울, 학생 등교 돕는다

입력 2024.06.12 (08:00) 수정 2024.06.12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맞벌이 부부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데에는 많은 수고와 노력이 들어가죠.

특히 이른 아침마다 아이들 등교시키랴, 출근하랴, 부모들은 애를 먹는데, 이런 아침 돌봄 공백을 채워주는 서비스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민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아침 7시 50분.

회사원 호성희 씨가 초등학생 자녀 둘과 출근 전 들르는 곳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도착하자마자 아이들은 아침으로 시리얼을 챙겨 먹고, 책 읽기와 게임을 즐깁니다.

못다 한 등교 준비는 선생님이 도와 주고, 학부모는 부담 없이 회사로 향합니다.

[호성희/초등학생 학부모 : "등교하기 이전에 저희가 출근해야 할 때가 있었거든요. 시간 맞추기 좀 어려워서 많이 걱정됐었거든요. 지금 같은 경우에는 그런 부담도 줄고..."]

["챙겼어? (네, 가방 안에 있어요.)"]

8시 30분, 학교 갈 시간이 되자 아이들이 짐을 챙깁니다.

건널목을 건너며 10분 거리 등굣길을 선생님이 함께합니다.

서울시의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지난 4월부터 서울 시내 10곳에서 무료로 시범 운영했는데, 두 달 만에 천 명 넘게 이용했습니다.

[박희원/서울시 아이돌봄담당관 : "아침 시간에 돌봄 공백이 부모님들의 큰 고민이었습니다. 흔히 자녀가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게 되면 맞벌이 부부 중에 한 명은 꼭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시기가 옵니다."]

이런 경력 단절이 저출산에도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확한 수요 조사 등으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어느 지역에서 그런 니즈(수요)가 더 많은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좀 더 면밀하게 분석을 해 보고 계속 이제 확장을 할 건지..."]

서울시는 아침 돌봄 서비스를 내년 2백여 곳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정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근길에 맡겨달라”…초저출생 서울, 학생 등교 돕는다
    • 입력 2024-06-12 08:00:27
    • 수정2024-06-12 08:03:53
    뉴스광장
[앵커]

맞벌이 부부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데에는 많은 수고와 노력이 들어가죠.

특히 이른 아침마다 아이들 등교시키랴, 출근하랴, 부모들은 애를 먹는데, 이런 아침 돌봄 공백을 채워주는 서비스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민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아침 7시 50분.

회사원 호성희 씨가 초등학생 자녀 둘과 출근 전 들르는 곳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도착하자마자 아이들은 아침으로 시리얼을 챙겨 먹고, 책 읽기와 게임을 즐깁니다.

못다 한 등교 준비는 선생님이 도와 주고, 학부모는 부담 없이 회사로 향합니다.

[호성희/초등학생 학부모 : "등교하기 이전에 저희가 출근해야 할 때가 있었거든요. 시간 맞추기 좀 어려워서 많이 걱정됐었거든요. 지금 같은 경우에는 그런 부담도 줄고..."]

["챙겼어? (네, 가방 안에 있어요.)"]

8시 30분, 학교 갈 시간이 되자 아이들이 짐을 챙깁니다.

건널목을 건너며 10분 거리 등굣길을 선생님이 함께합니다.

서울시의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지난 4월부터 서울 시내 10곳에서 무료로 시범 운영했는데, 두 달 만에 천 명 넘게 이용했습니다.

[박희원/서울시 아이돌봄담당관 : "아침 시간에 돌봄 공백이 부모님들의 큰 고민이었습니다. 흔히 자녀가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게 되면 맞벌이 부부 중에 한 명은 꼭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시기가 옵니다."]

이런 경력 단절이 저출산에도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확한 수요 조사 등으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어느 지역에서 그런 니즈(수요)가 더 많은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좀 더 면밀하게 분석을 해 보고 계속 이제 확장을 할 건지..."]

서울시는 아침 돌봄 서비스를 내년 2백여 곳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정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