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밥 안 먹으면 안 되나”…‘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입력 2024.06.17 (07:38) 수정 2024.06.17 (07: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키워드, '축의금'입니다.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 민폐가 아닐지 고민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최근 축의금 논쟁에 다시 불이 붙었습니다.

지난해 말 한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결혼식장 밥값과 축의금을 다루고 있는데요.

"결혼이라는 게 하객들에게 감사함을 표하는 자리인데, 어느 순간부터 상대에게 비용을 떠넘기고 있더라"며 축의금 문화가 변질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차라리 밥을 안 주면 안 되나' 라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식장에서 스테이크를 썰어야 할 이유는 없지 않냐"며 "간단한 다과 정도만 제공해도 괜찮지 않으냐"고 제안했습니다.

이 영상은 최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졌고,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는데요.

반면 지나치게 비싼 값을 매기는 웨딩 업계가 문제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습니다.

서울 지역 결혼식장의 평균 식대는 8만 원 안팎으로, 아직 통상적인 축의금 액수인 5만 원을 웃돕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결혼식 밥 안 먹으면 안 되나”…‘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 입력 2024-06-17 07:38:16
    • 수정2024-06-17 07:42:02
    뉴스광장
다음 키워드, '축의금'입니다.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 민폐가 아닐지 고민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최근 축의금 논쟁에 다시 불이 붙었습니다.

지난해 말 한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결혼식장 밥값과 축의금을 다루고 있는데요.

"결혼이라는 게 하객들에게 감사함을 표하는 자리인데, 어느 순간부터 상대에게 비용을 떠넘기고 있더라"며 축의금 문화가 변질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차라리 밥을 안 주면 안 되나' 라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식장에서 스테이크를 썰어야 할 이유는 없지 않냐"며 "간단한 다과 정도만 제공해도 괜찮지 않으냐"고 제안했습니다.

이 영상은 최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졌고,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는데요.

반면 지나치게 비싼 값을 매기는 웨딩 업계가 문제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습니다.

서울 지역 결혼식장의 평균 식대는 8만 원 안팎으로, 아직 통상적인 축의금 액수인 5만 원을 웃돕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