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베트남 국빈 방문…아시아까지 세력 확대?

입력 2024.06.20 (19:06) 수정 2024.06.20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방문을 사실상 '당일치기'로 마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곧바로 베트남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이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은 어제부터였지만, 이번에도 늦었습니다.

공식 환영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됐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은 포옹으로 유대감을 과시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 뒤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서로의 적대국과는 동맹과 조약을 맺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은 또 2012년 맺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확인하고, 무역과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베트남의 원자력 산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우리는 광범위한 회담 의제를 가지고 있으며, 양국 관계의 모든 분야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베트남은 과거 공산주의 이념을 공유한 러시아의 전통적 우방국.

하지만 중국과 북한에 이어 베트남으로 온 건, 국제적 고립 이미지를 벗어나 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넓히려는 시도로도 읽힙니다.

[아니루다 고살/AP통신 기자 : "푸틴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은 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는 고립돼 있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베트남은 지난해 바이든 미 대통령을 초청하는 등 주요 강대국들과 두루 잘 지내며 실리를 쫓는 이른바 '대나무 외교'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여전합니다.

여기에 남중국해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까지, 그래서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시도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푸틴, 베트남 국빈 방문…아시아까지 세력 확대?
    • 입력 2024-06-20 19:06:48
    • 수정2024-06-20 19:47:02
    뉴스 7
[앵커]

북한 방문을 사실상 '당일치기'로 마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곧바로 베트남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이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은 어제부터였지만, 이번에도 늦었습니다.

공식 환영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됐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은 포옹으로 유대감을 과시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 뒤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서로의 적대국과는 동맹과 조약을 맺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은 또 2012년 맺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확인하고, 무역과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베트남의 원자력 산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우리는 광범위한 회담 의제를 가지고 있으며, 양국 관계의 모든 분야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베트남은 과거 공산주의 이념을 공유한 러시아의 전통적 우방국.

하지만 중국과 북한에 이어 베트남으로 온 건, 국제적 고립 이미지를 벗어나 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넓히려는 시도로도 읽힙니다.

[아니루다 고살/AP통신 기자 : "푸틴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은 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는 고립돼 있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베트남은 지난해 바이든 미 대통령을 초청하는 등 주요 강대국들과 두루 잘 지내며 실리를 쫓는 이른바 '대나무 외교'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여전합니다.

여기에 남중국해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까지, 그래서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시도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