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덮친 열대성 폭풍·폭염…“화석연료로 더 심화”

입력 2024.06.21 (21:26) 수정 2024.06.22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미국도 이상 기후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폭염과 폭풍이 동시에 강타하면서 역대급 기온과 강우량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화석연료 사용으로 폭염 정도가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워싱턴 조혜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빠른 속도로 집 앞을 쓸고 내려갑니다.

강풍과 함께 쏟아지는 비로 도로 곳곳이 파손됐습니다.

[미국 텍사스주 주민 : "(비가) 예상했던 것보다 확실히 더 심각하게 내렸어요. 좀 더 대비했어야 했습니다."]

올해 첫 열대성 폭풍 '알베르토'가 북미에 상륙하며 미국 동남부와 멕시코 동북부에서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틀 사이 내린 비가 6월 평균 강우량의 3배에 달했습니다.

같은 시각 미국 동북부와 중서부에서는 약 1억 명이 불볕 더위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캐나다와 가까운 북동부 뉴잉글랜드 지역은 이례적으로 35도 가까이 올랐습니다.

메인주 지역은 약 90년 만에 최고 기온을 경신했습니다.

고온에 철로 이상을 우려해 지하철 열차가 서행했고 곳곳에서 산불이 이어지며 한때 동북부를 잇는 열차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로렌 휴/열차 이용 승객 : "기차가 멈춰서 한두 시간 동안 에어컨도 없이 선로에 갇혀 있었습니다."]

6월 폭염은 강한 고기압 세력이 뜨거운 공기를 지상과 가까운 곳에 가두는 '열돔' 현상 때문입니다.

한 기후변화 연구단체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이 같은 북미 대륙의 폭염이 심화됐다며 안정적인 전력망과 폭염경보 시스템 등이 취약계층에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오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덮친 열대성 폭풍·폭염…“화석연료로 더 심화”
    • 입력 2024-06-21 21:26:07
    • 수정2024-06-22 09:52:14
    뉴스 9
[앵커]

이런 가운데, 미국도 이상 기후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폭염과 폭풍이 동시에 강타하면서 역대급 기온과 강우량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화석연료 사용으로 폭염 정도가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워싱턴 조혜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빠른 속도로 집 앞을 쓸고 내려갑니다.

강풍과 함께 쏟아지는 비로 도로 곳곳이 파손됐습니다.

[미국 텍사스주 주민 : "(비가) 예상했던 것보다 확실히 더 심각하게 내렸어요. 좀 더 대비했어야 했습니다."]

올해 첫 열대성 폭풍 '알베르토'가 북미에 상륙하며 미국 동남부와 멕시코 동북부에서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틀 사이 내린 비가 6월 평균 강우량의 3배에 달했습니다.

같은 시각 미국 동북부와 중서부에서는 약 1억 명이 불볕 더위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캐나다와 가까운 북동부 뉴잉글랜드 지역은 이례적으로 35도 가까이 올랐습니다.

메인주 지역은 약 90년 만에 최고 기온을 경신했습니다.

고온에 철로 이상을 우려해 지하철 열차가 서행했고 곳곳에서 산불이 이어지며 한때 동북부를 잇는 열차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로렌 휴/열차 이용 승객 : "기차가 멈춰서 한두 시간 동안 에어컨도 없이 선로에 갇혀 있었습니다."]

6월 폭염은 강한 고기압 세력이 뜨거운 공기를 지상과 가까운 곳에 가두는 '열돔' 현상 때문입니다.

한 기후변화 연구단체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이 같은 북미 대륙의 폭염이 심화됐다며 안정적인 전력망과 폭염경보 시스템 등이 취약계층에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오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