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옥외대피장소 가봤더니…차량으로 ‘가득’ 잠금 장치로 ‘꽁꽁’ [현장K]

입력 2024.06.21 (21:28) 수정 2024.06.22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주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천2백 건 넘는 피해가 발생했었죠.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건데, 지진 대비는 얼만큼 갖춰졌을까요?

야외 대피소로 지정된 곳들을 신현욱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

[리포트]

지진이 나면 이렇게 넓은 공터로 대피해야 합니다.

유리창이나 간판 같은 낙하물이 없는 공터 만 여 곳이 '지진 옥외대피장소'로 지정돼 있는데요.

잘 관리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지진 옥외대피장소로 지정된 서울의 한 주차장.

백여 대의 차량이 이미 빼곡히 주차돼, 지진이 나면 사람이 얼마나 대피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경기 안산시의 또 다른 주차장.

이미 만차 상태로 옥외대피장소 지정이 무색합니다.

[주차장 관계자/음성변조 : "여기가 제일 심각한 게 주차 관리에요. 주차 너무 할 데가 없어서 (지진 나면) 사람보다 차가 더 극성부릴 거예요."]

차량이 표지판을 아예 가로막고 있어 대피소인지도 알기 어렵습니다.

[인근 상인/음성변조 : "지진대피소 있는 건 몰랐어요. 불편할 거 같기도 하고, 위험할 거 같기도 하고 차가 왔다 갔다 하잖아요."]

그렇다면 심야 시간엔 어떨까?

대피소로 지정된 한 초등학교입니다.

밤이 되자 정문이 이렇게 닫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교 시간 이후엔 운동장을 아예 닫은 겁니다.

또 다른 초등학교도 밤 9시가 넘자, 정문을 자물쇠로 걸어 잠금니다.

대피소로 지정된 학교는 지진이 나면 숙직자가 문을 열어주도록 하고 있지만, 주민 불안은 여전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숙직자가) 정문을 열고 또 후문까지 뛰어가서 연다고 할 때 오래 걸리실 수도 있고, 학교 내부에서 다치셔가지고 나오지 못할 수도 있는데…."]

대피소를 우후죽순 늘려가기보단, 제 역할을 하도록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정에 어떻게 보면 방점이 있었다면, 앞으로는 대피소가 정말 기능을 하고 안전하게끔…."]

지진 옥외대피장소는 서울에만 천 5백여 곳,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학교 운동장입니다.

현장 K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김현민/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진 옥외대피장소 가봤더니…차량으로 ‘가득’ 잠금 장치로 ‘꽁꽁’ [현장K]
    • 입력 2024-06-21 21:28:25
    • 수정2024-06-22 09:52:34
    뉴스 9
[앵커]

지난 주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천2백 건 넘는 피해가 발생했었죠.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건데, 지진 대비는 얼만큼 갖춰졌을까요?

야외 대피소로 지정된 곳들을 신현욱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

[리포트]

지진이 나면 이렇게 넓은 공터로 대피해야 합니다.

유리창이나 간판 같은 낙하물이 없는 공터 만 여 곳이 '지진 옥외대피장소'로 지정돼 있는데요.

잘 관리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지진 옥외대피장소로 지정된 서울의 한 주차장.

백여 대의 차량이 이미 빼곡히 주차돼, 지진이 나면 사람이 얼마나 대피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경기 안산시의 또 다른 주차장.

이미 만차 상태로 옥외대피장소 지정이 무색합니다.

[주차장 관계자/음성변조 : "여기가 제일 심각한 게 주차 관리에요. 주차 너무 할 데가 없어서 (지진 나면) 사람보다 차가 더 극성부릴 거예요."]

차량이 표지판을 아예 가로막고 있어 대피소인지도 알기 어렵습니다.

[인근 상인/음성변조 : "지진대피소 있는 건 몰랐어요. 불편할 거 같기도 하고, 위험할 거 같기도 하고 차가 왔다 갔다 하잖아요."]

그렇다면 심야 시간엔 어떨까?

대피소로 지정된 한 초등학교입니다.

밤이 되자 정문이 이렇게 닫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교 시간 이후엔 운동장을 아예 닫은 겁니다.

또 다른 초등학교도 밤 9시가 넘자, 정문을 자물쇠로 걸어 잠금니다.

대피소로 지정된 학교는 지진이 나면 숙직자가 문을 열어주도록 하고 있지만, 주민 불안은 여전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숙직자가) 정문을 열고 또 후문까지 뛰어가서 연다고 할 때 오래 걸리실 수도 있고, 학교 내부에서 다치셔가지고 나오지 못할 수도 있는데…."]

대피소를 우후죽순 늘려가기보단, 제 역할을 하도록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정에 어떻게 보면 방점이 있었다면, 앞으로는 대피소가 정말 기능을 하고 안전하게끔…."]

지진 옥외대피장소는 서울에만 천 5백여 곳,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학교 운동장입니다.

현장 K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김현민/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