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외무차관, 한국에 “대결적 정책 재검토해야”

입력 2024.06.27 (06:07) 수정 2024.06.27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주 북한과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은 러시아가 우리 정부에 대결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보내면 양국 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거라고 거듭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임세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외무부는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차관이 이도훈 한국대사를 만났다며 면담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루덴코 차관은 한국 정부가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립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립적 정책 대신, 동북아시아에서 평화와 안정, 화해를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길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고, 러시아 외무부는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과 러시아가 수십 년간 쌓아온 건설적 협력의 산물이 파괴된 것은 한국의 현재 지도부 탓이라고, 러시아측은 주장했습니다.

한국 정부 고위 인사들의 반 러시아적 발언도 허용할 수 없다고 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할 수 있다는 대통령실 발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장호진/국가안보실장/20일 :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입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의 자하로바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한러 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무기 제공은 매우 큰 실수가 될거라는 푸틴 대통령 발언의 연장선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20일 : "저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러시아도 적절한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또, 한국 정부를 향해 미국에 대한 광적인 의존에서 벗어나고 미국의 속국이 되기를 멈추라고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 외무차관, 한국에 “대결적 정책 재검토해야”
    • 입력 2024-06-27 06:07:19
    • 수정2024-06-27 10:01:15
    뉴스광장 1부
[앵커]

지난주 북한과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은 러시아가 우리 정부에 대결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보내면 양국 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거라고 거듭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임세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외무부는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차관이 이도훈 한국대사를 만났다며 면담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루덴코 차관은 한국 정부가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립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립적 정책 대신, 동북아시아에서 평화와 안정, 화해를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길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고, 러시아 외무부는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과 러시아가 수십 년간 쌓아온 건설적 협력의 산물이 파괴된 것은 한국의 현재 지도부 탓이라고, 러시아측은 주장했습니다.

한국 정부 고위 인사들의 반 러시아적 발언도 허용할 수 없다고 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할 수 있다는 대통령실 발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장호진/국가안보실장/20일 :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입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의 자하로바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한러 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무기 제공은 매우 큰 실수가 될거라는 푸틴 대통령 발언의 연장선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20일 : "저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러시아도 적절한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또, 한국 정부를 향해 미국에 대한 광적인 의존에서 벗어나고 미국의 속국이 되기를 멈추라고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