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가 사라진다…‘뜨거운 바다’ 관측일 30배↑ [친절한 뉴스K]

입력 2024.07.01 (12:40) 수정 2024.07.01 (13: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어장에서 오징어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바다가 따뜻해지면서 어장에서 어종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건데요.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친절한 뉴스에서 전해드립니다.

김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몇 년 사이 오징어 어획량이 줄고 있습니다.

가격도 오르고 찾기도 어려워지면서 금처럼 귀하다는 뜻의 이른바 '금징어'라는 말까지 나왔는데요.

울릉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동해안의 오징어 어획량은 2010년대 들어 급격히 줄었는데, 올해는 더 심각합니다.

올해 1분기 강원과 경북 지역의 오징어 위판량은 약 700톤으로, 5년 전 9천여 톤보다 93%가량 줄었습니다.

이제는 '노징어', '없징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밤새 오징어잡이에 나섰던 배들이 항구로 속속 들어오고 상인들이 모여듭니다.

[경매인 : "(8만 5,100원.) 이야, 최고 기록이다."]

최고 낙찰가에도 선장의 표정은 어둡습니다.

오징어 어획량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박윤상/삼성호 선장 : "울릉도 어민들 이러면 굶어 죽으니까 다른 대책을 마련해줘야 해요."]

[울릉도 어민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바닷물 온도 상승입니다.

오징어 어장은 따뜻한 해류와 차가운 해류가 섞이는 곳에 발달하는데 동해 수온이 오르면서 어장이 북한 쪽으로 올라가 버렸습니다.

실제로 바다 표면의 온도가 25도 이상인 고수온 관측일은 동해에서 지난 60년간 30배나 증가했습니다.

어종들의 먹이 생태계 역시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김윤배/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대장 : "동해 바다가 굉장히 아열대화가 되고 있으니까 오징어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이런 여러 가지 생태계 먹이망들이 점차 과거에 비해서 좋지 않은 조건으로 가고 있다…."]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지만, 기후변화를 막지 못하는 한 뾰족한 대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해엔 88년 만에 9월 열대야가 나타나는 등 더위가 길게 이어졌습니다.

바다도 뜨거웠는데요.

고수온 특보는 57일간 지속됐고, 특보 해제는 전년도와 비교하면 2주가량 늦어졌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17.5℃로 최근 10년 중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고수온 현상은 양식 생물의 대량 폐사를 불러왔습니다.

특히 한대성 어종인 조피볼락류의 피해가 컸습니다.

적정 사육 수온인 18~22℃를 크게 넘어서는 28℃ 안팎의 수온이 9월까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서해를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넙치나 전복 등도 대량으로 폐사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양식 생물의 피해 규모는 3천 6백여만 마리, 피해액은 438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고수온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세계기상기구는 지난해 전 세계 해수면 온도가 4월부터 연말까지 매일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지구 기온과 해수면 온도는 올해도 최고치를 경신해가고 있습니다.

온난화를 부추기는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는다면 이상 고온과 고수온 현상은 더 심해지고 잦아질 거란 경고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세희입니다.

영상편집:강지은/그래픽:민세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징어가 사라진다…‘뜨거운 바다’ 관측일 30배↑ [친절한 뉴스K]
    • 입력 2024-07-01 12:40:49
    • 수정2024-07-01 13:24:24
    뉴스 12
[앵커]

우리나라 어장에서 오징어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바다가 따뜻해지면서 어장에서 어종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건데요.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친절한 뉴스에서 전해드립니다.

김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몇 년 사이 오징어 어획량이 줄고 있습니다.

가격도 오르고 찾기도 어려워지면서 금처럼 귀하다는 뜻의 이른바 '금징어'라는 말까지 나왔는데요.

울릉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동해안의 오징어 어획량은 2010년대 들어 급격히 줄었는데, 올해는 더 심각합니다.

올해 1분기 강원과 경북 지역의 오징어 위판량은 약 700톤으로, 5년 전 9천여 톤보다 93%가량 줄었습니다.

이제는 '노징어', '없징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밤새 오징어잡이에 나섰던 배들이 항구로 속속 들어오고 상인들이 모여듭니다.

[경매인 : "(8만 5,100원.) 이야, 최고 기록이다."]

최고 낙찰가에도 선장의 표정은 어둡습니다.

오징어 어획량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박윤상/삼성호 선장 : "울릉도 어민들 이러면 굶어 죽으니까 다른 대책을 마련해줘야 해요."]

[울릉도 어민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바닷물 온도 상승입니다.

오징어 어장은 따뜻한 해류와 차가운 해류가 섞이는 곳에 발달하는데 동해 수온이 오르면서 어장이 북한 쪽으로 올라가 버렸습니다.

실제로 바다 표면의 온도가 25도 이상인 고수온 관측일은 동해에서 지난 60년간 30배나 증가했습니다.

어종들의 먹이 생태계 역시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김윤배/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대장 : "동해 바다가 굉장히 아열대화가 되고 있으니까 오징어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이런 여러 가지 생태계 먹이망들이 점차 과거에 비해서 좋지 않은 조건으로 가고 있다…."]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지만, 기후변화를 막지 못하는 한 뾰족한 대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해엔 88년 만에 9월 열대야가 나타나는 등 더위가 길게 이어졌습니다.

바다도 뜨거웠는데요.

고수온 특보는 57일간 지속됐고, 특보 해제는 전년도와 비교하면 2주가량 늦어졌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17.5℃로 최근 10년 중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고수온 현상은 양식 생물의 대량 폐사를 불러왔습니다.

특히 한대성 어종인 조피볼락류의 피해가 컸습니다.

적정 사육 수온인 18~22℃를 크게 넘어서는 28℃ 안팎의 수온이 9월까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서해를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넙치나 전복 등도 대량으로 폐사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양식 생물의 피해 규모는 3천 6백여만 마리, 피해액은 438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고수온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세계기상기구는 지난해 전 세계 해수면 온도가 4월부터 연말까지 매일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지구 기온과 해수면 온도는 올해도 최고치를 경신해가고 있습니다.

온난화를 부추기는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는다면 이상 고온과 고수온 현상은 더 심해지고 잦아질 거란 경고가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세희입니다.

영상편집:강지은/그래픽:민세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