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콘서트] 끓는 지구…세계 경제도 더위 먹는다

입력 2024.08.19 (18:23) 수정 2024.08.19 (18: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상 관측 이래 최장의 열대야 오늘 밤은 제대로 잘 수 있을까, 쉽지 않아 보입니다.

각종 기록들을 연일 갈아치우고 있는 역대급 폭염, 단순히 전기 요금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펄펄 끓는 지구가 사람들을 향해 내민 청구서들 하나씩 뜯어보겠습니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나와 계십니다.

삼복이 다 지났는데도 덥다 라는 말이 인삿말이 된 요즘이에요.

기후 경제학자로서 올 여름 어떻게 체감하고 계십니까?

[앵커]

다음 주 초까지는 열대야와 폭염이 계속될 전망.

‘인류 역사상 가장 뜨거운 지구’라는 표현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나옵니다.

내년되면 이 기록이 또 경신될 수 있는 겁니까?

반대로 말하면 올해가 가장 시원한 여름 맞을까요?

[앵커]

최근엔 사막 도시 두바이에선 홍수가 났어요.

지구가 버틸 수 있는 온도, 그 임계점에 온 걸까요?

그 임계점은 몇 도 라고 보십니까?

[앵커]

그 임계점, 티핑포인트를 넘어설 경우 과연 지구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다양한 피해와 변화, 교수님은 뭐가 가장 걱정되세요?

[앵커]

기후 위기가 여기서 더 심각해지면, 못 먹게 되는 음식은 뭐가 있을까요?

한돈, 한우를 못 먹게 될 수 있다는 건 정말 충격적.

오늘 우리 식탁에 어떤 반찬을 올릴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게 나나 가족이 아니라, 기후가 결정하게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 겁니까?

[앵커]

이미 우리는 지구로부터 정말 비싼 청구서를 받아들었죠.

금사과.

고기 보다 비싼 과일을 맛봤습니다.

앞으로 이런 밥상 물가를 자주 마주하게 될까요?

[앵커]

밥상 물가가 이렇게 들썩이는데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말할 것도 없겠죠.

지구 온도가 1도 오르면 전 세계 GDP가 최대 12%가 감소한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도 동의하십니까?

왜 이렇게 떨어지는 겁니까?

[앵커]

최근의 화두는 단연 탈탄소,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한다는 목표.

지금 이 논의는 어떻게 돼가고 있습니까?

[앵커]

우리는 제조업,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다 국가기간산업이든 민간산업이든 전력을 많이 쓰는 구좁니다.

우리 경제가 탈탄소 흐름에 적응할 수 있겠습니까?

일각에서는 지금 당장 들어가는 비용 문제를 언급합니다.

탈탄소, 재생에너지로 바꾸지 않았을 때 장기적으로 우리가 치러야 하는 경제적인 비용과 비교했을 땐 어떻습니까?

[앵커]

교수님께선 기후변화가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

부동산 시장은 왜?

온도가 오르고 날씨가 더워지는 게 내 집 값에 무슨 영향을 미칩니까?

[앵커]

전체적으로 들어보니 먹거리도 그렇고, 부동산도 그렇고 기후변화로 개개인이 체감할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은 경제적 불평등.

앞으로 정말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합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콘서트] 끓는 지구…세계 경제도 더위 먹는다
    • 입력 2024-08-19 18:23:44
    • 수정2024-08-19 18:42:28
    경제콘서트
[앵커]

기상 관측 이래 최장의 열대야 오늘 밤은 제대로 잘 수 있을까, 쉽지 않아 보입니다.

각종 기록들을 연일 갈아치우고 있는 역대급 폭염, 단순히 전기 요금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펄펄 끓는 지구가 사람들을 향해 내민 청구서들 하나씩 뜯어보겠습니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나와 계십니다.

삼복이 다 지났는데도 덥다 라는 말이 인삿말이 된 요즘이에요.

기후 경제학자로서 올 여름 어떻게 체감하고 계십니까?

[앵커]

다음 주 초까지는 열대야와 폭염이 계속될 전망.

‘인류 역사상 가장 뜨거운 지구’라는 표현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나옵니다.

내년되면 이 기록이 또 경신될 수 있는 겁니까?

반대로 말하면 올해가 가장 시원한 여름 맞을까요?

[앵커]

최근엔 사막 도시 두바이에선 홍수가 났어요.

지구가 버틸 수 있는 온도, 그 임계점에 온 걸까요?

그 임계점은 몇 도 라고 보십니까?

[앵커]

그 임계점, 티핑포인트를 넘어설 경우 과연 지구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다양한 피해와 변화, 교수님은 뭐가 가장 걱정되세요?

[앵커]

기후 위기가 여기서 더 심각해지면, 못 먹게 되는 음식은 뭐가 있을까요?

한돈, 한우를 못 먹게 될 수 있다는 건 정말 충격적.

오늘 우리 식탁에 어떤 반찬을 올릴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게 나나 가족이 아니라, 기후가 결정하게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 겁니까?

[앵커]

이미 우리는 지구로부터 정말 비싼 청구서를 받아들었죠.

금사과.

고기 보다 비싼 과일을 맛봤습니다.

앞으로 이런 밥상 물가를 자주 마주하게 될까요?

[앵커]

밥상 물가가 이렇게 들썩이는데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말할 것도 없겠죠.

지구 온도가 1도 오르면 전 세계 GDP가 최대 12%가 감소한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도 동의하십니까?

왜 이렇게 떨어지는 겁니까?

[앵커]

최근의 화두는 단연 탈탄소,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한다는 목표.

지금 이 논의는 어떻게 돼가고 있습니까?

[앵커]

우리는 제조업,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다 국가기간산업이든 민간산업이든 전력을 많이 쓰는 구좁니다.

우리 경제가 탈탄소 흐름에 적응할 수 있겠습니까?

일각에서는 지금 당장 들어가는 비용 문제를 언급합니다.

탈탄소, 재생에너지로 바꾸지 않았을 때 장기적으로 우리가 치러야 하는 경제적인 비용과 비교했을 땐 어떻습니까?

[앵커]

교수님께선 기후변화가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

부동산 시장은 왜?

온도가 오르고 날씨가 더워지는 게 내 집 값에 무슨 영향을 미칩니까?

[앵커]

전체적으로 들어보니 먹거리도 그렇고, 부동산도 그렇고 기후변화로 개개인이 체감할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은 경제적 불평등.

앞으로 정말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합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