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경제] 불황의 늪 빠진 철강업계…타개책은?
입력 2024.11.27 (19:27)
수정 2024.11.27 (2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치 있는 소비를 위해 생활 속 경제 이슈를 짚어보는 '같이경제'시간입니다.
지난 10일에 이어 지난 2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앞선 화재로 열흘 가까이 쇳물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는데요.
포스코는 해당 공장의 쇳물 생산량이 많지 않아 전체 조업에 차질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차질이 없는 건 다행이지만, 역설적으로 수급에 영향이 미미할 만큼 공장 가동률이 낮다는 건 '다행으로만' 볼 순 없는데요.
불황의 늪에 빠진 철강업계의 현황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요 철강업체의 생산시설 평균 가동률은 포스코가 85%, 현대제철 84.2%로 최근 3년 새 최저 수준입니다.
올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도 포스코가 지난해보다 40%,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각각 77%와 80% 감소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철강업계가 이 불황의 늪에서 당분간은 빠져나오기 어려워 보인다는 건데요.
불황의 가장 주된 요인은 '글로벌 공급 과잉'입니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이 소비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더욱이 트럼프 2기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철강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대중국 제재를 확대하면, 중국산 철강이 저가로 각국에 쏟아지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내 철강 산업이 흔들리면 같이 휘청이는 곳이 바로 포항이죠.
포항시는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연장과 산업 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등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고요.
포항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도 포스코에 떡과 음료를 전달하거나, 포항지역 곳곳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응원하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전 세계 철강산업의 구조전환 시기인 만큼, 산업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면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업계와 정부의 대응 과제로 '혁신 철강기술 개발'과 '불공정 수입 대응' 이 두 가지를 꼽습니다.
먼저 혁신기술 개발 등 질적인 발전이 필요한데요.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같은 혁신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유럽 연합의 경우 혁신철강기술 연구비의 40%를 정부가 지원하고 있고요.
일본은 수소활용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 한 해 4천500억 엔의 연구개발비를 책정하는 등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해결할 과제는 바로 '불공정 수입 대응'인데요.
전문가들은 과잉 생산과 불공정 관행 등에 대한 실효적 보호 수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미국과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이미 철강 교역은 정부가 직접 관리, 통제하는 '관리 무역'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과 함께, 특히 현재 철강 완제품보다 원료 관세율이 높은 비정상적 역경사 관세 구조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업계는 한국산 철강재 263만 톤에 대해 면세하는 미국과의 '쿼터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22일 철강업계 간담회에서 "한국 철강 산업이 미국의 전방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해 한미 철강 산업의 새로운 협력 관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철강 산업은 건설과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이죠.
글로벌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 시기인 지금, 위기를 기회로 바꿀 업계와 정부의 능동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지난 10일에 이어 지난 2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앞선 화재로 열흘 가까이 쇳물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는데요.
포스코는 해당 공장의 쇳물 생산량이 많지 않아 전체 조업에 차질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차질이 없는 건 다행이지만, 역설적으로 수급에 영향이 미미할 만큼 공장 가동률이 낮다는 건 '다행으로만' 볼 순 없는데요.
불황의 늪에 빠진 철강업계의 현황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요 철강업체의 생산시설 평균 가동률은 포스코가 85%, 현대제철 84.2%로 최근 3년 새 최저 수준입니다.
올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도 포스코가 지난해보다 40%,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각각 77%와 80% 감소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철강업계가 이 불황의 늪에서 당분간은 빠져나오기 어려워 보인다는 건데요.
불황의 가장 주된 요인은 '글로벌 공급 과잉'입니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이 소비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더욱이 트럼프 2기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철강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대중국 제재를 확대하면, 중국산 철강이 저가로 각국에 쏟아지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내 철강 산업이 흔들리면 같이 휘청이는 곳이 바로 포항이죠.
포항시는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연장과 산업 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등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고요.
포항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도 포스코에 떡과 음료를 전달하거나, 포항지역 곳곳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응원하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전 세계 철강산업의 구조전환 시기인 만큼, 산업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면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업계와 정부의 대응 과제로 '혁신 철강기술 개발'과 '불공정 수입 대응' 이 두 가지를 꼽습니다.
먼저 혁신기술 개발 등 질적인 발전이 필요한데요.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같은 혁신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유럽 연합의 경우 혁신철강기술 연구비의 40%를 정부가 지원하고 있고요.
일본은 수소활용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 한 해 4천500억 엔의 연구개발비를 책정하는 등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해결할 과제는 바로 '불공정 수입 대응'인데요.
전문가들은 과잉 생산과 불공정 관행 등에 대한 실효적 보호 수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미국과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이미 철강 교역은 정부가 직접 관리, 통제하는 '관리 무역'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과 함께, 특히 현재 철강 완제품보다 원료 관세율이 높은 비정상적 역경사 관세 구조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업계는 한국산 철강재 263만 톤에 대해 면세하는 미국과의 '쿼터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22일 철강업계 간담회에서 "한국 철강 산업이 미국의 전방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해 한미 철강 산업의 새로운 협력 관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철강 산업은 건설과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이죠.
글로벌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 시기인 지금, 위기를 기회로 바꿀 업계와 정부의 능동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이경제] 불황의 늪 빠진 철강업계…타개책은?
-
- 입력 2024-11-27 19:27:28
- 수정2024-11-27 20:12:15
가치 있는 소비를 위해 생활 속 경제 이슈를 짚어보는 '같이경제'시간입니다.
지난 10일에 이어 지난 2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앞선 화재로 열흘 가까이 쇳물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는데요.
포스코는 해당 공장의 쇳물 생산량이 많지 않아 전체 조업에 차질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차질이 없는 건 다행이지만, 역설적으로 수급에 영향이 미미할 만큼 공장 가동률이 낮다는 건 '다행으로만' 볼 순 없는데요.
불황의 늪에 빠진 철강업계의 현황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요 철강업체의 생산시설 평균 가동률은 포스코가 85%, 현대제철 84.2%로 최근 3년 새 최저 수준입니다.
올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도 포스코가 지난해보다 40%,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각각 77%와 80% 감소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철강업계가 이 불황의 늪에서 당분간은 빠져나오기 어려워 보인다는 건데요.
불황의 가장 주된 요인은 '글로벌 공급 과잉'입니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이 소비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더욱이 트럼프 2기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철강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대중국 제재를 확대하면, 중국산 철강이 저가로 각국에 쏟아지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내 철강 산업이 흔들리면 같이 휘청이는 곳이 바로 포항이죠.
포항시는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연장과 산업 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등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고요.
포항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도 포스코에 떡과 음료를 전달하거나, 포항지역 곳곳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응원하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전 세계 철강산업의 구조전환 시기인 만큼, 산업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면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업계와 정부의 대응 과제로 '혁신 철강기술 개발'과 '불공정 수입 대응' 이 두 가지를 꼽습니다.
먼저 혁신기술 개발 등 질적인 발전이 필요한데요.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같은 혁신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유럽 연합의 경우 혁신철강기술 연구비의 40%를 정부가 지원하고 있고요.
일본은 수소활용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 한 해 4천500억 엔의 연구개발비를 책정하는 등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해결할 과제는 바로 '불공정 수입 대응'인데요.
전문가들은 과잉 생산과 불공정 관행 등에 대한 실효적 보호 수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미국과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이미 철강 교역은 정부가 직접 관리, 통제하는 '관리 무역'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과 함께, 특히 현재 철강 완제품보다 원료 관세율이 높은 비정상적 역경사 관세 구조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업계는 한국산 철강재 263만 톤에 대해 면세하는 미국과의 '쿼터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22일 철강업계 간담회에서 "한국 철강 산업이 미국의 전방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해 한미 철강 산업의 새로운 협력 관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철강 산업은 건설과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이죠.
글로벌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 시기인 지금, 위기를 기회로 바꿀 업계와 정부의 능동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지난 10일에 이어 지난 2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앞선 화재로 열흘 가까이 쇳물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는데요.
포스코는 해당 공장의 쇳물 생산량이 많지 않아 전체 조업에 차질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차질이 없는 건 다행이지만, 역설적으로 수급에 영향이 미미할 만큼 공장 가동률이 낮다는 건 '다행으로만' 볼 순 없는데요.
불황의 늪에 빠진 철강업계의 현황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요 철강업체의 생산시설 평균 가동률은 포스코가 85%, 현대제철 84.2%로 최근 3년 새 최저 수준입니다.
올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도 포스코가 지난해보다 40%,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각각 77%와 80% 감소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철강업계가 이 불황의 늪에서 당분간은 빠져나오기 어려워 보인다는 건데요.
불황의 가장 주된 요인은 '글로벌 공급 과잉'입니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이 소비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더욱이 트럼프 2기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철강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대중국 제재를 확대하면, 중국산 철강이 저가로 각국에 쏟아지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내 철강 산업이 흔들리면 같이 휘청이는 곳이 바로 포항이죠.
포항시는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연장과 산업 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등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고요.
포항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도 포스코에 떡과 음료를 전달하거나, 포항지역 곳곳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응원하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전 세계 철강산업의 구조전환 시기인 만큼, 산업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면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업계와 정부의 대응 과제로 '혁신 철강기술 개발'과 '불공정 수입 대응' 이 두 가지를 꼽습니다.
먼저 혁신기술 개발 등 질적인 발전이 필요한데요.
전문가들은 수소환원제철 같은 혁신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유럽 연합의 경우 혁신철강기술 연구비의 40%를 정부가 지원하고 있고요.
일본은 수소활용 철강기술 개발을 위해 한 해 4천500억 엔의 연구개발비를 책정하는 등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해결할 과제는 바로 '불공정 수입 대응'인데요.
전문가들은 과잉 생산과 불공정 관행 등에 대한 실효적 보호 수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미국과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이미 철강 교역은 정부가 직접 관리, 통제하는 '관리 무역'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과 함께, 특히 현재 철강 완제품보다 원료 관세율이 높은 비정상적 역경사 관세 구조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업계는 한국산 철강재 263만 톤에 대해 면세하는 미국과의 '쿼터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22일 철강업계 간담회에서 "한국 철강 산업이 미국의 전방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해 한미 철강 산업의 새로운 협력 관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철강 산업은 건설과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국가 기간 산업이죠.
글로벌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 시기인 지금, 위기를 기회로 바꿀 업계와 정부의 능동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
-
오아영 기자 ayoung@kbs.co.kr
오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