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금융 위기’ 데자뷔? 아직은 좀 다르다
입력 2024.12.19 (21:17)
수정 2024.12.19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환율이 우리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어떤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지 경제부 취재기자와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진화 기자, 앞서 보도에서도 봤듯이, 미국이 워낙 잘 나가니까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하는데, 그렇다 해도 유독 원화가 더 약해진 거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바다에 큰 파도가 치면 작은 배일수록 더 흔들리기 쉽잖아요.
비슷한 상황인데, 똑같은 1달러를 원, 엔, 위안으로 환전하면, 얼마인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원화의 가치는 거의 10% 내렸습니다.
하지만, 엔화는 8%대, 위안화는 3% 정도 내렸습니다.
달러가 강한 건 강한 거고, 원화가 더 약해졌다는 건 한국 내부에 원인이 있다고 봐야겠죠.
[앵커]
계엄과 탄핵 국면은 당연히 악재였을 테고, 다른 요인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죠.
계엄 전에는 우리 경제가 좋았나요?
아닙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부터 걱정이 많았죠.
삼성전자 주가만 봐도 알 수 있죠.
IMF 등 여러 기관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았고요.
계엄 직전에 환율은 이미 1,402원이었습니다.
계엄 충격이 없었어도 고환율은 꾸준히 누적돼 왔습니다.
[앵커]
그래서 요즘 이러다 금융위기 오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환율 숫자만 보면, 그런 걱정도 나올 만은 합니다.
지금 기세면 1달러에 1,500원도 위험해 보이거든요.
다만, 1997년 외환위기 때는 말 그대로 국가 부도, 달러가 없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외환보유액 세계 9위, 4천억 달러가 넘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흔들렸지만, 지금은 우리 경제와 가장 밀접한 미국은 튼튼하거든요.
지나친 공포를 가질 정도는 아니다,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도 긴급 처방은 필요할 텐데, 어떤 조치들이 있을까요?
[기자]
달러가 품귀니까 환율이 오르는 거거든요.
달러를 공급해 주면 되겠죠.
외환보유고를 조금씩 헐어서 시장에 풀고 있습니다.
이건 늘 해오던 것이고, 오늘(19일) 대책이 여럿 나왔는데, 가장 큰 건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할 때 쓸 달러를 한국은행이 직접 제공해 주는 '외환 스와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시장에서 달러를 살 수요를 억제하잔 취지입니다.
[앵커]
또 장기적인 해결책도 중요하잖아요, 근본적인 활로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기자]
결국은 한국 경제가 좋아져야, 원화가 강해지고, 그래야 환율도 잡힙니다.
대외 변수는 우리가 제어하기 어렵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건 내수 쪽인데, 기준금리를 내리면 소비 촉진은 됩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미국으로 돈이 더 빠져나가서 다시 환율을 건드릴 수 있고요.
다른 방법은 정부가 재정을 푸는 건데, 이건 추경, 여야 합의가 필요합니다.
영상편집:김철
환율이 우리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어떤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지 경제부 취재기자와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진화 기자, 앞서 보도에서도 봤듯이, 미국이 워낙 잘 나가니까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하는데, 그렇다 해도 유독 원화가 더 약해진 거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바다에 큰 파도가 치면 작은 배일수록 더 흔들리기 쉽잖아요.
비슷한 상황인데, 똑같은 1달러를 원, 엔, 위안으로 환전하면, 얼마인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원화의 가치는 거의 10% 내렸습니다.
하지만, 엔화는 8%대, 위안화는 3% 정도 내렸습니다.
달러가 강한 건 강한 거고, 원화가 더 약해졌다는 건 한국 내부에 원인이 있다고 봐야겠죠.
[앵커]
계엄과 탄핵 국면은 당연히 악재였을 테고, 다른 요인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죠.
계엄 전에는 우리 경제가 좋았나요?
아닙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부터 걱정이 많았죠.
삼성전자 주가만 봐도 알 수 있죠.
IMF 등 여러 기관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았고요.
계엄 직전에 환율은 이미 1,402원이었습니다.
계엄 충격이 없었어도 고환율은 꾸준히 누적돼 왔습니다.
[앵커]
그래서 요즘 이러다 금융위기 오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환율 숫자만 보면, 그런 걱정도 나올 만은 합니다.
지금 기세면 1달러에 1,500원도 위험해 보이거든요.
다만, 1997년 외환위기 때는 말 그대로 국가 부도, 달러가 없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외환보유액 세계 9위, 4천억 달러가 넘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흔들렸지만, 지금은 우리 경제와 가장 밀접한 미국은 튼튼하거든요.
지나친 공포를 가질 정도는 아니다,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도 긴급 처방은 필요할 텐데, 어떤 조치들이 있을까요?
[기자]
달러가 품귀니까 환율이 오르는 거거든요.
달러를 공급해 주면 되겠죠.
외환보유고를 조금씩 헐어서 시장에 풀고 있습니다.
이건 늘 해오던 것이고, 오늘(19일) 대책이 여럿 나왔는데, 가장 큰 건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할 때 쓸 달러를 한국은행이 직접 제공해 주는 '외환 스와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시장에서 달러를 살 수요를 억제하잔 취지입니다.
[앵커]
또 장기적인 해결책도 중요하잖아요, 근본적인 활로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기자]
결국은 한국 경제가 좋아져야, 원화가 강해지고, 그래야 환율도 잡힙니다.
대외 변수는 우리가 제어하기 어렵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건 내수 쪽인데, 기준금리를 내리면 소비 촉진은 됩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미국으로 돈이 더 빠져나가서 다시 환율을 건드릴 수 있고요.
다른 방법은 정부가 재정을 푸는 건데, 이건 추경, 여야 합의가 필요합니다.
영상편집:김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08년 ‘금융 위기’ 데자뷔? 아직은 좀 다르다
-
- 입력 2024-12-19 21:17:35
- 수정2024-12-19 22:05:10
[앵커]
환율이 우리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어떤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지 경제부 취재기자와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진화 기자, 앞서 보도에서도 봤듯이, 미국이 워낙 잘 나가니까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하는데, 그렇다 해도 유독 원화가 더 약해진 거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바다에 큰 파도가 치면 작은 배일수록 더 흔들리기 쉽잖아요.
비슷한 상황인데, 똑같은 1달러를 원, 엔, 위안으로 환전하면, 얼마인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원화의 가치는 거의 10% 내렸습니다.
하지만, 엔화는 8%대, 위안화는 3% 정도 내렸습니다.
달러가 강한 건 강한 거고, 원화가 더 약해졌다는 건 한국 내부에 원인이 있다고 봐야겠죠.
[앵커]
계엄과 탄핵 국면은 당연히 악재였을 테고, 다른 요인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죠.
계엄 전에는 우리 경제가 좋았나요?
아닙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부터 걱정이 많았죠.
삼성전자 주가만 봐도 알 수 있죠.
IMF 등 여러 기관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았고요.
계엄 직전에 환율은 이미 1,402원이었습니다.
계엄 충격이 없었어도 고환율은 꾸준히 누적돼 왔습니다.
[앵커]
그래서 요즘 이러다 금융위기 오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환율 숫자만 보면, 그런 걱정도 나올 만은 합니다.
지금 기세면 1달러에 1,500원도 위험해 보이거든요.
다만, 1997년 외환위기 때는 말 그대로 국가 부도, 달러가 없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외환보유액 세계 9위, 4천억 달러가 넘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흔들렸지만, 지금은 우리 경제와 가장 밀접한 미국은 튼튼하거든요.
지나친 공포를 가질 정도는 아니다,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도 긴급 처방은 필요할 텐데, 어떤 조치들이 있을까요?
[기자]
달러가 품귀니까 환율이 오르는 거거든요.
달러를 공급해 주면 되겠죠.
외환보유고를 조금씩 헐어서 시장에 풀고 있습니다.
이건 늘 해오던 것이고, 오늘(19일) 대책이 여럿 나왔는데, 가장 큰 건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할 때 쓸 달러를 한국은행이 직접 제공해 주는 '외환 스와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시장에서 달러를 살 수요를 억제하잔 취지입니다.
[앵커]
또 장기적인 해결책도 중요하잖아요, 근본적인 활로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기자]
결국은 한국 경제가 좋아져야, 원화가 강해지고, 그래야 환율도 잡힙니다.
대외 변수는 우리가 제어하기 어렵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건 내수 쪽인데, 기준금리를 내리면 소비 촉진은 됩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미국으로 돈이 더 빠져나가서 다시 환율을 건드릴 수 있고요.
다른 방법은 정부가 재정을 푸는 건데, 이건 추경, 여야 합의가 필요합니다.
영상편집:김철
환율이 우리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어떤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지 경제부 취재기자와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진화 기자, 앞서 보도에서도 봤듯이, 미국이 워낙 잘 나가니까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하는데, 그렇다 해도 유독 원화가 더 약해진 거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바다에 큰 파도가 치면 작은 배일수록 더 흔들리기 쉽잖아요.
비슷한 상황인데, 똑같은 1달러를 원, 엔, 위안으로 환전하면, 얼마인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원화의 가치는 거의 10% 내렸습니다.
하지만, 엔화는 8%대, 위안화는 3% 정도 내렸습니다.
달러가 강한 건 강한 거고, 원화가 더 약해졌다는 건 한국 내부에 원인이 있다고 봐야겠죠.
[앵커]
계엄과 탄핵 국면은 당연히 악재였을 테고, 다른 요인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죠.
계엄 전에는 우리 경제가 좋았나요?
아닙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부터 걱정이 많았죠.
삼성전자 주가만 봐도 알 수 있죠.
IMF 등 여러 기관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았고요.
계엄 직전에 환율은 이미 1,402원이었습니다.
계엄 충격이 없었어도 고환율은 꾸준히 누적돼 왔습니다.
[앵커]
그래서 요즘 이러다 금융위기 오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환율 숫자만 보면, 그런 걱정도 나올 만은 합니다.
지금 기세면 1달러에 1,500원도 위험해 보이거든요.
다만, 1997년 외환위기 때는 말 그대로 국가 부도, 달러가 없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외환보유액 세계 9위, 4천억 달러가 넘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흔들렸지만, 지금은 우리 경제와 가장 밀접한 미국은 튼튼하거든요.
지나친 공포를 가질 정도는 아니다,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도 긴급 처방은 필요할 텐데, 어떤 조치들이 있을까요?
[기자]
달러가 품귀니까 환율이 오르는 거거든요.
달러를 공급해 주면 되겠죠.
외환보유고를 조금씩 헐어서 시장에 풀고 있습니다.
이건 늘 해오던 것이고, 오늘(19일) 대책이 여럿 나왔는데, 가장 큰 건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할 때 쓸 달러를 한국은행이 직접 제공해 주는 '외환 스와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시장에서 달러를 살 수요를 억제하잔 취지입니다.
[앵커]
또 장기적인 해결책도 중요하잖아요, 근본적인 활로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기자]
결국은 한국 경제가 좋아져야, 원화가 강해지고, 그래야 환율도 잡힙니다.
대외 변수는 우리가 제어하기 어렵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건 내수 쪽인데, 기준금리를 내리면 소비 촉진은 됩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미국으로 돈이 더 빠져나가서 다시 환율을 건드릴 수 있고요.
다른 방법은 정부가 재정을 푸는 건데, 이건 추경, 여야 합의가 필요합니다.
영상편집:김철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