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살이 막내”…현실이 된 초고령 사회, 대책은?

입력 2025.01.02 (21:54) 수정 2025.01.02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구 다섯 명 중 한 명은 65살을 넘어서며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대전과 충남은 고령화가 더 심각하거나 비슷한 상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75살 한창호 씨가 마을 경로당에서 청소기를 돌립니다.

한 씨는 70대 중반이지만 회원 30여 명 가운데 막내입니다.

청소나 정리 등 할 일이 있으면,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나섭니다.

[한창호/대전시 만년동 : "나이가 많은 분들만 있으니까 나처럼 어리면 와서 청소 시작하면 그거 내가 한다고 해가며 하죠. 여기서 일흔다섯은 아기예요 아기."]

우리나라가 65살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앞서 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7년 만인데,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충남의 고령 인구 비중은 국내 평균을 훌쩍 넘는 22%이고 대전도 18%로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뒀습니다.

대전도 자치구별로 보면 중구와 동구가 23%와 22%, 대덕구 20%로 원도심은 이미 초고령 사회입니다.

최근 10년 동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 요양기관으로 업종을 바꾸며 이른바 노(老)치원이 된 사례만 충남 28건, 대전 11건입니다.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 부양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노인을 위한 일자리를 다양하게 만들어 제공하는 게 가장 현실적인 대책이 될 수 있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약간의 금전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고요.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일하는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면서 관계도 유지될 수 있어요. 사회적인 고립도 막을 수 있는 거겠죠."]

이와 함께 지역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노인이 사는 곳 중심으로 불편 없이 돌봄을 받게 하는 것도 자치단체 차원의 중요 대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5살이 막내”…현실이 된 초고령 사회, 대책은?
    • 입력 2025-01-02 21:54:03
    • 수정2025-01-02 22:12:22
    뉴스9(대전)
[앵커]

인구 다섯 명 중 한 명은 65살을 넘어서며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대전과 충남은 고령화가 더 심각하거나 비슷한 상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75살 한창호 씨가 마을 경로당에서 청소기를 돌립니다.

한 씨는 70대 중반이지만 회원 30여 명 가운데 막내입니다.

청소나 정리 등 할 일이 있으면,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나섭니다.

[한창호/대전시 만년동 : "나이가 많은 분들만 있으니까 나처럼 어리면 와서 청소 시작하면 그거 내가 한다고 해가며 하죠. 여기서 일흔다섯은 아기예요 아기."]

우리나라가 65살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앞서 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7년 만인데,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충남의 고령 인구 비중은 국내 평균을 훌쩍 넘는 22%이고 대전도 18%로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뒀습니다.

대전도 자치구별로 보면 중구와 동구가 23%와 22%, 대덕구 20%로 원도심은 이미 초고령 사회입니다.

최근 10년 동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 요양기관으로 업종을 바꾸며 이른바 노(老)치원이 된 사례만 충남 28건, 대전 11건입니다.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 부양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노인을 위한 일자리를 다양하게 만들어 제공하는 게 가장 현실적인 대책이 될 수 있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약간의 금전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고요.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일하는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면서 관계도 유지될 수 있어요. 사회적인 고립도 막을 수 있는 거겠죠."]

이와 함께 지역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노인이 사는 곳 중심으로 불편 없이 돌봄을 받게 하는 것도 자치단체 차원의 중요 대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