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중 돌봄 공백…‘늘봄학교’로 해소될까?

입력 2025.01.20 (07:59) 수정 2025.01.20 (0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같은 방학 기간,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들은 아이들 점심 끼니가 가장 큰 걱정입니다.

희망하는 모든 학생에게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확대되고 있지만, 방학 기간 아이들의 끼니 걱정이 완전히 해소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겨울방학에 들어간 창원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1학년 학생들이 '늘봄교실'에 모여, 오전 9시부터 미술과 체육 등 체험 활동에 참여합니다.

이 학교는 기존 돌봄교실 4개 반으로도 희망 학생을 다 수용하지 못했는데, '늘봄교실'이 생기면서 돌봄 공백을 일부 해소할 수 있게 됐습니다.

[김하정/웅천초 1학년 : "친구들이랑 맛있는 거 먹는 게 제일 (재미있어요.)"]

[황시안/웅천초 1학년 : "만들기도 하고 공부도 해서 재밌어요."]

올해 겨울방학부터는 점심 도시락까지 제공합니다.

학생 한 명당 한 끼에 8천 원, 비용은 '늘봄학교' 예산입니다.

[정재진/웅천초 돌봄전담사 : "아이들은 방학이라서 집에 있게 되거나 중식을 제공해야 되는 상황이 생기는데, 이렇게 저희가 제공하게 되면, 어머님들이 그런 걱정을 덜 수 있으니까 좋으시겠죠."]

모든 학생에게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는 올해 초등 1~2학년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6학년까지 확대됩니다.

하지만 학부모들의 가장 큰 고민인 방학 중 돌봄 공백까지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지 불분명합니다.

하루 2시간 활동 위주인 '맞춤형 프로그램'과 기존 돌봄 교실을 보완한 '선택형 늘봄 프로그램' 등으로 나뉘는 현재 '늘봄학교'.

의무적으로 제공되는 '맞춤형 프로그램'과 달리, 아침과 저녁, 방학 등 '선택형 늘봄 프로그램'은 각 학교가 여건에 맞춰 운영합니다.

방학에 점심밥을 주려면 '맞춤형 프로그램'도 하루 4시간으로 늘려야 하는데, 공간과 인력 확보가 쉽지 않습니다.

[최진숙/경남교육청 방과후학교 담당 : "시간이 잘 안 맞아서 점심때와 맞지 않으면 제공할 수 없을 수도 있고, 학교의 여건에 따라서 학교가 결정해서…."]

이번 겨울방학 기준 경남의 '늘봄학교' 5백여 곳 가운데, 교육청 중식 관련 예산을 지원받은 학교는 120여 곳, 전체 24%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학 중 돌봄 공백…‘늘봄학교’로 해소될까?
    • 입력 2025-01-20 07:59:25
    • 수정2025-01-20 08:40:49
    뉴스광장(창원)
[앵커]

요즘 같은 방학 기간,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들은 아이들 점심 끼니가 가장 큰 걱정입니다.

희망하는 모든 학생에게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확대되고 있지만, 방학 기간 아이들의 끼니 걱정이 완전히 해소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겨울방학에 들어간 창원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1학년 학생들이 '늘봄교실'에 모여, 오전 9시부터 미술과 체육 등 체험 활동에 참여합니다.

이 학교는 기존 돌봄교실 4개 반으로도 희망 학생을 다 수용하지 못했는데, '늘봄교실'이 생기면서 돌봄 공백을 일부 해소할 수 있게 됐습니다.

[김하정/웅천초 1학년 : "친구들이랑 맛있는 거 먹는 게 제일 (재미있어요.)"]

[황시안/웅천초 1학년 : "만들기도 하고 공부도 해서 재밌어요."]

올해 겨울방학부터는 점심 도시락까지 제공합니다.

학생 한 명당 한 끼에 8천 원, 비용은 '늘봄학교' 예산입니다.

[정재진/웅천초 돌봄전담사 : "아이들은 방학이라서 집에 있게 되거나 중식을 제공해야 되는 상황이 생기는데, 이렇게 저희가 제공하게 되면, 어머님들이 그런 걱정을 덜 수 있으니까 좋으시겠죠."]

모든 학생에게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는 올해 초등 1~2학년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6학년까지 확대됩니다.

하지만 학부모들의 가장 큰 고민인 방학 중 돌봄 공백까지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지 불분명합니다.

하루 2시간 활동 위주인 '맞춤형 프로그램'과 기존 돌봄 교실을 보완한 '선택형 늘봄 프로그램' 등으로 나뉘는 현재 '늘봄학교'.

의무적으로 제공되는 '맞춤형 프로그램'과 달리, 아침과 저녁, 방학 등 '선택형 늘봄 프로그램'은 각 학교가 여건에 맞춰 운영합니다.

방학에 점심밥을 주려면 '맞춤형 프로그램'도 하루 4시간으로 늘려야 하는데, 공간과 인력 확보가 쉽지 않습니다.

[최진숙/경남교육청 방과후학교 담당 : "시간이 잘 안 맞아서 점심때와 맞지 않으면 제공할 수 없을 수도 있고, 학교의 여건에 따라서 학교가 결정해서…."]

이번 겨울방학 기준 경남의 '늘봄학교' 5백여 곳 가운데, 교육청 중식 관련 예산을 지원받은 학교는 120여 곳, 전체 24%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그래픽:김신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