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등록금 인상 논의…“재정난 심해”
입력 2025.01.22 (19:25)
수정 2025.01.22 (20: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대학가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과 학생 모두 고민이 깊습니다.
정부는 민생 경제를 위해 동결을 유도하고 있는데요.
대학은 최장 10년 넘게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재정난을 겪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천춘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대학교는 거점 국립대 9곳과 함께 새 학기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주요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 방침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충북과 수도권 등을 포함해 40곳 이상이 등록금 인상을 추진 또는 확정했습니다.
[김영수/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물가가 올라서) 자취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데, 그래도 학교에서 등록금을 올리려면 학생들한테 주는 장학금 범위를 조금 더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들은 정부의 국가장학금 지원 등을 포기하고 등록금 인상에 나선 배경에 누적된 재정난을 꼽습니다.
여기에 올해 등록금 법정 인상률 상한선이 5.49%에 이르는 것도 작지 않은 요인입니다.
이 기준은 직전 3년 평균 소비자 물가 상승률로 정하는데 5%가 넘었던 2022년 물가 상승률은 외환 위기 이후 가장 컸습니다.
산정 시점이 바뀌는 내년에는 이 같은 등록금 인상폭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야깁니다.
결국, 부담은 학생들이 짊어질 몫으로 남습니다.
[오중원/서원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방학 때 계속 아르바이트를 하루 종일 했는데도 등록금을 마련 못 해서 국가장학금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확실히 등록금이 오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주부터 대학마다 본격적인 등록금 심의에 들어가는 가운데 10년 넘게 동결됐던 등록금 빗장이 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요즘 대학가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과 학생 모두 고민이 깊습니다.
정부는 민생 경제를 위해 동결을 유도하고 있는데요.
대학은 최장 10년 넘게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재정난을 겪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천춘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대학교는 거점 국립대 9곳과 함께 새 학기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주요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 방침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충북과 수도권 등을 포함해 40곳 이상이 등록금 인상을 추진 또는 확정했습니다.
[김영수/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물가가 올라서) 자취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데, 그래도 학교에서 등록금을 올리려면 학생들한테 주는 장학금 범위를 조금 더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들은 정부의 국가장학금 지원 등을 포기하고 등록금 인상에 나선 배경에 누적된 재정난을 꼽습니다.
여기에 올해 등록금 법정 인상률 상한선이 5.49%에 이르는 것도 작지 않은 요인입니다.
이 기준은 직전 3년 평균 소비자 물가 상승률로 정하는데 5%가 넘었던 2022년 물가 상승률은 외환 위기 이후 가장 컸습니다.
산정 시점이 바뀌는 내년에는 이 같은 등록금 인상폭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야깁니다.
결국, 부담은 학생들이 짊어질 몫으로 남습니다.
[오중원/서원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방학 때 계속 아르바이트를 하루 종일 했는데도 등록금을 마련 못 해서 국가장학금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확실히 등록금이 오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주부터 대학마다 본격적인 등록금 심의에 들어가는 가운데 10년 넘게 동결됐던 등록금 빗장이 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학 등록금 인상 논의…“재정난 심해”
-
- 입력 2025-01-22 19:25:36
- 수정2025-01-22 20:33:20

[앵커]
요즘 대학가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과 학생 모두 고민이 깊습니다.
정부는 민생 경제를 위해 동결을 유도하고 있는데요.
대학은 최장 10년 넘게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재정난을 겪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천춘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대학교는 거점 국립대 9곳과 함께 새 학기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주요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 방침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충북과 수도권 등을 포함해 40곳 이상이 등록금 인상을 추진 또는 확정했습니다.
[김영수/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물가가 올라서) 자취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데, 그래도 학교에서 등록금을 올리려면 학생들한테 주는 장학금 범위를 조금 더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들은 정부의 국가장학금 지원 등을 포기하고 등록금 인상에 나선 배경에 누적된 재정난을 꼽습니다.
여기에 올해 등록금 법정 인상률 상한선이 5.49%에 이르는 것도 작지 않은 요인입니다.
이 기준은 직전 3년 평균 소비자 물가 상승률로 정하는데 5%가 넘었던 2022년 물가 상승률은 외환 위기 이후 가장 컸습니다.
산정 시점이 바뀌는 내년에는 이 같은 등록금 인상폭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야깁니다.
결국, 부담은 학생들이 짊어질 몫으로 남습니다.
[오중원/서원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방학 때 계속 아르바이트를 하루 종일 했는데도 등록금을 마련 못 해서 국가장학금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확실히 등록금이 오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주부터 대학마다 본격적인 등록금 심의에 들어가는 가운데 10년 넘게 동결됐던 등록금 빗장이 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요즘 대학가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과 학생 모두 고민이 깊습니다.
정부는 민생 경제를 위해 동결을 유도하고 있는데요.
대학은 최장 10년 넘게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재정난을 겪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천춘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대학교는 거점 국립대 9곳과 함께 새 학기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주요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 방침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충북과 수도권 등을 포함해 40곳 이상이 등록금 인상을 추진 또는 확정했습니다.
[김영수/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물가가 올라서) 자취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데, 그래도 학교에서 등록금을 올리려면 학생들한테 주는 장학금 범위를 조금 더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들은 정부의 국가장학금 지원 등을 포기하고 등록금 인상에 나선 배경에 누적된 재정난을 꼽습니다.
여기에 올해 등록금 법정 인상률 상한선이 5.49%에 이르는 것도 작지 않은 요인입니다.
이 기준은 직전 3년 평균 소비자 물가 상승률로 정하는데 5%가 넘었던 2022년 물가 상승률은 외환 위기 이후 가장 컸습니다.
산정 시점이 바뀌는 내년에는 이 같은 등록금 인상폭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야깁니다.
결국, 부담은 학생들이 짊어질 몫으로 남습니다.
[오중원/서원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방학 때 계속 아르바이트를 하루 종일 했는데도 등록금을 마련 못 해서 국가장학금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확실히 등록금이 오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번 주부터 대학마다 본격적인 등록금 심의에 들어가는 가운데 10년 넘게 동결됐던 등록금 빗장이 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
천춘환 기자 southpaw@kbs.co.kr
천춘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