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만 대 남아”…잇따르는 김치냉장고 화재

입력 2025.02.02 (07:18) 수정 2025.02.02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에서 김치냉장고를 쓰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2005년 9월 이전에 생산한 위니아의 뚜껑형 김치냉장고에서화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김치냉장고는 4년 전부터 무상으로 점검 수리하는 리콜 조치 대상 제품입니다.

지난해 이 모델에서 120여 건의 불이 났습니다.

그 이전에도 매년 150건 넘는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4년간 이 김치냉장고로인한 화재는 6백 건이 넘었습니다.

사고 피해자의 연령대를 조사해 봤습니다.

정보 접근성이 낮은 60대 이상 고령층이 70%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 제품을 수리받지 않고 쓰면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화재 위험이 커집니다.

하지만 답답합니다.

아직도 회수도 수리도 안된 제품이 전국에 만대 정도나 남아있습니다.

집에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있다면 제조일과 제품명을 꼭 확인해야겠습니다.

관련 제품은 전화나 인터넷 홈페이지로 리콜 접수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직 만 대 남아”…잇따르는 김치냉장고 화재
    • 입력 2025-02-02 07:18:14
    • 수정2025-02-02 07:36:36
    KBS 재난방송센터
집에서 김치냉장고를 쓰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2005년 9월 이전에 생산한 위니아의 뚜껑형 김치냉장고에서화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김치냉장고는 4년 전부터 무상으로 점검 수리하는 리콜 조치 대상 제품입니다.

지난해 이 모델에서 120여 건의 불이 났습니다.

그 이전에도 매년 150건 넘는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4년간 이 김치냉장고로인한 화재는 6백 건이 넘었습니다.

사고 피해자의 연령대를 조사해 봤습니다.

정보 접근성이 낮은 60대 이상 고령층이 70%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 제품을 수리받지 않고 쓰면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화재 위험이 커집니다.

하지만 답답합니다.

아직도 회수도 수리도 안된 제품이 전국에 만대 정도나 남아있습니다.

집에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있다면 제조일과 제품명을 꼭 확인해야겠습니다.

관련 제품은 전화나 인터넷 홈페이지로 리콜 접수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