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공항 ‘조류 충돌 위험’ 공방…안전 대책은?

입력 2025.02.06 (19:12) 수정 2025.02.06 (2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를 계기로 조류 충돌 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

새만금신공항의 경우 충돌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돼,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179명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공항 주변 새 떼와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위험성이 제기된 가운데, 올해 착공을 앞둔 새만금신공항 부지는 수백 종의 철새 도래지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13km 안에 조류 유인 시설을 두지 않는 게 국제공항기구 권고지만, 이 구역의 번식지는 다섯 곳, 오가는 철새는 20여만 마리에 달합니다.

정부가 조사한 신공항 조류 충돌 예측 횟수는 한 해 최소 10회에서 45회가량.

0.7회인 무안공항보다 빈도가 높고, 위험도를 비교하면 격차는 더 커집니다.

이에 전북도는 건물 없는 초지를 대상으로 조사돼 실제 위험과 연관 짓긴 어렵다고 선을 긋습니다.

또 국토부 지침에 따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는 군산공항의 경우 15개 공항 가운데 위험도가 세 번째로 낮다고 설명합니다.

[권민호/전북도 도로공항철도과장 : "관리하고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책을 세우고 있고 새만금국제공항 계획에 반영하려고…."]

환경단체는 신공항이 군산공항보다 해안가와 더 가깝고 편수도 느는 데다, 부지 특성상 조류 횡단을 피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또 조사 횟수가 적었던 국토부 평가 한계도 지적하며, 충돌 빈도는 더 클 거라고 주장합니다.

[김지은/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공동집행위원장 : "참사의 경고를 이렇게 가볍게 무시하면서 자의적으로 충돌 위험이 없다, 낮다,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까?"]

국토부는 모든 공항에 조류 퇴치 인력을 2명 이상 두고, 탐지 레이더를 도입하는 대책을 국회 여객기 참사 특위에 보고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만금공항 ‘조류 충돌 위험’ 공방…안전 대책은?
    • 입력 2025-02-06 19:12:13
    • 수정2025-02-06 20:05:35
    뉴스7(전주)
[앵커]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를 계기로 조류 충돌 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

새만금신공항의 경우 충돌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돼,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179명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공항 주변 새 떼와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위험성이 제기된 가운데, 올해 착공을 앞둔 새만금신공항 부지는 수백 종의 철새 도래지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13km 안에 조류 유인 시설을 두지 않는 게 국제공항기구 권고지만, 이 구역의 번식지는 다섯 곳, 오가는 철새는 20여만 마리에 달합니다.

정부가 조사한 신공항 조류 충돌 예측 횟수는 한 해 최소 10회에서 45회가량.

0.7회인 무안공항보다 빈도가 높고, 위험도를 비교하면 격차는 더 커집니다.

이에 전북도는 건물 없는 초지를 대상으로 조사돼 실제 위험과 연관 짓긴 어렵다고 선을 긋습니다.

또 국토부 지침에 따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는 군산공항의 경우 15개 공항 가운데 위험도가 세 번째로 낮다고 설명합니다.

[권민호/전북도 도로공항철도과장 : "관리하고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책을 세우고 있고 새만금국제공항 계획에 반영하려고…."]

환경단체는 신공항이 군산공항보다 해안가와 더 가깝고 편수도 느는 데다, 부지 특성상 조류 횡단을 피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또 조사 횟수가 적었던 국토부 평가 한계도 지적하며, 충돌 빈도는 더 클 거라고 주장합니다.

[김지은/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공동집행위원장 : "참사의 경고를 이렇게 가볍게 무시하면서 자의적으로 충돌 위험이 없다, 낮다,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까?"]

국토부는 모든 공항에 조류 퇴치 인력을 2명 이상 두고, 탐지 레이더를 도입하는 대책을 국회 여객기 참사 특위에 보고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