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중도공사-강개공 통합…강원도 셈법은?

입력 2025.02.13 (19:29) 수정 2025.02.13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를 통합 방안이 강원도의 뜨거운 감자입니다.

'이대로 두면 중도공사 파산 위험이 크다', '오히려 통합이 동반 부실을 가져온다' 각종 우려가 쏟아집니다.

KBS는 복잡한 이 문제를 보다 쉽게, 큰 틀에서 분석해 봅니다.

먼저, 이청초 기자가 파산, 통합 등 경우의 수에 따라 돈이 얼마가 들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춘천 하중도 주변 개발을 하고 있는 강원중도개발공사.

사업을 할수록 빚더미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애초 사업 자체를 2,000억 원 넘는 빚으로 시작했습니다.

기반 공사 등에 돈을 다 쓰고도 사실상 수익은 없는 상태.

무리한 땅 판매 계약은 줄줄이 해지돼 오히려 배상을 해야 할 처지입니다.

밀린 공사비, 세금 등을 내는데 또 빚을 냈습니다.

결국 파산 위기까지 왔습니다.

강원도가 부랴부랴 방안 마련에 나섭니다.

강원도는 중도공사가 파산하면 피해가 막대하다고 우려합니다.

당장 대위변제금에 배상금까지 4,100억 원의 손실이 생깁니다.

하중도 땅까지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강원도의 선택지는 '유지하느냐, 넘기느냐' 2개로 압축됩니다.

두 경우 모두 대위변제금 2,050억 원은 다 못 받을 공산이 큽니다.

다만 땅은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차이는 강원도가 당장 얼마를 투입해야 하느냐 입니다.

중도공사를 지금처럼 유지하려면 강원도가 급한 빚 1,800억 원을 갚아줘야 합니다.

반면, 강원개발공사에 중도공사를 합치면 일단은 500억 원 출자면 된다는 게 도 설명입니다.

[정광열/강원도 경제부지사 : "정성적인 면을 제외하더라도 단순히 산수로, 숫자만 봐도 GJC(강원중도개발공사) 존속보다는 GJC 청산이 훨씬 유리한 방안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눈가리고 아웅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강원도의 셈법 자체가 당장의 손익만을 강조해 위기 상황을 모면하려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중도공사-강개공 통합…강원도 셈법은?
    • 입력 2025-02-13 19:29:29
    • 수정2025-02-13 19:51:52
    뉴스7(춘천)
[앵커]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를 통합 방안이 강원도의 뜨거운 감자입니다.

'이대로 두면 중도공사 파산 위험이 크다', '오히려 통합이 동반 부실을 가져온다' 각종 우려가 쏟아집니다.

KBS는 복잡한 이 문제를 보다 쉽게, 큰 틀에서 분석해 봅니다.

먼저, 이청초 기자가 파산, 통합 등 경우의 수에 따라 돈이 얼마가 들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춘천 하중도 주변 개발을 하고 있는 강원중도개발공사.

사업을 할수록 빚더미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애초 사업 자체를 2,000억 원 넘는 빚으로 시작했습니다.

기반 공사 등에 돈을 다 쓰고도 사실상 수익은 없는 상태.

무리한 땅 판매 계약은 줄줄이 해지돼 오히려 배상을 해야 할 처지입니다.

밀린 공사비, 세금 등을 내는데 또 빚을 냈습니다.

결국 파산 위기까지 왔습니다.

강원도가 부랴부랴 방안 마련에 나섭니다.

강원도는 중도공사가 파산하면 피해가 막대하다고 우려합니다.

당장 대위변제금에 배상금까지 4,100억 원의 손실이 생깁니다.

하중도 땅까지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강원도의 선택지는 '유지하느냐, 넘기느냐' 2개로 압축됩니다.

두 경우 모두 대위변제금 2,050억 원은 다 못 받을 공산이 큽니다.

다만 땅은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차이는 강원도가 당장 얼마를 투입해야 하느냐 입니다.

중도공사를 지금처럼 유지하려면 강원도가 급한 빚 1,800억 원을 갚아줘야 합니다.

반면, 강원개발공사에 중도공사를 합치면 일단은 500억 원 출자면 된다는 게 도 설명입니다.

[정광열/강원도 경제부지사 : "정성적인 면을 제외하더라도 단순히 산수로, 숫자만 봐도 GJC(강원중도개발공사) 존속보다는 GJC 청산이 훨씬 유리한 방안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눈가리고 아웅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강원도의 셈법 자체가 당장의 손익만을 강조해 위기 상황을 모면하려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