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해외 교수와 수업하며 미래도 준비!
입력 2025.02.13 (19:29)
수정 2025.02.13 (1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생 여러분 겨울 방학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제주의 고등학생들이 외국 대학의 교수들과 문화, 의학 등 분야별로 영어로 수업하는 자리가 마련돼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고민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AI의 기능과 한계를 알기 위해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영어로 설명하는 앳된 얼굴들.
고등학생들입니다.
호주의 대학 교수님께 스스럼 없이 질문도 던집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배워봅시다."]
제주국제교육원이 겨울 방학을 맞아 마련한 외국 대학과의 양방향 수업입니다.
3명이 1조를 이뤄 2주가량 문화와 해양생물, 해부학 등에 대해 주제 발표하는 방식입니다.
참여 학생은 14개 고등학교의 60여 명으로, 올해는 세화고와 한림고 등 읍면지역 고등학생들의 참여가 확대된 게 특징입니다.
[오채원/표선고등학교 : "소통 방식이 굉장히 인상 깊었고, 영어라는 매개체로 한국 교육과는 다른 방식의 수업 형태가 굉장히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과제 준비와 하루 3시간의 수업으로 학생들은 지식도 쌓고 자신감도 덤으로 얻습니다.
[한창화·최세종·이지함/서귀포고등학교 : "(영어 공부는) 해외에 나가서 말하기나 아니면 글 같은 걸 읽거나 하는 목적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평소 학교에서는 영어로 대화를 많이 하지 않다 보니까."]
외국 교수들도 제주 학생들과의 수업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랙 맥판/호주 뉴잉글랜드 대학교 교수 : "학생들의 발표를 듣는 걸 좋아해요. 항상 (발표에서) 무엇인가 다른 걸 발견해요. 제가 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을 발견할 수 있거든요."]
방학 때마다 호응을 얻고 있지만 수업 공간과 참여 인원이 제한된 점은 아쉽습니다.
[양혜숙/제주국제교육원 교육팀장 : "해외 대학 측과 계속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고요. 학생들에게 좀 더 필요한 수업이 되고자 노력할 예정입니다."]
올해부터는 참여 국가가 미국 하와이와 호주 2곳으로 확대된 상황.
학생들의 마음의 창을 넓히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해봅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학생 여러분 겨울 방학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제주의 고등학생들이 외국 대학의 교수들과 문화, 의학 등 분야별로 영어로 수업하는 자리가 마련돼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고민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AI의 기능과 한계를 알기 위해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영어로 설명하는 앳된 얼굴들.
고등학생들입니다.
호주의 대학 교수님께 스스럼 없이 질문도 던집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배워봅시다."]
제주국제교육원이 겨울 방학을 맞아 마련한 외국 대학과의 양방향 수업입니다.
3명이 1조를 이뤄 2주가량 문화와 해양생물, 해부학 등에 대해 주제 발표하는 방식입니다.
참여 학생은 14개 고등학교의 60여 명으로, 올해는 세화고와 한림고 등 읍면지역 고등학생들의 참여가 확대된 게 특징입니다.
[오채원/표선고등학교 : "소통 방식이 굉장히 인상 깊었고, 영어라는 매개체로 한국 교육과는 다른 방식의 수업 형태가 굉장히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과제 준비와 하루 3시간의 수업으로 학생들은 지식도 쌓고 자신감도 덤으로 얻습니다.
[한창화·최세종·이지함/서귀포고등학교 : "(영어 공부는) 해외에 나가서 말하기나 아니면 글 같은 걸 읽거나 하는 목적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평소 학교에서는 영어로 대화를 많이 하지 않다 보니까."]
외국 교수들도 제주 학생들과의 수업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랙 맥판/호주 뉴잉글랜드 대학교 교수 : "학생들의 발표를 듣는 걸 좋아해요. 항상 (발표에서) 무엇인가 다른 걸 발견해요. 제가 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을 발견할 수 있거든요."]
방학 때마다 호응을 얻고 있지만 수업 공간과 참여 인원이 제한된 점은 아쉽습니다.
[양혜숙/제주국제교육원 교육팀장 : "해외 대학 측과 계속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고요. 학생들에게 좀 더 필요한 수업이 되고자 노력할 예정입니다."]
올해부터는 참여 국가가 미국 하와이와 호주 2곳으로 확대된 상황.
학생들의 마음의 창을 넓히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해봅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학, 해외 교수와 수업하며 미래도 준비!
-
- 입력 2025-02-13 19:29:38
- 수정2025-02-13 19:55:55

[앵커]
학생 여러분 겨울 방학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제주의 고등학생들이 외국 대학의 교수들과 문화, 의학 등 분야별로 영어로 수업하는 자리가 마련돼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고민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AI의 기능과 한계를 알기 위해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영어로 설명하는 앳된 얼굴들.
고등학생들입니다.
호주의 대학 교수님께 스스럼 없이 질문도 던집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배워봅시다."]
제주국제교육원이 겨울 방학을 맞아 마련한 외국 대학과의 양방향 수업입니다.
3명이 1조를 이뤄 2주가량 문화와 해양생물, 해부학 등에 대해 주제 발표하는 방식입니다.
참여 학생은 14개 고등학교의 60여 명으로, 올해는 세화고와 한림고 등 읍면지역 고등학생들의 참여가 확대된 게 특징입니다.
[오채원/표선고등학교 : "소통 방식이 굉장히 인상 깊었고, 영어라는 매개체로 한국 교육과는 다른 방식의 수업 형태가 굉장히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과제 준비와 하루 3시간의 수업으로 학생들은 지식도 쌓고 자신감도 덤으로 얻습니다.
[한창화·최세종·이지함/서귀포고등학교 : "(영어 공부는) 해외에 나가서 말하기나 아니면 글 같은 걸 읽거나 하는 목적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평소 학교에서는 영어로 대화를 많이 하지 않다 보니까."]
외국 교수들도 제주 학생들과의 수업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랙 맥판/호주 뉴잉글랜드 대학교 교수 : "학생들의 발표를 듣는 걸 좋아해요. 항상 (발표에서) 무엇인가 다른 걸 발견해요. 제가 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을 발견할 수 있거든요."]
방학 때마다 호응을 얻고 있지만 수업 공간과 참여 인원이 제한된 점은 아쉽습니다.
[양혜숙/제주국제교육원 교육팀장 : "해외 대학 측과 계속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고요. 학생들에게 좀 더 필요한 수업이 되고자 노력할 예정입니다."]
올해부터는 참여 국가가 미국 하와이와 호주 2곳으로 확대된 상황.
학생들의 마음의 창을 넓히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해봅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학생 여러분 겨울 방학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제주의 고등학생들이 외국 대학의 교수들과 문화, 의학 등 분야별로 영어로 수업하는 자리가 마련돼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고민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AI의 기능과 한계를 알기 위해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영어로 설명하는 앳된 얼굴들.
고등학생들입니다.
호주의 대학 교수님께 스스럼 없이 질문도 던집니다.
["인공지능에 대해 배워봅시다."]
제주국제교육원이 겨울 방학을 맞아 마련한 외국 대학과의 양방향 수업입니다.
3명이 1조를 이뤄 2주가량 문화와 해양생물, 해부학 등에 대해 주제 발표하는 방식입니다.
참여 학생은 14개 고등학교의 60여 명으로, 올해는 세화고와 한림고 등 읍면지역 고등학생들의 참여가 확대된 게 특징입니다.
[오채원/표선고등학교 : "소통 방식이 굉장히 인상 깊었고, 영어라는 매개체로 한국 교육과는 다른 방식의 수업 형태가 굉장히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과제 준비와 하루 3시간의 수업으로 학생들은 지식도 쌓고 자신감도 덤으로 얻습니다.
[한창화·최세종·이지함/서귀포고등학교 : "(영어 공부는) 해외에 나가서 말하기나 아니면 글 같은 걸 읽거나 하는 목적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평소 학교에서는 영어로 대화를 많이 하지 않다 보니까."]
외국 교수들도 제주 학생들과의 수업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랙 맥판/호주 뉴잉글랜드 대학교 교수 : "학생들의 발표를 듣는 걸 좋아해요. 항상 (발표에서) 무엇인가 다른 걸 발견해요. 제가 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을 발견할 수 있거든요."]
방학 때마다 호응을 얻고 있지만 수업 공간과 참여 인원이 제한된 점은 아쉽습니다.
[양혜숙/제주국제교육원 교육팀장 : "해외 대학 측과 계속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고요. 학생들에게 좀 더 필요한 수업이 되고자 노력할 예정입니다."]
올해부터는 참여 국가가 미국 하와이와 호주 2곳으로 확대된 상황.
학생들의 마음의 창을 넓히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해봅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
-
고민주 기자 thinking@kbs.co.kr
고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