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이어 자동차도…트럼프 “4월초 관세 부과”
입력 2025.02.15 (17:01)
수정 2025.02.15 (1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도체에 이어 미국에 수출되는 자동차에도 관세가 부과가 임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초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협상의 여지는 있지만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인 자동차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지 하루 만입니다.
현지 시각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 서명 전 관세가 미국의 많은 산업을 살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4월 2일로 하겠습니다. (4월 1일과) 하루 차이인데 그 하루에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아시나요?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부과할 겁니다."]
앞서 철강·알루미늄에 예외없이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내놨고, 이번엔 자동차를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한국은 한미 FTA에 따라 2016년부터 미국에 무관세로 자동차를 수출해 왔습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에만 347억 달러, 약 50조 원어치를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전선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타이완과 한국을 주요 반도체 생산지로 지목하며, 반도체 산업을 되찾아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관세로 (US스틸을) 지켜냈고, 이제는 수익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세는 앞으로도 많은 산업을 살릴 것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와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모두 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되는 겁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으면서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두겠다고 밝혀 각국과 협상 여지는 남겨뒀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
반도체에 이어 미국에 수출되는 자동차에도 관세가 부과가 임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초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협상의 여지는 있지만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인 자동차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지 하루 만입니다.
현지 시각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 서명 전 관세가 미국의 많은 산업을 살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4월 2일로 하겠습니다. (4월 1일과) 하루 차이인데 그 하루에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아시나요?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부과할 겁니다."]
앞서 철강·알루미늄에 예외없이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내놨고, 이번엔 자동차를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한국은 한미 FTA에 따라 2016년부터 미국에 무관세로 자동차를 수출해 왔습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에만 347억 달러, 약 50조 원어치를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전선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타이완과 한국을 주요 반도체 생산지로 지목하며, 반도체 산업을 되찾아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관세로 (US스틸을) 지켜냈고, 이제는 수익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세는 앞으로도 많은 산업을 살릴 것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와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모두 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되는 겁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으면서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두겠다고 밝혀 각국과 협상 여지는 남겨뒀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이어 자동차도…트럼프 “4월초 관세 부과”
-
- 입력 2025-02-15 17:01:11
- 수정2025-02-15 19:09:58
![](/data/news/2025/02/15/20250215_i7ZMw2.jpg)
[앵커]
반도체에 이어 미국에 수출되는 자동차에도 관세가 부과가 임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초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협상의 여지는 있지만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인 자동차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지 하루 만입니다.
현지 시각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 서명 전 관세가 미국의 많은 산업을 살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4월 2일로 하겠습니다. (4월 1일과) 하루 차이인데 그 하루에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아시나요?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부과할 겁니다."]
앞서 철강·알루미늄에 예외없이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내놨고, 이번엔 자동차를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한국은 한미 FTA에 따라 2016년부터 미국에 무관세로 자동차를 수출해 왔습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에만 347억 달러, 약 50조 원어치를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전선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타이완과 한국을 주요 반도체 생산지로 지목하며, 반도체 산업을 되찾아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관세로 (US스틸을) 지켜냈고, 이제는 수익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세는 앞으로도 많은 산업을 살릴 것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와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모두 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되는 겁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으면서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두겠다고 밝혀 각국과 협상 여지는 남겨뒀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
반도체에 이어 미국에 수출되는 자동차에도 관세가 부과가 임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초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협상의 여지는 있지만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인 자동차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지 하루 만입니다.
현지 시각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 서명 전 관세가 미국의 많은 산업을 살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4월 2일로 하겠습니다. (4월 1일과) 하루 차이인데 그 하루에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아시나요?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는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부과할 겁니다."]
앞서 철강·알루미늄에 예외없이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내놨고, 이번엔 자동차를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한국은 한미 FTA에 따라 2016년부터 미국에 무관세로 자동차를 수출해 왔습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에만 347억 달러, 약 50조 원어치를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트럼프발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전선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타이완과 한국을 주요 반도체 생산지로 지목하며, 반도체 산업을 되찾아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관세로 (US스틸을) 지켜냈고, 이제는 수익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세는 앞으로도 많은 산업을 살릴 것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품 1위와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모두 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되는 겁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으면서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두겠다고 밝혀 각국과 협상 여지는 남겨뒀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