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잇딴 어선 사고…어업인이 보는 원인과 해법은?

입력 2025.02.17 (19:10) 수정 2025.02.17 (2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제주 앞바다에서 갈치잡이 어선 사고가 난지 오늘로 닷새가 지났습니다.

2명은 소중한 목숨을 잃었고, 3명은 아직 실종 상태입니다.

올해 들어, 유독 어선 사고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 토끼섬 인근에서도 어선 2척이 좌초돼 인명피해가 났고, 갈치를 잡으러 저 멀리 타이완 인근 해역까지 나갔던 어선이 전복되기도 했습니다.

잇따르고 있는 어선 사고, 원인은 무엇이고 어업인들이 원하는 대책은 무엇인지, 박종택 제주시 어선주협회장 모시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보겠습니다.

협회장님, 어서오세요.

최근 잇따른 어선 사고로 어업인들의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희생자와 유가족 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지난 12일이죠,

서귀포 앞바다에서 발생한 갈치잡이 어선의 안타까운 사고, 현장에서는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앵커]

협회장께서도 바다에서 40년 이상 업을 이어오신걸로 알고 있는데, 최근 바다 날씨가 확실히 예전과 다르다고 느끼시나요?

좀 어떠세요?

[앵커]

이번에는 원거리 조업 문제를 좀 살펴보죠.

날씨가 안 좋거나 하면 제주 가까운 연근해에서 조업을 하면 사고 위험이 좀 줄어들 것 같은데, 원거리까지 가야 하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렇다면 이런 원거리 조업 문제는 10년 가까이 표류하고 있는 한일 EEZ, 배타적 경제수역 협상의 영향도 있다고 보세요?

[앵커]

이번에는 조업 여건을 좀 보겠습니다.

사고가 나면 무리한 조업이다 뭐 이런 얘기도 나오는데, 현장에서는 어떻습니까?

기름값에 선원 인건비에, 웬만하면 궂은 날씨에도 조업을 포기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떠세요?

[앵커]

이번에는 반복되는 사고와 관련된 정부 대책 좀 짚어보겠습니다.

최근 이렇게 어선 사고가 급증하고 있으면, 정확한 원인 진단과 그에 따른 정책이 나와야, 안타까운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 현장에서 보시기에 정부 대책은 어떻습니까?

피부에 와 닿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잇딴 어선 사고…어업인이 보는 원인과 해법은?
    • 입력 2025-02-17 19:10:20
    • 수정2025-02-17 20:20:43
    뉴스7(제주)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제주 앞바다에서 갈치잡이 어선 사고가 난지 오늘로 닷새가 지났습니다.

2명은 소중한 목숨을 잃었고, 3명은 아직 실종 상태입니다.

올해 들어, 유독 어선 사고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 토끼섬 인근에서도 어선 2척이 좌초돼 인명피해가 났고, 갈치를 잡으러 저 멀리 타이완 인근 해역까지 나갔던 어선이 전복되기도 했습니다.

잇따르고 있는 어선 사고, 원인은 무엇이고 어업인들이 원하는 대책은 무엇인지, 박종택 제주시 어선주협회장 모시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보겠습니다.

협회장님, 어서오세요.

최근 잇따른 어선 사고로 어업인들의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희생자와 유가족 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지난 12일이죠,

서귀포 앞바다에서 발생한 갈치잡이 어선의 안타까운 사고, 현장에서는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앵커]

협회장께서도 바다에서 40년 이상 업을 이어오신걸로 알고 있는데, 최근 바다 날씨가 확실히 예전과 다르다고 느끼시나요?

좀 어떠세요?

[앵커]

이번에는 원거리 조업 문제를 좀 살펴보죠.

날씨가 안 좋거나 하면 제주 가까운 연근해에서 조업을 하면 사고 위험이 좀 줄어들 것 같은데, 원거리까지 가야 하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렇다면 이런 원거리 조업 문제는 10년 가까이 표류하고 있는 한일 EEZ, 배타적 경제수역 협상의 영향도 있다고 보세요?

[앵커]

이번에는 조업 여건을 좀 보겠습니다.

사고가 나면 무리한 조업이다 뭐 이런 얘기도 나오는데, 현장에서는 어떻습니까?

기름값에 선원 인건비에, 웬만하면 궂은 날씨에도 조업을 포기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떠세요?

[앵커]

이번에는 반복되는 사고와 관련된 정부 대책 좀 짚어보겠습니다.

최근 이렇게 어선 사고가 급증하고 있으면, 정확한 원인 진단과 그에 따른 정책이 나와야, 안타까운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 현장에서 보시기에 정부 대책은 어떻습니까?

피부에 와 닿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