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ㅏ핫 AI] AI로 데이터 분석 보고서 만들기

입력 2025.02.18 (20:08) 수정 2025.02.18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AI를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전해드리는 '아핫 AI'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 모르는 것은 찾아보는 똑똑한 AI 기술, RAG에 대해 알려드렸죠.

RAG 기술은 LLM이 가진 다소 한정적인 데이터가 아닌 최신 정보를 알아서 찾고 반영하는데요.

오늘은 이 RAG를 어떻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볼텐데요,

지금까지 방송한 ‘아핫AI’코너의 모든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활용해 보고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분석할 자료를 모아야 합니다.

RAG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를 활용해 ‘KBS 아핫AI 방송 목록과 회차별 주요 주제’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각 회차에서 다룬 주요 내용을 AI가 정리해서 정보를 보내줍니다.

이제 데이터를 검색했으니, 분석하는 과정으로 넘어가 볼까요?

여러 회차의 아핫 AI 원고를 입력하면, AI(노트북 LM)가 이를 분석해 주요 키워드와 주제별 패턴을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AI가 자주 다룬 키워드인 ‘생성형 AI’, ‘윤리’, ‘자동화’, ‘데이터 보안’등이 될 수도 있겠죠.

이를 통해 AI가 다룬 주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겠죠.

챗지피티(ChatGPT)나 클로드(Claude) 같은 AI 모델을 활용하면, 논리적으로 정리된 보고서의 초안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보고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AI가 자동으로 차트와 그래프를 생성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각 방송에서 등장한 AI 개념의 빈도수를 워드 클라우드나 막대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보고서가 완성됐는데요.

이 보고서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도 AI가 도움이 됩니다.

작성된 보고서를 바탕으로 아핫 AI의 주제 변화 흐름을 분석하면, 초반과 후반 방송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AI에게 향후 다루면 좋을 주제를 추천받아 아이템을 기획하는데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보안’, ‘AI 윤리 가이드라인’, ‘AI와 기후 변화’ 같은 주제들입니다.

이처럼 RAG 기술을 활용하면, 실제 업무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성한 문서에 대한 책임은 사람이 져야 하므로 검토와 수정을 거치는 과정은 꼭 필요합니다.

AI가 도와주는 데이터 분석과 보고서 작성, AI와 함께하는 업무 혁신을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아핫 AI’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ㅏ핫 AI] AI로 데이터 분석 보고서 만들기
    • 입력 2025-02-18 20:08:43
    • 수정2025-02-18 20:18:13
    뉴스7(부산)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AI를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전해드리는 '아핫 AI'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 모르는 것은 찾아보는 똑똑한 AI 기술, RAG에 대해 알려드렸죠.

RAG 기술은 LLM이 가진 다소 한정적인 데이터가 아닌 최신 정보를 알아서 찾고 반영하는데요.

오늘은 이 RAG를 어떻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볼텐데요,

지금까지 방송한 ‘아핫AI’코너의 모든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활용해 보고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분석할 자료를 모아야 합니다.

RAG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를 활용해 ‘KBS 아핫AI 방송 목록과 회차별 주요 주제’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각 회차에서 다룬 주요 내용을 AI가 정리해서 정보를 보내줍니다.

이제 데이터를 검색했으니, 분석하는 과정으로 넘어가 볼까요?

여러 회차의 아핫 AI 원고를 입력하면, AI(노트북 LM)가 이를 분석해 주요 키워드와 주제별 패턴을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AI가 자주 다룬 키워드인 ‘생성형 AI’, ‘윤리’, ‘자동화’, ‘데이터 보안’등이 될 수도 있겠죠.

이를 통해 AI가 다룬 주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겠죠.

챗지피티(ChatGPT)나 클로드(Claude) 같은 AI 모델을 활용하면, 논리적으로 정리된 보고서의 초안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보고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AI가 자동으로 차트와 그래프를 생성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각 방송에서 등장한 AI 개념의 빈도수를 워드 클라우드나 막대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보고서가 완성됐는데요.

이 보고서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도 AI가 도움이 됩니다.

작성된 보고서를 바탕으로 아핫 AI의 주제 변화 흐름을 분석하면, 초반과 후반 방송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AI에게 향후 다루면 좋을 주제를 추천받아 아이템을 기획하는데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보안’, ‘AI 윤리 가이드라인’, ‘AI와 기후 변화’ 같은 주제들입니다.

이처럼 RAG 기술을 활용하면, 실제 업무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성한 문서에 대한 책임은 사람이 져야 하므로 검토와 수정을 거치는 과정은 꼭 필요합니다.

AI가 도와주는 데이터 분석과 보고서 작성, AI와 함께하는 업무 혁신을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아핫 AI’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