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리 리조트 사업 전환평 거짓 작성 논란…“적절치 못한 표현 인정”
입력 2025.02.19 (19:04)
수정 2025.02.19 (2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천연 용암동굴을 품은 목장에 대규모 리조트 개발사업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해당 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 이에 사업자 측이 일부 사실과 달리 기술됐다고 인정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산읍 신천리 목장에 추진되는 리조트 개발사업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입니다.
부지 내 있는 마장굴의 원형을 보존하며 리조트 공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리조트에서 발생할 다량의 하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사업계획서상 예상되는 하수 발생량은 하루 기준 312톤.
해녀들과 주민들은 광역시설이 아닌 개인하수시설만 거친 방류수가 배출되면 바다가 오염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성조/신천리 어촌계장 : "바다로 방류했을 경우엔 우리는 뭐 집을 짓든지 말든지 간에 (리조트 사업)하는 것을 우리는 용납하지 않겠다는 그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사업자는 주민 공청회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처리할 계획이고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와 협의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도 공공하수도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하수도본부와 협의했다는 설명이 반복해서 기술됩니다.
하지만,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사업자와의 협의가 완료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사업자가 반발이 큰 하수 처리 쟁점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사실과 다르게 기술하고, 공청회에서도 주민들이 오해하게끔 잘못 설명한 겁니다.
[이영웅/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사업자가 제주도와 협의가 완료됐다고 주장을 한 것은 주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지 않았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사업자 측은 적절치 못한 표현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있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다만, 일부러 거짓 작성하려 한 게 아니라 하수 처리 문제를 잘 협의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려다 표현이 약간 확고하게 적혔다고 해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짓 작성한 사업의 경우 반려 결정도 내려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는 최종 보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조만간 제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서경환
천연 용암동굴을 품은 목장에 대규모 리조트 개발사업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해당 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 이에 사업자 측이 일부 사실과 달리 기술됐다고 인정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산읍 신천리 목장에 추진되는 리조트 개발사업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입니다.
부지 내 있는 마장굴의 원형을 보존하며 리조트 공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리조트에서 발생할 다량의 하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사업계획서상 예상되는 하수 발생량은 하루 기준 312톤.
해녀들과 주민들은 광역시설이 아닌 개인하수시설만 거친 방류수가 배출되면 바다가 오염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성조/신천리 어촌계장 : "바다로 방류했을 경우엔 우리는 뭐 집을 짓든지 말든지 간에 (리조트 사업)하는 것을 우리는 용납하지 않겠다는 그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사업자는 주민 공청회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처리할 계획이고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와 협의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도 공공하수도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하수도본부와 협의했다는 설명이 반복해서 기술됩니다.
하지만,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사업자와의 협의가 완료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사업자가 반발이 큰 하수 처리 쟁점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사실과 다르게 기술하고, 공청회에서도 주민들이 오해하게끔 잘못 설명한 겁니다.
[이영웅/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사업자가 제주도와 협의가 완료됐다고 주장을 한 것은 주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지 않았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사업자 측은 적절치 못한 표현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있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다만, 일부러 거짓 작성하려 한 게 아니라 하수 처리 문제를 잘 협의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려다 표현이 약간 확고하게 적혔다고 해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짓 작성한 사업의 경우 반려 결정도 내려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는 최종 보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조만간 제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서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천리 리조트 사업 전환평 거짓 작성 논란…“적절치 못한 표현 인정”
-
- 입력 2025-02-19 19:04:19
- 수정2025-02-19 20:12:38

[앵커]
천연 용암동굴을 품은 목장에 대규모 리조트 개발사업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해당 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 이에 사업자 측이 일부 사실과 달리 기술됐다고 인정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산읍 신천리 목장에 추진되는 리조트 개발사업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입니다.
부지 내 있는 마장굴의 원형을 보존하며 리조트 공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리조트에서 발생할 다량의 하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사업계획서상 예상되는 하수 발생량은 하루 기준 312톤.
해녀들과 주민들은 광역시설이 아닌 개인하수시설만 거친 방류수가 배출되면 바다가 오염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성조/신천리 어촌계장 : "바다로 방류했을 경우엔 우리는 뭐 집을 짓든지 말든지 간에 (리조트 사업)하는 것을 우리는 용납하지 않겠다는 그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사업자는 주민 공청회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처리할 계획이고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와 협의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도 공공하수도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하수도본부와 협의했다는 설명이 반복해서 기술됩니다.
하지만,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사업자와의 협의가 완료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사업자가 반발이 큰 하수 처리 쟁점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사실과 다르게 기술하고, 공청회에서도 주민들이 오해하게끔 잘못 설명한 겁니다.
[이영웅/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사업자가 제주도와 협의가 완료됐다고 주장을 한 것은 주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지 않았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사업자 측은 적절치 못한 표현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있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다만, 일부러 거짓 작성하려 한 게 아니라 하수 처리 문제를 잘 협의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려다 표현이 약간 확고하게 적혔다고 해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짓 작성한 사업의 경우 반려 결정도 내려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는 최종 보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조만간 제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서경환
천연 용암동굴을 품은 목장에 대규모 리조트 개발사업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해당 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 이에 사업자 측이 일부 사실과 달리 기술됐다고 인정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산읍 신천리 목장에 추진되는 리조트 개발사업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입니다.
부지 내 있는 마장굴의 원형을 보존하며 리조트 공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리조트에서 발생할 다량의 하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입니다.
사업계획서상 예상되는 하수 발생량은 하루 기준 312톤.
해녀들과 주민들은 광역시설이 아닌 개인하수시설만 거친 방류수가 배출되면 바다가 오염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성조/신천리 어촌계장 : "바다로 방류했을 경우엔 우리는 뭐 집을 짓든지 말든지 간에 (리조트 사업)하는 것을 우리는 용납하지 않겠다는 그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사업자는 주민 공청회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처리할 계획이고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와 협의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도 공공하수도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하수도본부와 협의했다는 설명이 반복해서 기술됩니다.
하지만,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사업자와의 협의가 완료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사업자가 반발이 큰 하수 처리 쟁점에 대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사실과 다르게 기술하고, 공청회에서도 주민들이 오해하게끔 잘못 설명한 겁니다.
[이영웅/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사업자가 제주도와 협의가 완료됐다고 주장을 한 것은 주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지 않았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사업자 측은 적절치 못한 표현이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있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다만, 일부러 거짓 작성하려 한 게 아니라 하수 처리 문제를 잘 협의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려다 표현이 약간 확고하게 적혔다고 해명했습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짓 작성한 사업의 경우 반려 결정도 내려질 수 있습니다.
사업자는 최종 보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조만간 제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서경환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