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도 25% 관세 폭탄, 반도체는 25% 이상
입력 2025.02.19 (21:00)
수정 2025.02.19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또 꺼냈습니다.
자동차에는 25%, 반도체와 의약품엔 25% 이상, 이렇게 높은 관세율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입니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뉴욕 박일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4월 2일부터 자동차에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번엔 관세율이 어느 정도나 될지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 관세는) 4월 2일에 얘기하겠지만, 25% 정도가 될 겁니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1조 2천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 적자 가운데 자동차 관련 적자가 약 천4백70억 달러로 전체의 15%에 이릅니다.
적자액이 천억 달러를 넘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도 25%, 혹은 그 이상이 될 거라고 했습니다.
관세 카드로 무역 적자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겁니다.
다만 미국 내 업계와 물가에 대한 당장의 충격을 감안한 듯 시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라는 겁니다.
이미 많은 사업주들이 연락을 해왔다고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들에게 미국으로 올 시간을 주고 싶습니다. 미국으로 와서 미국 내에 공장이 있다면 관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기회를 좀 주고 싶어요."]
하지만 공급망이 국제적으로 촘촘히 얽혀 있는 상황에서 공장을 옮기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존 보젤라/세계자동차제조사협회장/블룸버그 인터뷰 : "자산을 하룻밤에 옮길 수 없습니다. 공급망을 하룻밤 새 바꿀 수 없습니다. 생산시설을 밤새 옮길 수 없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관세 부과를 유예해 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해선 관세를 어떻게 할지 아직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 자체가 시장에선 불안 요소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경진/자료조사:이수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또 꺼냈습니다.
자동차에는 25%, 반도체와 의약품엔 25% 이상, 이렇게 높은 관세율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입니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뉴욕 박일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4월 2일부터 자동차에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번엔 관세율이 어느 정도나 될지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 관세는) 4월 2일에 얘기하겠지만, 25% 정도가 될 겁니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1조 2천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 적자 가운데 자동차 관련 적자가 약 천4백70억 달러로 전체의 15%에 이릅니다.
적자액이 천억 달러를 넘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도 25%, 혹은 그 이상이 될 거라고 했습니다.
관세 카드로 무역 적자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겁니다.
다만 미국 내 업계와 물가에 대한 당장의 충격을 감안한 듯 시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라는 겁니다.
이미 많은 사업주들이 연락을 해왔다고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들에게 미국으로 올 시간을 주고 싶습니다. 미국으로 와서 미국 내에 공장이 있다면 관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기회를 좀 주고 싶어요."]
하지만 공급망이 국제적으로 촘촘히 얽혀 있는 상황에서 공장을 옮기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존 보젤라/세계자동차제조사협회장/블룸버그 인터뷰 : "자산을 하룻밤에 옮길 수 없습니다. 공급망을 하룻밤 새 바꿀 수 없습니다. 생산시설을 밤새 옮길 수 없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관세 부과를 유예해 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해선 관세를 어떻게 할지 아직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 자체가 시장에선 불안 요소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경진/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동차도 25% 관세 폭탄, 반도체는 25% 이상
-
- 입력 2025-02-19 21:00:55
- 수정2025-02-19 22:04:37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또 꺼냈습니다.
자동차에는 25%, 반도체와 의약품엔 25% 이상, 이렇게 높은 관세율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입니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뉴욕 박일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4월 2일부터 자동차에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번엔 관세율이 어느 정도나 될지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 관세는) 4월 2일에 얘기하겠지만, 25% 정도가 될 겁니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1조 2천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 적자 가운데 자동차 관련 적자가 약 천4백70억 달러로 전체의 15%에 이릅니다.
적자액이 천억 달러를 넘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도 25%, 혹은 그 이상이 될 거라고 했습니다.
관세 카드로 무역 적자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겁니다.
다만 미국 내 업계와 물가에 대한 당장의 충격을 감안한 듯 시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라는 겁니다.
이미 많은 사업주들이 연락을 해왔다고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들에게 미국으로 올 시간을 주고 싶습니다. 미국으로 와서 미국 내에 공장이 있다면 관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기회를 좀 주고 싶어요."]
하지만 공급망이 국제적으로 촘촘히 얽혀 있는 상황에서 공장을 옮기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존 보젤라/세계자동차제조사협회장/블룸버그 인터뷰 : "자산을 하룻밤에 옮길 수 없습니다. 공급망을 하룻밤 새 바꿀 수 없습니다. 생산시설을 밤새 옮길 수 없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관세 부과를 유예해 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해선 관세를 어떻게 할지 아직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 자체가 시장에선 불안 요소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경진/자료조사:이수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또 꺼냈습니다.
자동차에는 25%, 반도체와 의약품엔 25% 이상, 이렇게 높은 관세율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입니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뉴욕 박일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4월 2일부터 자동차에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번엔 관세율이 어느 정도나 될지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자동차 관세는) 4월 2일에 얘기하겠지만, 25% 정도가 될 겁니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1조 2천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 적자 가운데 자동차 관련 적자가 약 천4백70억 달러로 전체의 15%에 이릅니다.
적자액이 천억 달러를 넘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도 25%, 혹은 그 이상이 될 거라고 했습니다.
관세 카드로 무역 적자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겁니다.
다만 미국 내 업계와 물가에 대한 당장의 충격을 감안한 듯 시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라는 겁니다.
이미 많은 사업주들이 연락을 해왔다고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들에게 미국으로 올 시간을 주고 싶습니다. 미국으로 와서 미국 내에 공장이 있다면 관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기회를 좀 주고 싶어요."]
하지만 공급망이 국제적으로 촘촘히 얽혀 있는 상황에서 공장을 옮기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존 보젤라/세계자동차제조사협회장/블룸버그 인터뷰 : "자산을 하룻밤에 옮길 수 없습니다. 공급망을 하룻밤 새 바꿀 수 없습니다. 생산시설을 밤새 옮길 수 없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관세 부과를 유예해 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해선 관세를 어떻게 할지 아직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 자체가 시장에선 불안 요소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경진/자료조사:이수아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