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에 친환경직불금 인상…환영 속 아쉬움
입력 2025.02.24 (10:27)
수정 2025.02.24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손이 많이 가고 키우기는 어려운데, 값은 일반 농산물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데요.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지만 여전히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40년 가까이 친환경 벼농사를 짓는 장광익 씨.
요즘 친환경 재배를 계속할지 아니면 그만둘지 고민이 큽니다.
일반 벼보다 손이 갑절 이상 가지만 소득은 10퍼센트가량밖에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친환경은 약(제초제)을 못 치거든요. 사람으로 풀을 맨다면 200평을 생각했을 때 한 5명은 가져야 제초를 할 거예요."]
특히, 주변 친환경 농가들이 속속 일반농으로 전환하면서 기반까지 무너지고 있습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완주가 한 6백에서 8백 명 정도까지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 280명에서 3백 명 남짓밖에 안 남았어요."]
실제로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인증 농가는 지난 12년 동안 절반 넘게 줄었고, 전북 역시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노력에 비해 제값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건데,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논의 경우 헥타르당 최대 25만 원까지 인상합니다.
상한 면적도 농가당 5헥타르에서 30헥타르로 늘리고 쌀은 공공 비축미 우선 매입 혜택도 주기로 했습니다.
전북도도 친환경 희망 농부 육성과 친환경 농업 기반 구축 등 24개 사업에 351억 원을 투입합니다.
[정재관/전북도 스마트농산과장 : "예전의 7천8백㏊ 정도 될 때까지 우리가 점차적으로 친환경 인증 면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여전합니다.
이번 방안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벼 재배 면적 조정의 하나로 논 중심으로만 이뤄져, 밭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논의 경우에도 벼와 연근, 미나리 재배에만 직불금을 인상해 품목 다양화는 아쉬운 대목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손이 많이 가고 키우기는 어려운데, 값은 일반 농산물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데요.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지만 여전히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40년 가까이 친환경 벼농사를 짓는 장광익 씨.
요즘 친환경 재배를 계속할지 아니면 그만둘지 고민이 큽니다.
일반 벼보다 손이 갑절 이상 가지만 소득은 10퍼센트가량밖에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친환경은 약(제초제)을 못 치거든요. 사람으로 풀을 맨다면 200평을 생각했을 때 한 5명은 가져야 제초를 할 거예요."]
특히, 주변 친환경 농가들이 속속 일반농으로 전환하면서 기반까지 무너지고 있습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완주가 한 6백에서 8백 명 정도까지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 280명에서 3백 명 남짓밖에 안 남았어요."]
실제로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인증 농가는 지난 12년 동안 절반 넘게 줄었고, 전북 역시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노력에 비해 제값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건데,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논의 경우 헥타르당 최대 25만 원까지 인상합니다.
상한 면적도 농가당 5헥타르에서 30헥타르로 늘리고 쌀은 공공 비축미 우선 매입 혜택도 주기로 했습니다.
전북도도 친환경 희망 농부 육성과 친환경 농업 기반 구축 등 24개 사업에 351억 원을 투입합니다.
[정재관/전북도 스마트농산과장 : "예전의 7천8백㏊ 정도 될 때까지 우리가 점차적으로 친환경 인증 면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여전합니다.
이번 방안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벼 재배 면적 조정의 하나로 논 중심으로만 이뤄져, 밭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논의 경우에도 벼와 연근, 미나리 재배에만 직불금을 인상해 품목 다양화는 아쉬운 대목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년 만에 친환경직불금 인상…환영 속 아쉬움
-
- 입력 2025-02-24 10:27:42
- 수정2025-02-24 10:34:09

[앵커]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손이 많이 가고 키우기는 어려운데, 값은 일반 농산물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데요.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지만 여전히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40년 가까이 친환경 벼농사를 짓는 장광익 씨.
요즘 친환경 재배를 계속할지 아니면 그만둘지 고민이 큽니다.
일반 벼보다 손이 갑절 이상 가지만 소득은 10퍼센트가량밖에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친환경은 약(제초제)을 못 치거든요. 사람으로 풀을 맨다면 200평을 생각했을 때 한 5명은 가져야 제초를 할 거예요."]
특히, 주변 친환경 농가들이 속속 일반농으로 전환하면서 기반까지 무너지고 있습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완주가 한 6백에서 8백 명 정도까지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 280명에서 3백 명 남짓밖에 안 남았어요."]
실제로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인증 농가는 지난 12년 동안 절반 넘게 줄었고, 전북 역시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노력에 비해 제값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건데,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논의 경우 헥타르당 최대 25만 원까지 인상합니다.
상한 면적도 농가당 5헥타르에서 30헥타르로 늘리고 쌀은 공공 비축미 우선 매입 혜택도 주기로 했습니다.
전북도도 친환경 희망 농부 육성과 친환경 농업 기반 구축 등 24개 사업에 351억 원을 투입합니다.
[정재관/전북도 스마트농산과장 : "예전의 7천8백㏊ 정도 될 때까지 우리가 점차적으로 친환경 인증 면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여전합니다.
이번 방안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벼 재배 면적 조정의 하나로 논 중심으로만 이뤄져, 밭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논의 경우에도 벼와 연근, 미나리 재배에만 직불금을 인상해 품목 다양화는 아쉬운 대목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손이 많이 가고 키우기는 어려운데, 값은 일반 농산물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데요.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지만 여전히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40년 가까이 친환경 벼농사를 짓는 장광익 씨.
요즘 친환경 재배를 계속할지 아니면 그만둘지 고민이 큽니다.
일반 벼보다 손이 갑절 이상 가지만 소득은 10퍼센트가량밖에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친환경은 약(제초제)을 못 치거든요. 사람으로 풀을 맨다면 200평을 생각했을 때 한 5명은 가져야 제초를 할 거예요."]
특히, 주변 친환경 농가들이 속속 일반농으로 전환하면서 기반까지 무너지고 있습니다.
[장광익/완주군 친환경농업인 협회장 : "완주가 한 6백에서 8백 명 정도까지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 280명에서 3백 명 남짓밖에 안 남았어요."]
실제로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인증 농가는 지난 12년 동안 절반 넘게 줄었고, 전북 역시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노력에 비해 제값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건데, 급기야 정부가 7년 만에 직불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논의 경우 헥타르당 최대 25만 원까지 인상합니다.
상한 면적도 농가당 5헥타르에서 30헥타르로 늘리고 쌀은 공공 비축미 우선 매입 혜택도 주기로 했습니다.
전북도도 친환경 희망 농부 육성과 친환경 농업 기반 구축 등 24개 사업에 351억 원을 투입합니다.
[정재관/전북도 스마트농산과장 : "예전의 7천8백㏊ 정도 될 때까지 우리가 점차적으로 친환경 인증 면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여전합니다.
이번 방안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벼 재배 면적 조정의 하나로 논 중심으로만 이뤄져, 밭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논의 경우에도 벼와 연근, 미나리 재배에만 직불금을 인상해 품목 다양화는 아쉬운 대목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