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김태희처럼 젊어진다? ‘저속 노화 도시락’ 열풍

입력 2025.02.24 (18:11) 수정 2025.02.24 (1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대형마트에 깜짝 등장한 배우 김태희 씹니다.

40대라는 게 믿기지 않는 그녀의 앳된 얼굴이 화제였습니다.

대체 뭘 먹으면 저렇게 젊음을 유지할까 요즘 잘 나가는 도시락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닭가슴살 스테이크 도시락’ 입니다 핵심은 렌틸콩 현미밥과 닭가슴살.

비슷한 구성으로 렌틸콩 유부초밥 닭가슴살 샌드위치도 출시됐습니다.

제품마다 등장하는 이 사람 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입니다.

[정희원/교수 : "건강한 식사는 특히 불건강한 식사에 비해서 10년 정도 이상 수명을 늘려줄 수 있다."]

천천히 늙는다 이른바 '저속노화’라는 개념을 널리 알린 정 교수는 최근 편의점·식품업계 섭외 1순윕니다.

앞서 보신대로 세븐일레븐이 정 교수와 협업한 ‘저속노화 간편식’ 5종 완판에 완판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CJ 제일제당은 정 교수의 레시피를 차용한 즉석밥을 선보였습니다

렌틸콩·귀리·현미·백미의 비율이 정확히 4:2:2:2!

출시 두달 만에 누적판매량 42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한동안 MZ세대들의 입맛은 이른바 ‘맵·단·짠’ 맵고 달고 짠 맛이 대세였습니다.

하지만 마라탕 탕후루 같은 자극적 음식으로 상징되던 간편식·가공식품 세계에도 밋밋한 저당, 저염 식품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희원 교수의 조곤조곤한 일갈이 한 몫을 했습니다.

[정희원/교수 : "정제 탄수화물과 단순당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들이 탄산음료라든지 또는 과일주스 이런 것들을 제일 먼저 피해야 되고 또 라면이라든지 시리얼과 같은 정제 곡물, 빵 이런 것들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 젊게, 더 건강하게, 이른바 저속 노화 소구층이 간편식 시장 트렌드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김태희처럼 젊어진다? ‘저속 노화 도시락’ 열풍
    • 입력 2025-02-24 18:11:11
    • 수정2025-02-24 18:28:37
    경제콘서트
최근 대형마트에 깜짝 등장한 배우 김태희 씹니다.

40대라는 게 믿기지 않는 그녀의 앳된 얼굴이 화제였습니다.

대체 뭘 먹으면 저렇게 젊음을 유지할까 요즘 잘 나가는 도시락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닭가슴살 스테이크 도시락’ 입니다 핵심은 렌틸콩 현미밥과 닭가슴살.

비슷한 구성으로 렌틸콩 유부초밥 닭가슴살 샌드위치도 출시됐습니다.

제품마다 등장하는 이 사람 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입니다.

[정희원/교수 : "건강한 식사는 특히 불건강한 식사에 비해서 10년 정도 이상 수명을 늘려줄 수 있다."]

천천히 늙는다 이른바 '저속노화’라는 개념을 널리 알린 정 교수는 최근 편의점·식품업계 섭외 1순윕니다.

앞서 보신대로 세븐일레븐이 정 교수와 협업한 ‘저속노화 간편식’ 5종 완판에 완판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CJ 제일제당은 정 교수의 레시피를 차용한 즉석밥을 선보였습니다

렌틸콩·귀리·현미·백미의 비율이 정확히 4:2:2:2!

출시 두달 만에 누적판매량 42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한동안 MZ세대들의 입맛은 이른바 ‘맵·단·짠’ 맵고 달고 짠 맛이 대세였습니다.

하지만 마라탕 탕후루 같은 자극적 음식으로 상징되던 간편식·가공식품 세계에도 밋밋한 저당, 저염 식품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희원 교수의 조곤조곤한 일갈이 한 몫을 했습니다.

[정희원/교수 : "정제 탄수화물과 단순당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들이 탄산음료라든지 또는 과일주스 이런 것들을 제일 먼저 피해야 되고 또 라면이라든지 시리얼과 같은 정제 곡물, 빵 이런 것들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 젊게, 더 건강하게, 이른바 저속 노화 소구층이 간편식 시장 트렌드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