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포항] 경북 어업생산량 증가율 전국 최고 외

입력 2025.02.24 (19:30) 수정 2025.02.24 (1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경북의 어업생산량이 1년 전보다 5.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동향 자료를 보면 경북의 어업생산량은 10만 8천 톤, 생산 금액은 4천923억 원을 기록하면서 전국 시도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습니다.

어업 유형별로는 연근해어업이 94%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해면 양식업, 내수면어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어종별 어획량은 청어와 참조기, 젓새우류 등이 증가했고 고등어류, 멸치, 살오징어 등은 감소했습니다.

28일부터 나흘 동안 울진대게 축제

'2025 울진대게와 붉은대게 축제'가 28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나흘간 후포면 왕돌초 광장 일원에서 열립니다.

이번 축제에서는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축하공연과 대게 낚시, 대게 경매, 초대형 게장 비빔밥 만들기, 읍ㆍ면 대항 게 줄당기기, 품바 경연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울진군은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해 올해 개통한 동해선 후포역에서 축제장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6월부터 보문단지 자율주행차 3대

경주시가 6월부터 보문관광단지 일대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를 1대에서 3대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경주시는 최근 국토부의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공모에 선정돼 보조금 6억 원을 확보함에 따라 운행 대수를 늘리게 됐습니다.

특히 10월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기간에는 회의장과 주요 호텔을 연결하는 노선에도 자율주행차를 운행할 계획입니다.

포항시, 공영장례 지원 협약

포항시가 지역 장례식장 10곳과 공영 장례 지원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장례를 치르기 힘든 지역 저소득층과 무연고 사망자에게 공영 장례를 지원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장례식장은 장례 절차를 도맡고 포항시는 예산 확보와 연고자 파악 등 행정 절차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포항] 경북 어업생산량 증가율 전국 최고 외
    • 입력 2025-02-24 19:30:56
    • 수정2025-02-24 19:37:16
    뉴스7(대구)
지난해 경북의 어업생산량이 1년 전보다 5.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동향 자료를 보면 경북의 어업생산량은 10만 8천 톤, 생산 금액은 4천923억 원을 기록하면서 전국 시도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습니다.

어업 유형별로는 연근해어업이 94%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해면 양식업, 내수면어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어종별 어획량은 청어와 참조기, 젓새우류 등이 증가했고 고등어류, 멸치, 살오징어 등은 감소했습니다.

28일부터 나흘 동안 울진대게 축제

'2025 울진대게와 붉은대게 축제'가 28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나흘간 후포면 왕돌초 광장 일원에서 열립니다.

이번 축제에서는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축하공연과 대게 낚시, 대게 경매, 초대형 게장 비빔밥 만들기, 읍ㆍ면 대항 게 줄당기기, 품바 경연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울진군은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해 올해 개통한 동해선 후포역에서 축제장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6월부터 보문단지 자율주행차 3대

경주시가 6월부터 보문관광단지 일대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를 1대에서 3대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경주시는 최근 국토부의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공모에 선정돼 보조금 6억 원을 확보함에 따라 운행 대수를 늘리게 됐습니다.

특히 10월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기간에는 회의장과 주요 호텔을 연결하는 노선에도 자율주행차를 운행할 계획입니다.

포항시, 공영장례 지원 협약

포항시가 지역 장례식장 10곳과 공영 장례 지원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장례를 치르기 힘든 지역 저소득층과 무연고 사망자에게 공영 장례를 지원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장례식장은 장례 절차를 도맡고 포항시는 예산 확보와 연고자 파악 등 행정 절차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