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재침공은 공포 아닌 확신”
입력 2025.02.24 (21:02)
수정 2025.02.24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크라이나 국민은 미사일과 폭탄이 언제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른단 공포 속에 살고 있습니다.
현지를 연결해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어보겠습니다.
오늘(24일) 만나실 테티아나 씨는 키이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두 나라의 가교 역할을 해왔고, KBS 통신원으로 현지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테티아나 씨, 안녕하시냔 인사도 사실 조심스럽습니다.
전쟁에 휘말린 지난 3년, 우크라이나 국민에겐 어떤 의미입니까?
[답변]
2022년 침공 이전에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최소 11년 동안,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뺏어간 이후부터는 생명, 그리고 국가로서의 우크라이나의 존재에 대한 위협을 느껴왔고요.
지난 3년은 더욱더 공포, 분노, 걱정으로 가득했습니다.
제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북부에 계시는데, 러시아군이 침공했던 첫 한 달은 기억하기도 싫은 기간이고요.
심지어 제가 키우는 강아지마저 밤에 드론이 날아오는 소리가 나면 벌벌 떨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서 이가 앙다물어져요.
[앵커]
지금 미국이 주도해서 종전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협상에 참여하질 못하고 있죠.
이 점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답변]
굳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상 자리에 올 필요가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말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 전쟁의 피해자이고 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방어를 포기하지 않아서 오래전에 끝낼 수 있던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는 발언도 말도 안 됩니다.
마치 아무 이유 없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을 편드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공했고,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죽고 더 많은 사람들이 다쳤고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종전 협상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있고, 이 협상 과정에서 그저 대상이 아니고 중심이 돼야 합니다.
[앵커]
미국의 종전 구상을 보면, 지금 전선을 새 국경으로 하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영토 20%를 러시아에 넘겨주란 말인데, 우크라이나 국민 의견은 어떻습니까?
[답변]
12월에 진행한 키이우국제사회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50% 정도의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지금도 영토를 포기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예전보다 적지만, 땅을 내주더라도 휴전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종전 조건에 따라 다른데 바로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겠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앵커]
이번 전쟁이 설사 끝난다고 해도, 러시아가 또 침공할 거다, 이런 공포가 있다면서요?
[답변]
공포가 아니라 확신입니다.
러시아를 믿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종전이나 휴전이 이뤄져도 다시 쳐들어오는 것도 물론이고 우리가 못 버티면 유럽까지 침공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지키기 힘든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서 같은 대륙에 있는 유럽 나라도 적극 전장에 나섰으면 합니다.
[앵커]
우크라이나가 진정으로 바라는 종전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크라이나의 점령된 땅을 되찾아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빼앗아 가기 전 국경으로 국토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러시아가 제왕적이고 지배적인 생각을 포기하게 하고 우리 무력 침공 공포에서라도 벗어나는 것입니다.
[앵커]
네, 테티아나 씨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이웅
우크라이나 국민은 미사일과 폭탄이 언제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른단 공포 속에 살고 있습니다.
현지를 연결해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어보겠습니다.
오늘(24일) 만나실 테티아나 씨는 키이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두 나라의 가교 역할을 해왔고, KBS 통신원으로 현지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테티아나 씨, 안녕하시냔 인사도 사실 조심스럽습니다.
전쟁에 휘말린 지난 3년, 우크라이나 국민에겐 어떤 의미입니까?
[답변]
2022년 침공 이전에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최소 11년 동안,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뺏어간 이후부터는 생명, 그리고 국가로서의 우크라이나의 존재에 대한 위협을 느껴왔고요.
지난 3년은 더욱더 공포, 분노, 걱정으로 가득했습니다.
제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북부에 계시는데, 러시아군이 침공했던 첫 한 달은 기억하기도 싫은 기간이고요.
심지어 제가 키우는 강아지마저 밤에 드론이 날아오는 소리가 나면 벌벌 떨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서 이가 앙다물어져요.
[앵커]
지금 미국이 주도해서 종전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협상에 참여하질 못하고 있죠.
이 점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답변]
굳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상 자리에 올 필요가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말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 전쟁의 피해자이고 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방어를 포기하지 않아서 오래전에 끝낼 수 있던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는 발언도 말도 안 됩니다.
마치 아무 이유 없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을 편드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공했고,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죽고 더 많은 사람들이 다쳤고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종전 협상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있고, 이 협상 과정에서 그저 대상이 아니고 중심이 돼야 합니다.
[앵커]
미국의 종전 구상을 보면, 지금 전선을 새 국경으로 하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영토 20%를 러시아에 넘겨주란 말인데, 우크라이나 국민 의견은 어떻습니까?
[답변]
12월에 진행한 키이우국제사회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50% 정도의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지금도 영토를 포기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예전보다 적지만, 땅을 내주더라도 휴전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종전 조건에 따라 다른데 바로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겠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앵커]
이번 전쟁이 설사 끝난다고 해도, 러시아가 또 침공할 거다, 이런 공포가 있다면서요?
[답변]
공포가 아니라 확신입니다.
러시아를 믿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종전이나 휴전이 이뤄져도 다시 쳐들어오는 것도 물론이고 우리가 못 버티면 유럽까지 침공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지키기 힘든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서 같은 대륙에 있는 유럽 나라도 적극 전장에 나섰으면 합니다.
[앵커]
우크라이나가 진정으로 바라는 종전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크라이나의 점령된 땅을 되찾아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빼앗아 가기 전 국경으로 국토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러시아가 제왕적이고 지배적인 생각을 포기하게 하고 우리 무력 침공 공포에서라도 벗어나는 것입니다.
[앵커]
네, 테티아나 씨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이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 재침공은 공포 아닌 확신”
-
- 입력 2025-02-24 21:02:28
- 수정2025-02-24 22:04:11

[앵커]
우크라이나 국민은 미사일과 폭탄이 언제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른단 공포 속에 살고 있습니다.
현지를 연결해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어보겠습니다.
오늘(24일) 만나실 테티아나 씨는 키이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두 나라의 가교 역할을 해왔고, KBS 통신원으로 현지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테티아나 씨, 안녕하시냔 인사도 사실 조심스럽습니다.
전쟁에 휘말린 지난 3년, 우크라이나 국민에겐 어떤 의미입니까?
[답변]
2022년 침공 이전에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최소 11년 동안,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뺏어간 이후부터는 생명, 그리고 국가로서의 우크라이나의 존재에 대한 위협을 느껴왔고요.
지난 3년은 더욱더 공포, 분노, 걱정으로 가득했습니다.
제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북부에 계시는데, 러시아군이 침공했던 첫 한 달은 기억하기도 싫은 기간이고요.
심지어 제가 키우는 강아지마저 밤에 드론이 날아오는 소리가 나면 벌벌 떨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서 이가 앙다물어져요.
[앵커]
지금 미국이 주도해서 종전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협상에 참여하질 못하고 있죠.
이 점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답변]
굳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상 자리에 올 필요가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말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 전쟁의 피해자이고 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방어를 포기하지 않아서 오래전에 끝낼 수 있던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는 발언도 말도 안 됩니다.
마치 아무 이유 없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을 편드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공했고,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죽고 더 많은 사람들이 다쳤고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종전 협상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있고, 이 협상 과정에서 그저 대상이 아니고 중심이 돼야 합니다.
[앵커]
미국의 종전 구상을 보면, 지금 전선을 새 국경으로 하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영토 20%를 러시아에 넘겨주란 말인데, 우크라이나 국민 의견은 어떻습니까?
[답변]
12월에 진행한 키이우국제사회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50% 정도의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지금도 영토를 포기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예전보다 적지만, 땅을 내주더라도 휴전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종전 조건에 따라 다른데 바로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겠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앵커]
이번 전쟁이 설사 끝난다고 해도, 러시아가 또 침공할 거다, 이런 공포가 있다면서요?
[답변]
공포가 아니라 확신입니다.
러시아를 믿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종전이나 휴전이 이뤄져도 다시 쳐들어오는 것도 물론이고 우리가 못 버티면 유럽까지 침공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지키기 힘든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서 같은 대륙에 있는 유럽 나라도 적극 전장에 나섰으면 합니다.
[앵커]
우크라이나가 진정으로 바라는 종전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크라이나의 점령된 땅을 되찾아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빼앗아 가기 전 국경으로 국토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러시아가 제왕적이고 지배적인 생각을 포기하게 하고 우리 무력 침공 공포에서라도 벗어나는 것입니다.
[앵커]
네, 테티아나 씨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이웅
우크라이나 국민은 미사일과 폭탄이 언제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른단 공포 속에 살고 있습니다.
현지를 연결해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어보겠습니다.
오늘(24일) 만나실 테티아나 씨는 키이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두 나라의 가교 역할을 해왔고, KBS 통신원으로 현지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테티아나 씨, 안녕하시냔 인사도 사실 조심스럽습니다.
전쟁에 휘말린 지난 3년, 우크라이나 국민에겐 어떤 의미입니까?
[답변]
2022년 침공 이전에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최소 11년 동안,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뺏어간 이후부터는 생명, 그리고 국가로서의 우크라이나의 존재에 대한 위협을 느껴왔고요.
지난 3년은 더욱더 공포, 분노, 걱정으로 가득했습니다.
제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북부에 계시는데, 러시아군이 침공했던 첫 한 달은 기억하기도 싫은 기간이고요.
심지어 제가 키우는 강아지마저 밤에 드론이 날아오는 소리가 나면 벌벌 떨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서 이가 앙다물어져요.
[앵커]
지금 미국이 주도해서 종전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협상에 참여하질 못하고 있죠.
이 점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답변]
굳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상 자리에 올 필요가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말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 전쟁의 피해자이고 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방어를 포기하지 않아서 오래전에 끝낼 수 있던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는 발언도 말도 안 됩니다.
마치 아무 이유 없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을 편드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공했고,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죽고 더 많은 사람들이 다쳤고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종전 협상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있고, 이 협상 과정에서 그저 대상이 아니고 중심이 돼야 합니다.
[앵커]
미국의 종전 구상을 보면, 지금 전선을 새 국경으로 하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영토 20%를 러시아에 넘겨주란 말인데, 우크라이나 국민 의견은 어떻습니까?
[답변]
12월에 진행한 키이우국제사회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50% 정도의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지금도 영토를 포기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예전보다 적지만, 땅을 내주더라도 휴전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종전 조건에 따라 다른데 바로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겠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앵커]
이번 전쟁이 설사 끝난다고 해도, 러시아가 또 침공할 거다, 이런 공포가 있다면서요?
[답변]
공포가 아니라 확신입니다.
러시아를 믿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종전이나 휴전이 이뤄져도 다시 쳐들어오는 것도 물론이고 우리가 못 버티면 유럽까지 침공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지키기 힘든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서 같은 대륙에 있는 유럽 나라도 적극 전장에 나섰으면 합니다.
[앵커]
우크라이나가 진정으로 바라는 종전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크라이나의 점령된 땅을 되찾아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빼앗아 가기 전 국경으로 국토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러시아가 제왕적이고 지배적인 생각을 포기하게 하고 우리 무력 침공 공포에서라도 벗어나는 것입니다.
[앵커]
네, 테티아나 씨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이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울지마 키이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