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역사 박물관 건립 추진…역사 문화 인프라 확충

입력 2025.03.03 (08:16) 수정 2025.03.03 (08: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섬진강이 흐르는 곡성군은 문화유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지만 박물관이 없어서 대부분의 유물이 전국에 흩어져 있습니다.

그만큼 알려지지 않은 가치있는 유물도 많은데요.

곡성군이 고유의 역사와 문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역사박물관 건립을 추진합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1588년 발급된 임진왜란 최초 의병장인 곡성 출신 유팽로 선생의 과거급제 교지부터, 곡성 구성리 일대 가마터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토기까지.

곡성에서만 발굴된 유물과 지정문화유산 등이 3천 5백여 건에 달합니다.

하지만 유물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이 없어 대부분 서울과 광주 등에 흩어져 있습니다.

[류종표/유물 기탁 예정자 : "우리 선열들을 알고 역사를 알고 우리 고을에 이런 분들이 있었구나를 우리가 알면 자긍심이 생기죠."]

곡성군이 문화유산을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는 수장고인 '곡성 역사 박물관' 건립을 추진합니다.

지역소멸 위기에 대한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와 문화 학습 공간 부재 해소 그리고 관광자원화를 통한 역사기행의 고장으로 만들기 위해섭니다.

박물관 건립을 위해서는 문체부의 타당성 평가를 통과해야 하는데 지난해 고배를 마신 뒤 재도전하는 상황.

곡성군은 이를 위해 전시 유물들의 스토리텔링 작업과 주변과 어울리는 에코힐링 형태 박물관 등 차별화 전략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 소장 유물 확보가 박물관 건립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며 유물 기증을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김인경/곡성군 문화재관리팀장 : "우리 역사를 좀 더 편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전시기획과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만 5천년 전부터 섬진강을 품으며 사람들이 모여 산 곡성의 중요 유산들이 역사 박물관 건립으로 빛을 발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곡성 역사 박물관 건립 추진…역사 문화 인프라 확충
    • 입력 2025-03-03 08:16:02
    • 수정2025-03-03 08:48:54
    뉴스광장(광주)
[앵커]

섬진강이 흐르는 곡성군은 문화유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지만 박물관이 없어서 대부분의 유물이 전국에 흩어져 있습니다.

그만큼 알려지지 않은 가치있는 유물도 많은데요.

곡성군이 고유의 역사와 문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역사박물관 건립을 추진합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1588년 발급된 임진왜란 최초 의병장인 곡성 출신 유팽로 선생의 과거급제 교지부터, 곡성 구성리 일대 가마터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토기까지.

곡성에서만 발굴된 유물과 지정문화유산 등이 3천 5백여 건에 달합니다.

하지만 유물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이 없어 대부분 서울과 광주 등에 흩어져 있습니다.

[류종표/유물 기탁 예정자 : "우리 선열들을 알고 역사를 알고 우리 고을에 이런 분들이 있었구나를 우리가 알면 자긍심이 생기죠."]

곡성군이 문화유산을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는 수장고인 '곡성 역사 박물관' 건립을 추진합니다.

지역소멸 위기에 대한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와 문화 학습 공간 부재 해소 그리고 관광자원화를 통한 역사기행의 고장으로 만들기 위해섭니다.

박물관 건립을 위해서는 문체부의 타당성 평가를 통과해야 하는데 지난해 고배를 마신 뒤 재도전하는 상황.

곡성군은 이를 위해 전시 유물들의 스토리텔링 작업과 주변과 어울리는 에코힐링 형태 박물관 등 차별화 전략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 소장 유물 확보가 박물관 건립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며 유물 기증을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김인경/곡성군 문화재관리팀장 : "우리 역사를 좀 더 편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전시기획과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만 5천년 전부터 섬진강을 품으며 사람들이 모여 산 곡성의 중요 유산들이 역사 박물관 건립으로 빛을 발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