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 된 한국국제대…손놓은 관계기관
입력 2025.03.19 (08:19)
수정 2025.03.19 (0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파산 선고를 받고 폐교한 진주의 한국국제대학교가 자산 매각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흉물로 방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손을 놓고 있어 더욱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에서 첫 파산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한국국제대학교.
폐교 1년 7개월, 방치된 건물은 색이 바래갑니다.
캠퍼스에는 사람이 오간 흔적도 없습니다.
지난해까지 열 차례 공개입찰도 모두 허사.
올해 세 차례 입찰에도 매수자가 없어 유찰을 거듭했습니다.
이번 매각 공고의 마지막 입찰은 오는 27일, 최저 입찰가는 285억 원입니다.
감정가 540억 원의 절반 가까이까지 떨어졌지만 매각은 비관적입니다.
교육부가 감정가 50% 이하로 팔지 못하게 한 지침도 걸림돌입니다.
[이수경/파산관재인/변호사 : "교육부 50% 가격 그거(지침)를 지키고 싶은데, 안 되면 별 수 없어요. (파산법에 따라) 그 이하로라도 매각을 시켜야 될 수밖에 없어요."]
유찰이 계속될수록 빚은 늘어만 갑니다.
직원 체불임금 규모는 2백억 원, 지연 이자도 매년 12억 원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폐교를 어떻게 활용할지, 조속히 매각할 방법은 없는지, 마땅한 방안을 내놓지 못합니다.
지역에서 성장해 온 대학이 문을 닫았지만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입니다.
[최민국/진주시의원/그제 : "지역 경제와 시민의 삶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입니다. 그런데도, 진주시는 한국국제대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남 강진군은 청년 거점 공간 조성을 위해 폐교한 사립대학을 사들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지역 대학의 생존이 위태로운 시기에, 행정의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
파산 선고를 받고 폐교한 진주의 한국국제대학교가 자산 매각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흉물로 방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손을 놓고 있어 더욱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에서 첫 파산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한국국제대학교.
폐교 1년 7개월, 방치된 건물은 색이 바래갑니다.
캠퍼스에는 사람이 오간 흔적도 없습니다.
지난해까지 열 차례 공개입찰도 모두 허사.
올해 세 차례 입찰에도 매수자가 없어 유찰을 거듭했습니다.
이번 매각 공고의 마지막 입찰은 오는 27일, 최저 입찰가는 285억 원입니다.
감정가 540억 원의 절반 가까이까지 떨어졌지만 매각은 비관적입니다.
교육부가 감정가 50% 이하로 팔지 못하게 한 지침도 걸림돌입니다.
[이수경/파산관재인/변호사 : "교육부 50% 가격 그거(지침)를 지키고 싶은데, 안 되면 별 수 없어요. (파산법에 따라) 그 이하로라도 매각을 시켜야 될 수밖에 없어요."]
유찰이 계속될수록 빚은 늘어만 갑니다.
직원 체불임금 규모는 2백억 원, 지연 이자도 매년 12억 원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폐교를 어떻게 활용할지, 조속히 매각할 방법은 없는지, 마땅한 방안을 내놓지 못합니다.
지역에서 성장해 온 대학이 문을 닫았지만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입니다.
[최민국/진주시의원/그제 : "지역 경제와 시민의 삶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입니다. 그런데도, 진주시는 한국국제대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남 강진군은 청년 거점 공간 조성을 위해 폐교한 사립대학을 사들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지역 대학의 생존이 위태로운 시기에, 행정의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흉물’ 된 한국국제대…손놓은 관계기관
-
- 입력 2025-03-19 08:19:16
- 수정2025-03-19 09:20:11

[앵커]
파산 선고를 받고 폐교한 진주의 한국국제대학교가 자산 매각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흉물로 방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손을 놓고 있어 더욱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에서 첫 파산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한국국제대학교.
폐교 1년 7개월, 방치된 건물은 색이 바래갑니다.
캠퍼스에는 사람이 오간 흔적도 없습니다.
지난해까지 열 차례 공개입찰도 모두 허사.
올해 세 차례 입찰에도 매수자가 없어 유찰을 거듭했습니다.
이번 매각 공고의 마지막 입찰은 오는 27일, 최저 입찰가는 285억 원입니다.
감정가 540억 원의 절반 가까이까지 떨어졌지만 매각은 비관적입니다.
교육부가 감정가 50% 이하로 팔지 못하게 한 지침도 걸림돌입니다.
[이수경/파산관재인/변호사 : "교육부 50% 가격 그거(지침)를 지키고 싶은데, 안 되면 별 수 없어요. (파산법에 따라) 그 이하로라도 매각을 시켜야 될 수밖에 없어요."]
유찰이 계속될수록 빚은 늘어만 갑니다.
직원 체불임금 규모는 2백억 원, 지연 이자도 매년 12억 원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폐교를 어떻게 활용할지, 조속히 매각할 방법은 없는지, 마땅한 방안을 내놓지 못합니다.
지역에서 성장해 온 대학이 문을 닫았지만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입니다.
[최민국/진주시의원/그제 : "지역 경제와 시민의 삶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입니다. 그런데도, 진주시는 한국국제대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남 강진군은 청년 거점 공간 조성을 위해 폐교한 사립대학을 사들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지역 대학의 생존이 위태로운 시기에, 행정의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
파산 선고를 받고 폐교한 진주의 한국국제대학교가 자산 매각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흉물로 방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손을 놓고 있어 더욱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에서 첫 파산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한국국제대학교.
폐교 1년 7개월, 방치된 건물은 색이 바래갑니다.
캠퍼스에는 사람이 오간 흔적도 없습니다.
지난해까지 열 차례 공개입찰도 모두 허사.
올해 세 차례 입찰에도 매수자가 없어 유찰을 거듭했습니다.
이번 매각 공고의 마지막 입찰은 오는 27일, 최저 입찰가는 285억 원입니다.
감정가 540억 원의 절반 가까이까지 떨어졌지만 매각은 비관적입니다.
교육부가 감정가 50% 이하로 팔지 못하게 한 지침도 걸림돌입니다.
[이수경/파산관재인/변호사 : "교육부 50% 가격 그거(지침)를 지키고 싶은데, 안 되면 별 수 없어요. (파산법에 따라) 그 이하로라도 매각을 시켜야 될 수밖에 없어요."]
유찰이 계속될수록 빚은 늘어만 갑니다.
직원 체불임금 규모는 2백억 원, 지연 이자도 매년 12억 원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폐교를 어떻게 활용할지, 조속히 매각할 방법은 없는지, 마땅한 방안을 내놓지 못합니다.
지역에서 성장해 온 대학이 문을 닫았지만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입니다.
[최민국/진주시의원/그제 : "지역 경제와 시민의 삶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입니다. 그런데도, 진주시는 한국국제대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남 강진군은 청년 거점 공간 조성을 위해 폐교한 사립대학을 사들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지역 대학의 생존이 위태로운 시기에, 행정의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