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실서 외국인에게만 판매…2백억 대 위조상품 적발

입력 2025.03.20 (19:53) 수정 2025.03.20 (2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해외 관광객들이 들리는 명소인 서울 명동에서 해외 유명브랜드의 위조상품을 판매한 일당이 무더기로 검거됐습니다.

단속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에게만 판매했고, 매장 안에 '비밀의 방'이 따로 있었습니다.

박해평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외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서울 명동 거리입니다.

단속반원이 일본인 관광객으로 가장해 지갑이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지갑이요?) 네? (지갑?) 네, 지갑이요. 구찌나 발렌시아가 있나요? (남성용으로요?)"]

간판도 없는 한 옷 가게에 단속반이 들이닥칩니다.

1층에는 여성의류가 있지만, 계단을 올라가 잠금장치가 달린 문을 열자 고가의 해외 브랜드 의류들이 가득합니다.

다른 매장에서는 지하실에 핸드백과 여행용 가방, 고급 시계 등이 즐비합니다.

모두 위조 상품입니다.

["수사한 결과 이렇게 영장이 나온 거고요."]

특허청과 유관기관이 명동 위조상품 판매점 6곳을 단속해 8명을 검거하고, 위조상품 3천 5백여 점을 압수했습니다.

정품 가액 2백억 원 상당입니다.

이들은 외국인 관광객에게만 접근해 매장 내 비밀공간에서 위조 상품을 최상급이라고 소개하며 정품의 20% 정도 가격에 판매했습니다.

[이동훈/특허청 상표특별사법경찰과 수사기획팀장 : "외국인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고소나 고발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검거된 판매업자 8명 가운데 5명이 같은 전과를 갖고 있었습니다.

[신상곤/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 : "2범 이상, 3범 이상, 4범 이상도 한 명 있었고요. 그래서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좀 처벌이, 본인들이 범죄로 인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낮은 때문이 아닐까…."]

특허청은 위조 상품 판매에 대한 벌금이 수백만 원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양형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밀실서 외국인에게만 판매…2백억 대 위조상품 적발
    • 입력 2025-03-20 19:53:53
    • 수정2025-03-20 20:05:22
    뉴스7(창원)
[앵커]

해외 관광객들이 들리는 명소인 서울 명동에서 해외 유명브랜드의 위조상품을 판매한 일당이 무더기로 검거됐습니다.

단속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에게만 판매했고, 매장 안에 '비밀의 방'이 따로 있었습니다.

박해평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외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서울 명동 거리입니다.

단속반원이 일본인 관광객으로 가장해 지갑이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지갑이요?) 네? (지갑?) 네, 지갑이요. 구찌나 발렌시아가 있나요? (남성용으로요?)"]

간판도 없는 한 옷 가게에 단속반이 들이닥칩니다.

1층에는 여성의류가 있지만, 계단을 올라가 잠금장치가 달린 문을 열자 고가의 해외 브랜드 의류들이 가득합니다.

다른 매장에서는 지하실에 핸드백과 여행용 가방, 고급 시계 등이 즐비합니다.

모두 위조 상품입니다.

["수사한 결과 이렇게 영장이 나온 거고요."]

특허청과 유관기관이 명동 위조상품 판매점 6곳을 단속해 8명을 검거하고, 위조상품 3천 5백여 점을 압수했습니다.

정품 가액 2백억 원 상당입니다.

이들은 외국인 관광객에게만 접근해 매장 내 비밀공간에서 위조 상품을 최상급이라고 소개하며 정품의 20% 정도 가격에 판매했습니다.

[이동훈/특허청 상표특별사법경찰과 수사기획팀장 : "외국인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고소나 고발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검거된 판매업자 8명 가운데 5명이 같은 전과를 갖고 있었습니다.

[신상곤/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 : "2범 이상, 3범 이상, 4범 이상도 한 명 있었고요. 그래서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좀 처벌이, 본인들이 범죄로 인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낮은 때문이 아닐까…."]

특허청은 위조 상품 판매에 대한 벌금이 수백만 원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양형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