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달 뒤면 오송 참사 2주기인데…진척 없는 추모 사업
입력 2025.03.21 (21:44)
수정 2025.03.21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넉 달 뒤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습니다.
시간은 계속 흐르는데 진상 규명은 물론, 추모 사업마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영환 지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는 참사 503일 만인 지난해 말, 극적으로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추모비 건립을 비롯한 안전 관리 강화, 피해자 지원 등 각종 후속 조치를 큰 틀에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가시화된 추모 사업은 없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사고 지점과 가깝거나 접근성이 좋다며 KTX 오송역과 오송호수공원, 충북도청 광장을 추모비 후보지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충청북도는 관계기관과의 협의 문제, 현행 법 규정 등을 들어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이중훈/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 "지자체의 잘못으로 인해서 14분이 돌아가셨는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히지 않게끔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나마 사고 현장임을 알리는 현판 제작비 600만 원은 이번 충청북도 1회 추경안에 반영돼 충북도의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그러나 현판 위치와 방식을 두고 이견이 있어, 사업 시기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매달 넷째 주 토요일마다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곤 있지만 공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관계자 : "유가족분들이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협의해서 빨리 일상 회복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시공사와 행복청 재판도, 탄핵 정국 속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 합의도, 시작도 못 한 상황.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당장 추모 사업만이라도 제대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게, 남은 이들의 바람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넉 달 뒤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습니다.
시간은 계속 흐르는데 진상 규명은 물론, 추모 사업마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영환 지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는 참사 503일 만인 지난해 말, 극적으로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추모비 건립을 비롯한 안전 관리 강화, 피해자 지원 등 각종 후속 조치를 큰 틀에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가시화된 추모 사업은 없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사고 지점과 가깝거나 접근성이 좋다며 KTX 오송역과 오송호수공원, 충북도청 광장을 추모비 후보지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충청북도는 관계기관과의 협의 문제, 현행 법 규정 등을 들어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이중훈/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 "지자체의 잘못으로 인해서 14분이 돌아가셨는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히지 않게끔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나마 사고 현장임을 알리는 현판 제작비 600만 원은 이번 충청북도 1회 추경안에 반영돼 충북도의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그러나 현판 위치와 방식을 두고 이견이 있어, 사업 시기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매달 넷째 주 토요일마다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곤 있지만 공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관계자 : "유가족분들이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협의해서 빨리 일상 회복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시공사와 행복청 재판도, 탄핵 정국 속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 합의도, 시작도 못 한 상황.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당장 추모 사업만이라도 제대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게, 남은 이들의 바람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넉 달 뒤면 오송 참사 2주기인데…진척 없는 추모 사업
-
- 입력 2025-03-21 21:44:14
- 수정2025-03-21 22:05:14

[앵커]
넉 달 뒤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습니다.
시간은 계속 흐르는데 진상 규명은 물론, 추모 사업마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영환 지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는 참사 503일 만인 지난해 말, 극적으로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추모비 건립을 비롯한 안전 관리 강화, 피해자 지원 등 각종 후속 조치를 큰 틀에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가시화된 추모 사업은 없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사고 지점과 가깝거나 접근성이 좋다며 KTX 오송역과 오송호수공원, 충북도청 광장을 추모비 후보지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충청북도는 관계기관과의 협의 문제, 현행 법 규정 등을 들어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이중훈/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 "지자체의 잘못으로 인해서 14분이 돌아가셨는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히지 않게끔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나마 사고 현장임을 알리는 현판 제작비 600만 원은 이번 충청북도 1회 추경안에 반영돼 충북도의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그러나 현판 위치와 방식을 두고 이견이 있어, 사업 시기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매달 넷째 주 토요일마다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곤 있지만 공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관계자 : "유가족분들이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협의해서 빨리 일상 회복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시공사와 행복청 재판도, 탄핵 정국 속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 합의도, 시작도 못 한 상황.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당장 추모 사업만이라도 제대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게, 남은 이들의 바람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넉 달 뒤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습니다.
시간은 계속 흐르는데 진상 규명은 물론, 추모 사업마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영환 지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는 참사 503일 만인 지난해 말, 극적으로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추모비 건립을 비롯한 안전 관리 강화, 피해자 지원 등 각종 후속 조치를 큰 틀에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가시화된 추모 사업은 없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사고 지점과 가깝거나 접근성이 좋다며 KTX 오송역과 오송호수공원, 충북도청 광장을 추모비 후보지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충청북도는 관계기관과의 협의 문제, 현행 법 규정 등을 들어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이중훈/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 "지자체의 잘못으로 인해서 14분이 돌아가셨는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히지 않게끔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나마 사고 현장임을 알리는 현판 제작비 600만 원은 이번 충청북도 1회 추경안에 반영돼 충북도의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그러나 현판 위치와 방식을 두고 이견이 있어, 사업 시기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매달 넷째 주 토요일마다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곤 있지만 공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관계자 : "유가족분들이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협의해서 빨리 일상 회복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 시공사와 행복청 재판도, 탄핵 정국 속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 합의도, 시작도 못 한 상황.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당장 추모 사업만이라도 제대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게, 남은 이들의 바람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