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의성 산불 3만 3천ha 피해…역대 최대 규모

입력 2025.03.27 (18:01) 수정 2025.03.27 (19: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불이 시작된 지 6일째인 경북 의성은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 의성 지역에는 기다리던 비 예보가 있었는데, 아직 진화에 도움이 될 만큼 비가 내리지는 않고 있습니다.

현장연결합니다.

박진영 기자, 현장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의성 산불 현장 지휘본부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의성 지역에는 5mm 미만의 적은 비가 내린다고 예보되어 있었는데요.

기대하는 많은 비는 여전히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조금 전 의성 단촌면에 약한 비가 내리면서 의성 전 지역에 비가 내리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이내 그치고 말았습니다.

산림 당국은 비가 오더라도 양이 많지 않아 진화에는 큰 도움이 안 될 거로 보고 산불 장기화 상황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당국은 오전부터 40여 대의 진화 헬기를 투입하고 산불 진화 대원과 소방 등 인력 5천여 명을 동원해 산불을 끄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잠정 집계한 산불 영향 구역은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에서 전체 3만여 헥타르로 서울시 면적의 절반을 넘습니다.

산불 피해로서는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 면적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강한 바람으로 불이 경북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진화율은 크게 떨어졌는데요.

오늘 정오 기준 의성군의 진화율은 5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명 피해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조금 전 영덕 지역 진화 현장에 투입된 이후 실종됐던 60대 산불 감시원이 숨진 채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의성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주민 21명과 헬기 조종사 1명, 산불감시원 1명 등 모두 23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대피했다가 집에 돌아가지 못한 주민도 만 5천여 명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산림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어제 진화 도중 헬기 추락 사고로 희생된 고 박현우 기장을 추모하는 분향소가 의성군 청소년문화의집에 설치됐습니다.

경북 북동부권 5개 지자체는 산불 사망자들을 추모하고, 장례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합동분향소를 각 시·군별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의성산불 현장 지휘본부에서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영상편집:김상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의성 산불 3만 3천ha 피해…역대 최대 규모
    • 입력 2025-03-27 18:01:10
    • 수정2025-03-27 19:00:19
    뉴스 5
[앵커]

산불이 시작된 지 6일째인 경북 의성은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 의성 지역에는 기다리던 비 예보가 있었는데, 아직 진화에 도움이 될 만큼 비가 내리지는 않고 있습니다.

현장연결합니다.

박진영 기자, 현장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의성 산불 현장 지휘본부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의성 지역에는 5mm 미만의 적은 비가 내린다고 예보되어 있었는데요.

기대하는 많은 비는 여전히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조금 전 의성 단촌면에 약한 비가 내리면서 의성 전 지역에 비가 내리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이내 그치고 말았습니다.

산림 당국은 비가 오더라도 양이 많지 않아 진화에는 큰 도움이 안 될 거로 보고 산불 장기화 상황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당국은 오전부터 40여 대의 진화 헬기를 투입하고 산불 진화 대원과 소방 등 인력 5천여 명을 동원해 산불을 끄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잠정 집계한 산불 영향 구역은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에서 전체 3만여 헥타르로 서울시 면적의 절반을 넘습니다.

산불 피해로서는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 면적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강한 바람으로 불이 경북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진화율은 크게 떨어졌는데요.

오늘 정오 기준 의성군의 진화율은 5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명 피해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조금 전 영덕 지역 진화 현장에 투입된 이후 실종됐던 60대 산불 감시원이 숨진 채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의성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주민 21명과 헬기 조종사 1명, 산불감시원 1명 등 모두 23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대피했다가 집에 돌아가지 못한 주민도 만 5천여 명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산림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어제 진화 도중 헬기 추락 사고로 희생된 고 박현우 기장을 추모하는 분향소가 의성군 청소년문화의집에 설치됐습니다.

경북 북동부권 5개 지자체는 산불 사망자들을 추모하고, 장례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합동분향소를 각 시·군별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의성산불 현장 지휘본부에서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영상편집:김상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