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천댐 지역협의체 첫발…‘반쪽’ 참여는 과제
입력 2025.03.27 (21:54)
수정 2025.03.27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부여와 청양의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협의체에 반대 대책위가 불참하고 참여자 가운데 반대 의견은 극소수여서 의견 수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성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기후대응댐 잠정 후보지로 결정된 지천댐.
찬반 갈등 속에 협의체를 통한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선결 조건이 붙었습니다.
이에 지역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김태흠/충남지사 : "국가에서 지원하는 미흡한 부분들을 도 차원에서 보완해서 더 지원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협의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당초 충남도는 주민 위원에 찬반 의견 동수로 청양과 부여 주민을 6명씩 선정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청양 반대 대책위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청양 주민 위원은 청양군 추천 찬성 측 3명만 선정됐습니다.
부여군은 충남도에 공모를 요청했는데 3명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추진위 주민이 선정된 반면, 나머지 반대 측 몫의 3명은 신청자 가운데 대표성을 가진 반대 주민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장들로 선정됐습니다.
실제 첫 회의에서 반대 의견을 낸 주민은 단 한 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철곤/지천댐 지역협의체 위원장 : "반대 의견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협의체는 앞으로 반드시 반대 의견을 가진 분들이 보다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부여에서도 반대 대책위가 출범했고, 두 대책위 모두 협의체 참여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습니다.
[김명숙/지천댐 반대 대책위 공동위원장 : "지역협의체는 지천댐을 강행하기 위해서 밀실 정책을 이행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참여할 이유가 없습니다."]
첨예한 갈등 속에 협의체 구성으로 본격적 논의의 첫발을 뗀 지천댐 건설.
이제 지역 공감대 형성이 최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부여와 청양의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협의체에 반대 대책위가 불참하고 참여자 가운데 반대 의견은 극소수여서 의견 수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성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기후대응댐 잠정 후보지로 결정된 지천댐.
찬반 갈등 속에 협의체를 통한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선결 조건이 붙었습니다.
이에 지역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김태흠/충남지사 : "국가에서 지원하는 미흡한 부분들을 도 차원에서 보완해서 더 지원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협의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당초 충남도는 주민 위원에 찬반 의견 동수로 청양과 부여 주민을 6명씩 선정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청양 반대 대책위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청양 주민 위원은 청양군 추천 찬성 측 3명만 선정됐습니다.
부여군은 충남도에 공모를 요청했는데 3명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추진위 주민이 선정된 반면, 나머지 반대 측 몫의 3명은 신청자 가운데 대표성을 가진 반대 주민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장들로 선정됐습니다.
실제 첫 회의에서 반대 의견을 낸 주민은 단 한 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철곤/지천댐 지역협의체 위원장 : "반대 의견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협의체는 앞으로 반드시 반대 의견을 가진 분들이 보다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부여에서도 반대 대책위가 출범했고, 두 대책위 모두 협의체 참여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습니다.
[김명숙/지천댐 반대 대책위 공동위원장 : "지역협의체는 지천댐을 강행하기 위해서 밀실 정책을 이행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참여할 이유가 없습니다."]
첨예한 갈등 속에 협의체 구성으로 본격적 논의의 첫발을 뗀 지천댐 건설.
이제 지역 공감대 형성이 최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천댐 지역협의체 첫발…‘반쪽’ 참여는 과제
-
- 입력 2025-03-27 21:54:16
- 수정2025-03-27 22:07:38

[앵커]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부여와 청양의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협의체에 반대 대책위가 불참하고 참여자 가운데 반대 의견은 극소수여서 의견 수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성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기후대응댐 잠정 후보지로 결정된 지천댐.
찬반 갈등 속에 협의체를 통한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선결 조건이 붙었습니다.
이에 지역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김태흠/충남지사 : "국가에서 지원하는 미흡한 부분들을 도 차원에서 보완해서 더 지원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협의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당초 충남도는 주민 위원에 찬반 의견 동수로 청양과 부여 주민을 6명씩 선정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청양 반대 대책위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청양 주민 위원은 청양군 추천 찬성 측 3명만 선정됐습니다.
부여군은 충남도에 공모를 요청했는데 3명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추진위 주민이 선정된 반면, 나머지 반대 측 몫의 3명은 신청자 가운데 대표성을 가진 반대 주민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장들로 선정됐습니다.
실제 첫 회의에서 반대 의견을 낸 주민은 단 한 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철곤/지천댐 지역협의체 위원장 : "반대 의견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협의체는 앞으로 반드시 반대 의견을 가진 분들이 보다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부여에서도 반대 대책위가 출범했고, 두 대책위 모두 협의체 참여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습니다.
[김명숙/지천댐 반대 대책위 공동위원장 : "지역협의체는 지천댐을 강행하기 위해서 밀실 정책을 이행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참여할 이유가 없습니다."]
첨예한 갈등 속에 협의체 구성으로 본격적 논의의 첫발을 뗀 지천댐 건설.
이제 지역 공감대 형성이 최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부여와 청양의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협의체에 반대 대책위가 불참하고 참여자 가운데 반대 의견은 극소수여서 의견 수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성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기후대응댐 잠정 후보지로 결정된 지천댐.
찬반 갈등 속에 협의체를 통한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선결 조건이 붙었습니다.
이에 지역협의체가 꾸려져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김태흠/충남지사 : "국가에서 지원하는 미흡한 부분들을 도 차원에서 보완해서 더 지원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협의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당초 충남도는 주민 위원에 찬반 의견 동수로 청양과 부여 주민을 6명씩 선정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청양 반대 대책위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청양 주민 위원은 청양군 추천 찬성 측 3명만 선정됐습니다.
부여군은 충남도에 공모를 요청했는데 3명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추진위 주민이 선정된 반면, 나머지 반대 측 몫의 3명은 신청자 가운데 대표성을 가진 반대 주민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장들로 선정됐습니다.
실제 첫 회의에서 반대 의견을 낸 주민은 단 한 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철곤/지천댐 지역협의체 위원장 : "반대 의견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협의체는 앞으로 반드시 반대 의견을 가진 분들이 보다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부여에서도 반대 대책위가 출범했고, 두 대책위 모두 협의체 참여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습니다.
[김명숙/지천댐 반대 대책위 공동위원장 : "지역협의체는 지천댐을 강행하기 위해서 밀실 정책을 이행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참여할 이유가 없습니다."]
첨예한 갈등 속에 협의체 구성으로 본격적 논의의 첫발을 뗀 지천댐 건설.
이제 지역 공감대 형성이 최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
성용희 기자 heestory@kbs.co.kr
성용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