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인구 감소세 ‘심각’…해법은 ‘일자리’

입력 2025.03.31 (10:12) 수정 2025.03.31 (15: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도의 인구 감소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심리적 한계선이라는 150만 명 아래로 떨어지진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올 정도인데요.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핵심을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구 절벽 위기 극복을 위해 그동안 강원도와 시군이 내놓은 대책은 대부분 현금성 지원사업이었습니다.

대표적인 게 출산 지원입니다.

도와 시군이 투입한 관련 예산은 23년에 2,000억 원 정도.

불과 2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런 현금성 지원을 더 확대하겠다는 시군도 있습니다.

[임태석/철원군 인구정책과장 : "각종 인구 관련 업무를 통합하여 금년 1월 1일 자로 인구정책과를 신설하였습니다. 신혼부부 정착 지원금을 현재 2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상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춘천시는 외국인 모시기에 나섰습니다.

외국인에게 임대 주택과 일자리를 제공하고, 외국인 자녀에게는 매달 20만 원씩 어린이집 비용도 지원합니다.

[김소영/춘천시 인구정책팀장 : "전체적인 우리나라 인구구조만 봐도 외국인은 증가 추세에 있고, 외국인 인구가 우리 시에 많이 유입이 될 경우에는 당연히 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정책들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실제로 강원도의 인구는 2020년 154만 3천 명에서 지난해 151만 7천 명까지 떨어졌습니다.

해마다 5천 명 정도씩 감소한 셈입니다.

이젠 150만 명 선도 위태롭습니다.

특히, 강원도 내 18개 시군 가운데 12개 시군은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 감소 지역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근본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자리가 핵심이라는 주장입니다.

[백영미/강원연구원 연구위원 : "기업 그리고 공공기관, 그리고 군, 시민이 같이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해서, 자치회를 구성을 하고 좀 더 대안을 만들어가는 작업들이 필요한 거 같아요."]

전문가들은 특히, 보육과 노인 돌봄 등 복지 수요가 느는 만큼, 이런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는 것도 인구 늘리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 인구 감소세 ‘심각’…해법은 ‘일자리’
    • 입력 2025-03-31 10:12:37
    • 수정2025-03-31 15:45:28
    930뉴스(강릉)
[앵커]

강원도의 인구 감소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심리적 한계선이라는 150만 명 아래로 떨어지진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올 정도인데요.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핵심을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구 절벽 위기 극복을 위해 그동안 강원도와 시군이 내놓은 대책은 대부분 현금성 지원사업이었습니다.

대표적인 게 출산 지원입니다.

도와 시군이 투입한 관련 예산은 23년에 2,000억 원 정도.

불과 2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런 현금성 지원을 더 확대하겠다는 시군도 있습니다.

[임태석/철원군 인구정책과장 : "각종 인구 관련 업무를 통합하여 금년 1월 1일 자로 인구정책과를 신설하였습니다. 신혼부부 정착 지원금을 현재 2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상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춘천시는 외국인 모시기에 나섰습니다.

외국인에게 임대 주택과 일자리를 제공하고, 외국인 자녀에게는 매달 20만 원씩 어린이집 비용도 지원합니다.

[김소영/춘천시 인구정책팀장 : "전체적인 우리나라 인구구조만 봐도 외국인은 증가 추세에 있고, 외국인 인구가 우리 시에 많이 유입이 될 경우에는 당연히 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정책들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실제로 강원도의 인구는 2020년 154만 3천 명에서 지난해 151만 7천 명까지 떨어졌습니다.

해마다 5천 명 정도씩 감소한 셈입니다.

이젠 150만 명 선도 위태롭습니다.

특히, 강원도 내 18개 시군 가운데 12개 시군은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 감소 지역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근본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자리가 핵심이라는 주장입니다.

[백영미/강원연구원 연구위원 : "기업 그리고 공공기관, 그리고 군, 시민이 같이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해서, 자치회를 구성을 하고 좀 더 대안을 만들어가는 작업들이 필요한 거 같아요."]

전문가들은 특히, 보육과 노인 돌봄 등 복지 수요가 느는 만큼, 이런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는 것도 인구 늘리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