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임차 헬기’…초동 진화 역량 키워야
입력 2025.04.03 (19:20)
수정 2025.04.03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불은 불길이 약한 초반에 못 잡으면 지난달 대형 산불처럼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초동 진화의 핵심은 각 지자체가 임차해 운영하는 헬기인데요.
지자체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합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북 의성 산불 당시, 가장 먼저 진화에 나선 건 의성군이 임차한 헬기였습니다.
[의성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의성군 임차 헬기가 제일 현장에 먼저 투입한 헬기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신고 접수 후 30분.
일부 거점에 배치된 산림청 헬기를 투입하기엔 촉박한 시간입니다.
이 때문에 산불 초동 진화의 핵심 전력은 각 지자체의 헬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전국 지자체가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는 모두 77대.
문제는 비용입니다.
1대 빌리는 데 매년 수억 원에서 많게는 20억 원 가까이 들지만, 국비 지원은 없습니다.
[경기도 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 : "(임차) 가격이 너무 높아요.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아져서 저희들이 하는 가격에 입찰을 안 들어오는 거죠. 지금 헬기 자체가 부족하고 그래서…"]
결국, 지자체의 주머니 사정에 따라 산불 초기 대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국에서 산림 면적이 가장 넓은 강원도의 임차 헬기는 경기도의 절반 수준입니다.
임차 헬기 1대가 서울 면적 3배 수준의 산림을 지켜야 합니다.
비용 부담 탓에 공동 임차에 나서거나 아예 운용을 중단한 지자체마저 있습니다.
[고기연/한국산불학회장/전 산림항공본부장 : "조기에 진화를 해서 피해를 줄이는 차원에서 재정 당국에서도 지방 정부의 헬기 임차 사업에 대해서 일정 비율의 국비 지원을 좀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임차 헬기 비용을 국비로 지원하도록 하는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은 지난달 말 발의된 상태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경진
산불은 불길이 약한 초반에 못 잡으면 지난달 대형 산불처럼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초동 진화의 핵심은 각 지자체가 임차해 운영하는 헬기인데요.
지자체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합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북 의성 산불 당시, 가장 먼저 진화에 나선 건 의성군이 임차한 헬기였습니다.
[의성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의성군 임차 헬기가 제일 현장에 먼저 투입한 헬기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신고 접수 후 30분.
일부 거점에 배치된 산림청 헬기를 투입하기엔 촉박한 시간입니다.
이 때문에 산불 초동 진화의 핵심 전력은 각 지자체의 헬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전국 지자체가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는 모두 77대.
문제는 비용입니다.
1대 빌리는 데 매년 수억 원에서 많게는 20억 원 가까이 들지만, 국비 지원은 없습니다.
[경기도 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 : "(임차) 가격이 너무 높아요.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아져서 저희들이 하는 가격에 입찰을 안 들어오는 거죠. 지금 헬기 자체가 부족하고 그래서…"]
결국, 지자체의 주머니 사정에 따라 산불 초기 대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국에서 산림 면적이 가장 넓은 강원도의 임차 헬기는 경기도의 절반 수준입니다.
임차 헬기 1대가 서울 면적 3배 수준의 산림을 지켜야 합니다.
비용 부담 탓에 공동 임차에 나서거나 아예 운용을 중단한 지자체마저 있습니다.
[고기연/한국산불학회장/전 산림항공본부장 : "조기에 진화를 해서 피해를 줄이는 차원에서 재정 당국에서도 지방 정부의 헬기 임차 사업에 대해서 일정 비율의 국비 지원을 좀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임차 헬기 비용을 국비로 지원하도록 하는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은 지난달 말 발의된 상태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경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열악한 ‘임차 헬기’…초동 진화 역량 키워야
-
- 입력 2025-04-03 19:20:58
- 수정2025-04-03 22:10:08

[앵커]
산불은 불길이 약한 초반에 못 잡으면 지난달 대형 산불처럼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초동 진화의 핵심은 각 지자체가 임차해 운영하는 헬기인데요.
지자체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합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북 의성 산불 당시, 가장 먼저 진화에 나선 건 의성군이 임차한 헬기였습니다.
[의성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의성군 임차 헬기가 제일 현장에 먼저 투입한 헬기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신고 접수 후 30분.
일부 거점에 배치된 산림청 헬기를 투입하기엔 촉박한 시간입니다.
이 때문에 산불 초동 진화의 핵심 전력은 각 지자체의 헬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전국 지자체가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는 모두 77대.
문제는 비용입니다.
1대 빌리는 데 매년 수억 원에서 많게는 20억 원 가까이 들지만, 국비 지원은 없습니다.
[경기도 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 : "(임차) 가격이 너무 높아요.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아져서 저희들이 하는 가격에 입찰을 안 들어오는 거죠. 지금 헬기 자체가 부족하고 그래서…"]
결국, 지자체의 주머니 사정에 따라 산불 초기 대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국에서 산림 면적이 가장 넓은 강원도의 임차 헬기는 경기도의 절반 수준입니다.
임차 헬기 1대가 서울 면적 3배 수준의 산림을 지켜야 합니다.
비용 부담 탓에 공동 임차에 나서거나 아예 운용을 중단한 지자체마저 있습니다.
[고기연/한국산불학회장/전 산림항공본부장 : "조기에 진화를 해서 피해를 줄이는 차원에서 재정 당국에서도 지방 정부의 헬기 임차 사업에 대해서 일정 비율의 국비 지원을 좀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임차 헬기 비용을 국비로 지원하도록 하는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은 지난달 말 발의된 상태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경진
산불은 불길이 약한 초반에 못 잡으면 지난달 대형 산불처럼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초동 진화의 핵심은 각 지자체가 임차해 운영하는 헬기인데요.
지자체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합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북 의성 산불 당시, 가장 먼저 진화에 나선 건 의성군이 임차한 헬기였습니다.
[의성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의성군 임차 헬기가 제일 현장에 먼저 투입한 헬기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신고 접수 후 30분.
일부 거점에 배치된 산림청 헬기를 투입하기엔 촉박한 시간입니다.
이 때문에 산불 초동 진화의 핵심 전력은 각 지자체의 헬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전국 지자체가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는 모두 77대.
문제는 비용입니다.
1대 빌리는 데 매년 수억 원에서 많게는 20억 원 가까이 들지만, 국비 지원은 없습니다.
[경기도 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 : "(임차) 가격이 너무 높아요.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아져서 저희들이 하는 가격에 입찰을 안 들어오는 거죠. 지금 헬기 자체가 부족하고 그래서…"]
결국, 지자체의 주머니 사정에 따라 산불 초기 대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국에서 산림 면적이 가장 넓은 강원도의 임차 헬기는 경기도의 절반 수준입니다.
임차 헬기 1대가 서울 면적 3배 수준의 산림을 지켜야 합니다.
비용 부담 탓에 공동 임차에 나서거나 아예 운용을 중단한 지자체마저 있습니다.
[고기연/한국산불학회장/전 산림항공본부장 : "조기에 진화를 해서 피해를 줄이는 차원에서 재정 당국에서도 지방 정부의 헬기 임차 사업에 대해서 일정 비율의 국비 지원을 좀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임차 헬기 비용을 국비로 지원하도록 하는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은 지난달 말 발의된 상태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김경진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