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만든 ‘코인’ 직접 써 봤습니다
입력 2025.04.12 (21:24)
수정 2025.04.12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으로 장을 보거나 커피 마실 때 이런 결제 수단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앱 켜고 QR 코드만 보여주면 끝! 한국은행이 만든 디지털 토큰 황현규 기자가 써 봤습니다.
[리포트]
오늘 하루, 색다른 결제 수단으로만 살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찍은 디지털 화폐, '한은 토큰'인데요.
다른 페이처럼 휴대전화만 있으면 됩니다.
빵을 산 뒤 '한은 토큰'으로 결제했습니다.
QR 코드를 보여주고 인식하면 끝입니다.
흔히 쓰는 페이 결제와 큰 차이가 없는데요.
조금 더 다녀보겠습니다.
[대형마트 직원 : "(한은 토큰으로 혹시 결제 한 번….) 어, 잠시만요."]
[이○○/서울 양천구 : "(디지털화폐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아 못 들어봤어요."]
편의점, 대형마트, 커피 전문점까지.
제휴된 매장에선 결제에 문제없었습니다.
선불 충전식이란 점이 페이 결제와 다르고, 숫자형 비밀번호를 두 번 이상 입력해야 하는 점이 아직은 번거롭습니다.
한은 토큰은 각종 페이 등 기존 전자결제와 뭐가 다를까요.
똑같은 빵을 살 때, 페이로 결제하면 결제 정보가 빵집, 페이사, 카드사 순으로 넘어갔다가, 매월 한 차례씩 카드사, 페이사, 빵집 순으로 정산됩니다.
한은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에 기록되고, 즉시 토큰이 빵집으로 송금됩니다.
페이가 신용카드, 한은 토큰은 체크카드 같은 식입니다.
또 다른 차이는 '확장성'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2023년 12월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한은 토큰)의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그래밍이 된다는 겁니다. 마치 돈으로 레고를 조립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송금에 부가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용도 제한입니다.
자녀에게 토큰을 보내면서 서점에서만 쓰게 하거나, 복지 지원금을 줄 때 사치품은 못 사게 할 수 있습니다.
첫 실험은 6월까지입니다.
관련법을 바꿔 실제 도입까지 되면 한국은행이 찍는 돈엔 동전, 지폐에 토큰도 추가되는 겁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지훈
앞으로 장을 보거나 커피 마실 때 이런 결제 수단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앱 켜고 QR 코드만 보여주면 끝! 한국은행이 만든 디지털 토큰 황현규 기자가 써 봤습니다.
[리포트]
오늘 하루, 색다른 결제 수단으로만 살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찍은 디지털 화폐, '한은 토큰'인데요.
다른 페이처럼 휴대전화만 있으면 됩니다.
빵을 산 뒤 '한은 토큰'으로 결제했습니다.
QR 코드를 보여주고 인식하면 끝입니다.
흔히 쓰는 페이 결제와 큰 차이가 없는데요.
조금 더 다녀보겠습니다.
[대형마트 직원 : "(한은 토큰으로 혹시 결제 한 번….) 어, 잠시만요."]
[이○○/서울 양천구 : "(디지털화폐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아 못 들어봤어요."]
편의점, 대형마트, 커피 전문점까지.
제휴된 매장에선 결제에 문제없었습니다.
선불 충전식이란 점이 페이 결제와 다르고, 숫자형 비밀번호를 두 번 이상 입력해야 하는 점이 아직은 번거롭습니다.
한은 토큰은 각종 페이 등 기존 전자결제와 뭐가 다를까요.
똑같은 빵을 살 때, 페이로 결제하면 결제 정보가 빵집, 페이사, 카드사 순으로 넘어갔다가, 매월 한 차례씩 카드사, 페이사, 빵집 순으로 정산됩니다.
한은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에 기록되고, 즉시 토큰이 빵집으로 송금됩니다.
페이가 신용카드, 한은 토큰은 체크카드 같은 식입니다.
또 다른 차이는 '확장성'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2023년 12월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한은 토큰)의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그래밍이 된다는 겁니다. 마치 돈으로 레고를 조립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송금에 부가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용도 제한입니다.
자녀에게 토큰을 보내면서 서점에서만 쓰게 하거나, 복지 지원금을 줄 때 사치품은 못 사게 할 수 있습니다.
첫 실험은 6월까지입니다.
관련법을 바꿔 실제 도입까지 되면 한국은행이 찍는 돈엔 동전, 지폐에 토큰도 추가되는 겁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은행이 만든 ‘코인’ 직접 써 봤습니다
-
- 입력 2025-04-12 21:24:39
- 수정2025-04-12 21:53:18

[앵커]
앞으로 장을 보거나 커피 마실 때 이런 결제 수단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앱 켜고 QR 코드만 보여주면 끝! 한국은행이 만든 디지털 토큰 황현규 기자가 써 봤습니다.
[리포트]
오늘 하루, 색다른 결제 수단으로만 살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찍은 디지털 화폐, '한은 토큰'인데요.
다른 페이처럼 휴대전화만 있으면 됩니다.
빵을 산 뒤 '한은 토큰'으로 결제했습니다.
QR 코드를 보여주고 인식하면 끝입니다.
흔히 쓰는 페이 결제와 큰 차이가 없는데요.
조금 더 다녀보겠습니다.
[대형마트 직원 : "(한은 토큰으로 혹시 결제 한 번….) 어, 잠시만요."]
[이○○/서울 양천구 : "(디지털화폐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아 못 들어봤어요."]
편의점, 대형마트, 커피 전문점까지.
제휴된 매장에선 결제에 문제없었습니다.
선불 충전식이란 점이 페이 결제와 다르고, 숫자형 비밀번호를 두 번 이상 입력해야 하는 점이 아직은 번거롭습니다.
한은 토큰은 각종 페이 등 기존 전자결제와 뭐가 다를까요.
똑같은 빵을 살 때, 페이로 결제하면 결제 정보가 빵집, 페이사, 카드사 순으로 넘어갔다가, 매월 한 차례씩 카드사, 페이사, 빵집 순으로 정산됩니다.
한은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에 기록되고, 즉시 토큰이 빵집으로 송금됩니다.
페이가 신용카드, 한은 토큰은 체크카드 같은 식입니다.
또 다른 차이는 '확장성'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2023년 12월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한은 토큰)의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그래밍이 된다는 겁니다. 마치 돈으로 레고를 조립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송금에 부가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용도 제한입니다.
자녀에게 토큰을 보내면서 서점에서만 쓰게 하거나, 복지 지원금을 줄 때 사치품은 못 사게 할 수 있습니다.
첫 실험은 6월까지입니다.
관련법을 바꿔 실제 도입까지 되면 한국은행이 찍는 돈엔 동전, 지폐에 토큰도 추가되는 겁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지훈
앞으로 장을 보거나 커피 마실 때 이런 결제 수단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앱 켜고 QR 코드만 보여주면 끝! 한국은행이 만든 디지털 토큰 황현규 기자가 써 봤습니다.
[리포트]
오늘 하루, 색다른 결제 수단으로만 살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찍은 디지털 화폐, '한은 토큰'인데요.
다른 페이처럼 휴대전화만 있으면 됩니다.
빵을 산 뒤 '한은 토큰'으로 결제했습니다.
QR 코드를 보여주고 인식하면 끝입니다.
흔히 쓰는 페이 결제와 큰 차이가 없는데요.
조금 더 다녀보겠습니다.
[대형마트 직원 : "(한은 토큰으로 혹시 결제 한 번….) 어, 잠시만요."]
[이○○/서울 양천구 : "(디지털화폐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아 못 들어봤어요."]
편의점, 대형마트, 커피 전문점까지.
제휴된 매장에선 결제에 문제없었습니다.
선불 충전식이란 점이 페이 결제와 다르고, 숫자형 비밀번호를 두 번 이상 입력해야 하는 점이 아직은 번거롭습니다.
한은 토큰은 각종 페이 등 기존 전자결제와 뭐가 다를까요.
똑같은 빵을 살 때, 페이로 결제하면 결제 정보가 빵집, 페이사, 카드사 순으로 넘어갔다가, 매월 한 차례씩 카드사, 페이사, 빵집 순으로 정산됩니다.
한은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에 기록되고, 즉시 토큰이 빵집으로 송금됩니다.
페이가 신용카드, 한은 토큰은 체크카드 같은 식입니다.
또 다른 차이는 '확장성'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2023년 12월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한은 토큰)의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그래밍이 된다는 겁니다. 마치 돈으로 레고를 조립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송금에 부가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용도 제한입니다.
자녀에게 토큰을 보내면서 서점에서만 쓰게 하거나, 복지 지원금을 줄 때 사치품은 못 사게 할 수 있습니다.
첫 실험은 6월까지입니다.
관련법을 바꿔 실제 도입까지 되면 한국은행이 찍는 돈엔 동전, 지폐에 토큰도 추가되는 겁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지훈
-
-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