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 고객님~” 부르던 스타벅스도 결국?…‘키오스크’ 전성시대
입력 2025.04.15 (18:28)
수정 2025.04.15 (1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것, 결혼식장 축의금 키오스큽니다.
금액을 지정해 바로 보내는 기능인데요.
그렇습니다. 이젠 경조사 송금까지 가능케 된 거죠.
심지어 전세계적으로 '직접 소통'을 강조하던 스타벅스까지 우리나라에선 이 키오스크가 접수할 거 같습니다.
[유튜브 '먹고대학생' : "B-17번 고객님, 주문하신 아이스 아메리카노 나왔습니다."]
음료 순번을 외치는 중독성 있는 말투, 스타벅스만의 '개성'으로 통했죠.
[유튜브 '스타벅스 코리아' : "'헐잘생겼어요' 고객님, 그란데 사이즈 쿨라임 피지오 나왔습니다."]
직접 지정한 닉네임을 불러주기도 하는데요.
이제 이것도 듣기 힘들어질지도 모릅니다.
스타벅스 코리아가 상반기 중 일부 매장에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효율성을 높이고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 최초로 서울 명동점 등에 설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르신 : "어, 이거 뭐야. 취소, 전체 취소. 다시 아메리카노."]
하지만 이런 소식은 노년층에겐 썩 반갑지 않죠.
점원 앞에선 3초면 끝날 일인데, 기계 앞에선 왜이리 어려운지.
뒷사람 눈치에 진땀이 다 납니다.
[유튜브 '박막례 할머니' : "우린 기계 있음 바로 나와부러. 안 들어가. 그거 안 하는데로 가자. 사람이 갖다 주는 디로."]
혼자는 차마 엄두가 안나, 바쁜 자식 붙들고 부탁하는 게 일상, 그런데 이것도 영 눈치가 보입니다.
[이경자/경기도 고양시 : "자식들한테도 물어보는 것도 한번 두번이지."]
그래서겠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턴 '불친절 키오스크'에 대한 본격 단속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정부의 접근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시, 안내 인력, 실시간 음성 안내 등 보조 수단을 필수로 배치해야하고, 이를 어길 시 최대 3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본 마트 손님 : "좋아요. 서두르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쪽(일반 계산대)은 서두르는 분들이 많잖아요. 늙어서 천천히 하는 게 좋아요."]
정책도 정책이지만 노년층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필요하겠죠.
우리나라보다 초고령사회에 일찍 진입한 일본에서는, 행동이 느린 노인 소비자를 위해 '느린 계산대'를 이미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송파구가 대형마트 등 5개 점포에 '느린 키오스크'를 설치해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는데요.
속도와 효율을 극대화한 키오스크 전성시대, 이렇게 '느림의 미학'으로 디지털 시대 소외 계층을 바라보는 것도 방법일 겁니다.
금액을 지정해 바로 보내는 기능인데요.
그렇습니다. 이젠 경조사 송금까지 가능케 된 거죠.
심지어 전세계적으로 '직접 소통'을 강조하던 스타벅스까지 우리나라에선 이 키오스크가 접수할 거 같습니다.
[유튜브 '먹고대학생' : "B-17번 고객님, 주문하신 아이스 아메리카노 나왔습니다."]
음료 순번을 외치는 중독성 있는 말투, 스타벅스만의 '개성'으로 통했죠.
[유튜브 '스타벅스 코리아' : "'헐잘생겼어요' 고객님, 그란데 사이즈 쿨라임 피지오 나왔습니다."]
직접 지정한 닉네임을 불러주기도 하는데요.
이제 이것도 듣기 힘들어질지도 모릅니다.
스타벅스 코리아가 상반기 중 일부 매장에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효율성을 높이고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 최초로 서울 명동점 등에 설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르신 : "어, 이거 뭐야. 취소, 전체 취소. 다시 아메리카노."]
하지만 이런 소식은 노년층에겐 썩 반갑지 않죠.
점원 앞에선 3초면 끝날 일인데, 기계 앞에선 왜이리 어려운지.
뒷사람 눈치에 진땀이 다 납니다.
[유튜브 '박막례 할머니' : "우린 기계 있음 바로 나와부러. 안 들어가. 그거 안 하는데로 가자. 사람이 갖다 주는 디로."]
혼자는 차마 엄두가 안나, 바쁜 자식 붙들고 부탁하는 게 일상, 그런데 이것도 영 눈치가 보입니다.
[이경자/경기도 고양시 : "자식들한테도 물어보는 것도 한번 두번이지."]
그래서겠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턴 '불친절 키오스크'에 대한 본격 단속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정부의 접근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시, 안내 인력, 실시간 음성 안내 등 보조 수단을 필수로 배치해야하고, 이를 어길 시 최대 3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본 마트 손님 : "좋아요. 서두르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쪽(일반 계산대)은 서두르는 분들이 많잖아요. 늙어서 천천히 하는 게 좋아요."]
정책도 정책이지만 노년층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필요하겠죠.
우리나라보다 초고령사회에 일찍 진입한 일본에서는, 행동이 느린 노인 소비자를 위해 '느린 계산대'를 이미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송파구가 대형마트 등 5개 점포에 '느린 키오스크'를 설치해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는데요.
속도와 효율을 극대화한 키오스크 전성시대, 이렇게 '느림의 미학'으로 디지털 시대 소외 계층을 바라보는 것도 방법일 겁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 고객님~” 부르던 스타벅스도 결국?…‘키오스크’ 전성시대
-
- 입력 2025-04-15 18:28:03
- 수정2025-04-15 18:36:44

지금 보시는 것, 결혼식장 축의금 키오스큽니다.
금액을 지정해 바로 보내는 기능인데요.
그렇습니다. 이젠 경조사 송금까지 가능케 된 거죠.
심지어 전세계적으로 '직접 소통'을 강조하던 스타벅스까지 우리나라에선 이 키오스크가 접수할 거 같습니다.
[유튜브 '먹고대학생' : "B-17번 고객님, 주문하신 아이스 아메리카노 나왔습니다."]
음료 순번을 외치는 중독성 있는 말투, 스타벅스만의 '개성'으로 통했죠.
[유튜브 '스타벅스 코리아' : "'헐잘생겼어요' 고객님, 그란데 사이즈 쿨라임 피지오 나왔습니다."]
직접 지정한 닉네임을 불러주기도 하는데요.
이제 이것도 듣기 힘들어질지도 모릅니다.
스타벅스 코리아가 상반기 중 일부 매장에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효율성을 높이고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 최초로 서울 명동점 등에 설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르신 : "어, 이거 뭐야. 취소, 전체 취소. 다시 아메리카노."]
하지만 이런 소식은 노년층에겐 썩 반갑지 않죠.
점원 앞에선 3초면 끝날 일인데, 기계 앞에선 왜이리 어려운지.
뒷사람 눈치에 진땀이 다 납니다.
[유튜브 '박막례 할머니' : "우린 기계 있음 바로 나와부러. 안 들어가. 그거 안 하는데로 가자. 사람이 갖다 주는 디로."]
혼자는 차마 엄두가 안나, 바쁜 자식 붙들고 부탁하는 게 일상, 그런데 이것도 영 눈치가 보입니다.
[이경자/경기도 고양시 : "자식들한테도 물어보는 것도 한번 두번이지."]
그래서겠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턴 '불친절 키오스크'에 대한 본격 단속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정부의 접근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시, 안내 인력, 실시간 음성 안내 등 보조 수단을 필수로 배치해야하고, 이를 어길 시 최대 3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본 마트 손님 : "좋아요. 서두르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쪽(일반 계산대)은 서두르는 분들이 많잖아요. 늙어서 천천히 하는 게 좋아요."]
정책도 정책이지만 노년층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필요하겠죠.
우리나라보다 초고령사회에 일찍 진입한 일본에서는, 행동이 느린 노인 소비자를 위해 '느린 계산대'를 이미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송파구가 대형마트 등 5개 점포에 '느린 키오스크'를 설치해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는데요.
속도와 효율을 극대화한 키오스크 전성시대, 이렇게 '느림의 미학'으로 디지털 시대 소외 계층을 바라보는 것도 방법일 겁니다.
금액을 지정해 바로 보내는 기능인데요.
그렇습니다. 이젠 경조사 송금까지 가능케 된 거죠.
심지어 전세계적으로 '직접 소통'을 강조하던 스타벅스까지 우리나라에선 이 키오스크가 접수할 거 같습니다.
[유튜브 '먹고대학생' : "B-17번 고객님, 주문하신 아이스 아메리카노 나왔습니다."]
음료 순번을 외치는 중독성 있는 말투, 스타벅스만의 '개성'으로 통했죠.
[유튜브 '스타벅스 코리아' : "'헐잘생겼어요' 고객님, 그란데 사이즈 쿨라임 피지오 나왔습니다."]
직접 지정한 닉네임을 불러주기도 하는데요.
이제 이것도 듣기 힘들어질지도 모릅니다.
스타벅스 코리아가 상반기 중 일부 매장에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효율성을 높이고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 최초로 서울 명동점 등에 설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르신 : "어, 이거 뭐야. 취소, 전체 취소. 다시 아메리카노."]
하지만 이런 소식은 노년층에겐 썩 반갑지 않죠.
점원 앞에선 3초면 끝날 일인데, 기계 앞에선 왜이리 어려운지.
뒷사람 눈치에 진땀이 다 납니다.
[유튜브 '박막례 할머니' : "우린 기계 있음 바로 나와부러. 안 들어가. 그거 안 하는데로 가자. 사람이 갖다 주는 디로."]
혼자는 차마 엄두가 안나, 바쁜 자식 붙들고 부탁하는 게 일상, 그런데 이것도 영 눈치가 보입니다.
[이경자/경기도 고양시 : "자식들한테도 물어보는 것도 한번 두번이지."]
그래서겠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턴 '불친절 키오스크'에 대한 본격 단속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정부의 접근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시, 안내 인력, 실시간 음성 안내 등 보조 수단을 필수로 배치해야하고, 이를 어길 시 최대 3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본 마트 손님 : "좋아요. 서두르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쪽(일반 계산대)은 서두르는 분들이 많잖아요. 늙어서 천천히 하는 게 좋아요."]
정책도 정책이지만 노년층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필요하겠죠.
우리나라보다 초고령사회에 일찍 진입한 일본에서는, 행동이 느린 노인 소비자를 위해 '느린 계산대'를 이미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송파구가 대형마트 등 5개 점포에 '느린 키오스크'를 설치해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는데요.
속도와 효율을 극대화한 키오스크 전성시대, 이렇게 '느림의 미학'으로 디지털 시대 소외 계층을 바라보는 것도 방법일 겁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