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꺼짐’ 전국 2위인데…강원도 분석·대책 ‘아직’
입력 2025.04.15 (23:26)
수정 2025.04.15 (2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땅 꺼짐 사고가 잇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강원도도 최근 10년 동안 270건 넘는 땅 꺼짐이 발생했는데, 어디가 위험한지, 또 왜 위험한지 분석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들이 오가는 도로 한가운데가 갑자기 뻥 뚫립니다.
구멍이 더 커지더니, 한차례 더 내려앉습니다.
도로를 지나던 오토바이가 그대로 구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2년 전, 양양의 공사 현장에서는 도로가 1미터 넘는 깊이로 내려앉았습니다.
고성과 강릉에서도 최근까지 땅 꺼짐이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2014년부터 10년 동안 강원도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270여 건.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습니다.
시군별로는 원주에 집중됐습니다.
150여 건, 전체의 60%에 이릅니다.
원인으로는 상수관 손상이 6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이어, 다짐 불량과 하수관 불량이 뒤를 잇습니다.
특히, 5월과 8월에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정말 조사나 대책 마련은 더디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 "빗물이 많아지면 하수도에 하수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하수관로 파괴가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이걸 장기적으로 조사하고."]
현재 땅 꺼짐이 생기면, 대응은 각 시군에 맡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사고를 처리하기 바쁜 수준입니다.
강원도 차원에선 침하 우려가 높은 곳이 어디인지, 조사도, 대응책도 아직 없습니다.
[박상민/강원도 사회안전팀 주무관 : "(공동지반탐사) 1km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1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고. 강원도는 행정구역 면적이 좀 넓고. 세수 기반이 좀 약해서."]
반면, 서울시나 부산시는 땅꺼짐 현황 지도를 제작하거나 지반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김용래/강원도의회 의원 : "지반 안전성과 도시 인프라 관리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적 신호로써..."]
갈수록 상하수도 매설 등 지하공간 개발이 많아지는 것과 비례해 땅속 지반 안전도 파악부터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최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땅 꺼짐 사고가 잇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강원도도 최근 10년 동안 270건 넘는 땅 꺼짐이 발생했는데, 어디가 위험한지, 또 왜 위험한지 분석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들이 오가는 도로 한가운데가 갑자기 뻥 뚫립니다.
구멍이 더 커지더니, 한차례 더 내려앉습니다.
도로를 지나던 오토바이가 그대로 구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2년 전, 양양의 공사 현장에서는 도로가 1미터 넘는 깊이로 내려앉았습니다.
고성과 강릉에서도 최근까지 땅 꺼짐이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2014년부터 10년 동안 강원도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270여 건.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습니다.
시군별로는 원주에 집중됐습니다.
150여 건, 전체의 60%에 이릅니다.
원인으로는 상수관 손상이 6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이어, 다짐 불량과 하수관 불량이 뒤를 잇습니다.
특히, 5월과 8월에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정말 조사나 대책 마련은 더디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 "빗물이 많아지면 하수도에 하수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하수관로 파괴가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이걸 장기적으로 조사하고."]
현재 땅 꺼짐이 생기면, 대응은 각 시군에 맡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사고를 처리하기 바쁜 수준입니다.
강원도 차원에선 침하 우려가 높은 곳이 어디인지, 조사도, 대응책도 아직 없습니다.
[박상민/강원도 사회안전팀 주무관 : "(공동지반탐사) 1km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1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고. 강원도는 행정구역 면적이 좀 넓고. 세수 기반이 좀 약해서."]
반면, 서울시나 부산시는 땅꺼짐 현황 지도를 제작하거나 지반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김용래/강원도의회 의원 : "지반 안전성과 도시 인프라 관리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적 신호로써..."]
갈수록 상하수도 매설 등 지하공간 개발이 많아지는 것과 비례해 땅속 지반 안전도 파악부터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땅꺼짐’ 전국 2위인데…강원도 분석·대책 ‘아직’
-
- 입력 2025-04-15 23:26:50
- 수정2025-04-15 23:52:57

[앵커]
최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땅 꺼짐 사고가 잇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강원도도 최근 10년 동안 270건 넘는 땅 꺼짐이 발생했는데, 어디가 위험한지, 또 왜 위험한지 분석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들이 오가는 도로 한가운데가 갑자기 뻥 뚫립니다.
구멍이 더 커지더니, 한차례 더 내려앉습니다.
도로를 지나던 오토바이가 그대로 구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2년 전, 양양의 공사 현장에서는 도로가 1미터 넘는 깊이로 내려앉았습니다.
고성과 강릉에서도 최근까지 땅 꺼짐이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2014년부터 10년 동안 강원도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270여 건.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습니다.
시군별로는 원주에 집중됐습니다.
150여 건, 전체의 60%에 이릅니다.
원인으로는 상수관 손상이 6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이어, 다짐 불량과 하수관 불량이 뒤를 잇습니다.
특히, 5월과 8월에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정말 조사나 대책 마련은 더디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 "빗물이 많아지면 하수도에 하수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하수관로 파괴가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이걸 장기적으로 조사하고."]
현재 땅 꺼짐이 생기면, 대응은 각 시군에 맡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사고를 처리하기 바쁜 수준입니다.
강원도 차원에선 침하 우려가 높은 곳이 어디인지, 조사도, 대응책도 아직 없습니다.
[박상민/강원도 사회안전팀 주무관 : "(공동지반탐사) 1km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1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고. 강원도는 행정구역 면적이 좀 넓고. 세수 기반이 좀 약해서."]
반면, 서울시나 부산시는 땅꺼짐 현황 지도를 제작하거나 지반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김용래/강원도의회 의원 : "지반 안전성과 도시 인프라 관리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적 신호로써..."]
갈수록 상하수도 매설 등 지하공간 개발이 많아지는 것과 비례해 땅속 지반 안전도 파악부터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최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땅 꺼짐 사고가 잇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강원도도 최근 10년 동안 270건 넘는 땅 꺼짐이 발생했는데, 어디가 위험한지, 또 왜 위험한지 분석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들이 오가는 도로 한가운데가 갑자기 뻥 뚫립니다.
구멍이 더 커지더니, 한차례 더 내려앉습니다.
도로를 지나던 오토바이가 그대로 구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2년 전, 양양의 공사 현장에서는 도로가 1미터 넘는 깊이로 내려앉았습니다.
고성과 강릉에서도 최근까지 땅 꺼짐이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2014년부터 10년 동안 강원도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270여 건.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습니다.
시군별로는 원주에 집중됐습니다.
150여 건, 전체의 60%에 이릅니다.
원인으로는 상수관 손상이 6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이어, 다짐 불량과 하수관 불량이 뒤를 잇습니다.
특히, 5월과 8월에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정말 조사나 대책 마련은 더디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 "빗물이 많아지면 하수도에 하수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하수관로 파괴가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고. 광역자치단체에서 이걸 장기적으로 조사하고."]
현재 땅 꺼짐이 생기면, 대응은 각 시군에 맡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사고를 처리하기 바쁜 수준입니다.
강원도 차원에선 침하 우려가 높은 곳이 어디인지, 조사도, 대응책도 아직 없습니다.
[박상민/강원도 사회안전팀 주무관 : "(공동지반탐사) 1km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1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고. 강원도는 행정구역 면적이 좀 넓고. 세수 기반이 좀 약해서."]
반면, 서울시나 부산시는 땅꺼짐 현황 지도를 제작하거나 지반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김용래/강원도의회 의원 : "지반 안전성과 도시 인프라 관리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적 신호로써..."]
갈수록 상하수도 매설 등 지하공간 개발이 많아지는 것과 비례해 땅속 지반 안전도 파악부터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
조휴연 기자 dakgalbi@kbs.co.kr
조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