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도입으로 마을 ‘활력’…인구까지 증가
입력 2025.04.15 (23:29)
수정 2025.04.15 (2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제 바칼로레아, 일명 IB 교육의 현주소와 강원도 도입 가능성을 조명하는 연속보도 순서입니다.
IB를 도입한 지역은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가 있는 마을도 인구가 늘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교생이 50명 정도인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였지만 2023년 IB 교육 도입 이후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교실 수용이 어려울 정도로 IB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몰린 겁니다.
[김영랑/효촌초등학교 교사 : "끊임없이 계속 입학 관련된 상담이나 전입생들도 지속적으로 지금 들어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각 학급들이 전부 다 지금 인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
지난 1월에는 월드스쿨까지 인증받았습니다.
[고이담/효촌초등학교 6학년 : "(IB 수업은) 꿈을 가지고 있는 형태를 해 가지고 스스로도 많이 탐구하는 능력, 성찰하는 능력, 사고하는 능력이 많이 발달한 것 같아요."]
인근 농촌마을 중학교 역시 사정이 비슷합니다.
2학년은 54명인데, 올해 1학년 입학생은 81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IB 후보학교 운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임연석/남문중학교 교사/IB 담당 : "학생 주도의 활동과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깊이 있는 이해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학교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마을과 해당 지역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성과에 그치지도 않습니다.
2020년 IB 교육을 도입한 제주 표선면은 감소세인 인접 읍면과 달리 5년 연속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도 같은 기간 갑절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민주/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 :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 좋은 이주를 결정하는 동인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어필을 한다면 인구를 유입하는데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폐교 위기나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체류비 등을 지원하며 산골 유학생 유치에 힘을 쏟고 있는 강원도교육청에, IB 교육이 또 다른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국제 바칼로레아, 일명 IB 교육의 현주소와 강원도 도입 가능성을 조명하는 연속보도 순서입니다.
IB를 도입한 지역은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가 있는 마을도 인구가 늘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교생이 50명 정도인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였지만 2023년 IB 교육 도입 이후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교실 수용이 어려울 정도로 IB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몰린 겁니다.
[김영랑/효촌초등학교 교사 : "끊임없이 계속 입학 관련된 상담이나 전입생들도 지속적으로 지금 들어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각 학급들이 전부 다 지금 인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
지난 1월에는 월드스쿨까지 인증받았습니다.
[고이담/효촌초등학교 6학년 : "(IB 수업은) 꿈을 가지고 있는 형태를 해 가지고 스스로도 많이 탐구하는 능력, 성찰하는 능력, 사고하는 능력이 많이 발달한 것 같아요."]
인근 농촌마을 중학교 역시 사정이 비슷합니다.
2학년은 54명인데, 올해 1학년 입학생은 81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IB 후보학교 운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임연석/남문중학교 교사/IB 담당 : "학생 주도의 활동과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깊이 있는 이해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학교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마을과 해당 지역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성과에 그치지도 않습니다.
2020년 IB 교육을 도입한 제주 표선면은 감소세인 인접 읍면과 달리 5년 연속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도 같은 기간 갑절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민주/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 :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 좋은 이주를 결정하는 동인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어필을 한다면 인구를 유입하는데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폐교 위기나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체류비 등을 지원하며 산골 유학생 유치에 힘을 쏟고 있는 강원도교육청에, IB 교육이 또 다른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B 도입으로 마을 ‘활력’…인구까지 증가
-
- 입력 2025-04-15 23:29:22
- 수정2025-04-15 23:52:57

[앵커]
국제 바칼로레아, 일명 IB 교육의 현주소와 강원도 도입 가능성을 조명하는 연속보도 순서입니다.
IB를 도입한 지역은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가 있는 마을도 인구가 늘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교생이 50명 정도인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였지만 2023년 IB 교육 도입 이후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교실 수용이 어려울 정도로 IB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몰린 겁니다.
[김영랑/효촌초등학교 교사 : "끊임없이 계속 입학 관련된 상담이나 전입생들도 지속적으로 지금 들어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각 학급들이 전부 다 지금 인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
지난 1월에는 월드스쿨까지 인증받았습니다.
[고이담/효촌초등학교 6학년 : "(IB 수업은) 꿈을 가지고 있는 형태를 해 가지고 스스로도 많이 탐구하는 능력, 성찰하는 능력, 사고하는 능력이 많이 발달한 것 같아요."]
인근 농촌마을 중학교 역시 사정이 비슷합니다.
2학년은 54명인데, 올해 1학년 입학생은 81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IB 후보학교 운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임연석/남문중학교 교사/IB 담당 : "학생 주도의 활동과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깊이 있는 이해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학교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마을과 해당 지역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성과에 그치지도 않습니다.
2020년 IB 교육을 도입한 제주 표선면은 감소세인 인접 읍면과 달리 5년 연속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도 같은 기간 갑절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민주/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 :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 좋은 이주를 결정하는 동인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어필을 한다면 인구를 유입하는데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폐교 위기나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체류비 등을 지원하며 산골 유학생 유치에 힘을 쏟고 있는 강원도교육청에, IB 교육이 또 다른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국제 바칼로레아, 일명 IB 교육의 현주소와 강원도 도입 가능성을 조명하는 연속보도 순서입니다.
IB를 도입한 지역은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가 있는 마을도 인구가 늘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교생이 50명 정도인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였지만 2023년 IB 교육 도입 이후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교실 수용이 어려울 정도로 IB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몰린 겁니다.
[김영랑/효촌초등학교 교사 : "끊임없이 계속 입학 관련된 상담이나 전입생들도 지속적으로 지금 들어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각 학급들이 전부 다 지금 인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
지난 1월에는 월드스쿨까지 인증받았습니다.
[고이담/효촌초등학교 6학년 : "(IB 수업은) 꿈을 가지고 있는 형태를 해 가지고 스스로도 많이 탐구하는 능력, 성찰하는 능력, 사고하는 능력이 많이 발달한 것 같아요."]
인근 농촌마을 중학교 역시 사정이 비슷합니다.
2학년은 54명인데, 올해 1학년 입학생은 81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IB 후보학교 운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임연석/남문중학교 교사/IB 담당 : "학생 주도의 활동과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깊이 있는 이해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학교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마을과 해당 지역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성과에 그치지도 않습니다.
2020년 IB 교육을 도입한 제주 표선면은 감소세인 인접 읍면과 달리 5년 연속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도 같은 기간 갑절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민주/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 :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 좋은 이주를 결정하는 동인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어필을 한다면 인구를 유입하는데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폐교 위기나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체류비 등을 지원하며 산골 유학생 유치에 힘을 쏟고 있는 강원도교육청에, IB 교육이 또 다른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