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신속 해결책 마련”…윈윈 전략 통할까
입력 2025.04.23 (23:03)
수정 2025.04.23 (23: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미국과 '2+2 통상협의'에 나설 산업부 등 정부 대표단이 오늘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가장 큰 숙제는 우리 수출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 붙은 품목 관세 25%를 다시 낮추는 겁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 미국으로 향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동차를 담당하는 산업부 1차관과 자동차과장이 함께 떠났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25% 관세가 부과돼서 산업에 큰 피해가 있는 자동차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액이 가장 큰 품목, 3일부터 25% 품목 관세를 안고 미국에 나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은, 수출길이 막히는 직격탄을 이미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달간 중소기업이 정부에 신고한 수출 보류 등 관세 문제를 살펴봤더니….
절반 이상, 품목 관세가 매겨진 자동차 철강 분야였습니다.
이 품목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 전체에도 타격이 올 걸로 보입니다.
IMF는 '관세 충격' 여파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개월 전보다 반토막 난, 1.0%로 낮췄습니다.
선진국 그룹 국가 가운데 가장 큰 폭입니다.
정부는 내일 '2+2 통상 협의'에서, 품목 관세 인하를 요청하면서 미국에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미국 측 관심 사항을 저희가 경청하고 또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다만, 미국이 갑자기 어떤 의제를 들고나올지 모르는 상황….
정부 대표단은 소고기 수입부터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이호영 채상우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미국과 '2+2 통상협의'에 나설 산업부 등 정부 대표단이 오늘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가장 큰 숙제는 우리 수출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 붙은 품목 관세 25%를 다시 낮추는 겁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 미국으로 향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동차를 담당하는 산업부 1차관과 자동차과장이 함께 떠났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25% 관세가 부과돼서 산업에 큰 피해가 있는 자동차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액이 가장 큰 품목, 3일부터 25% 품목 관세를 안고 미국에 나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은, 수출길이 막히는 직격탄을 이미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달간 중소기업이 정부에 신고한 수출 보류 등 관세 문제를 살펴봤더니….
절반 이상, 품목 관세가 매겨진 자동차 철강 분야였습니다.
이 품목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 전체에도 타격이 올 걸로 보입니다.
IMF는 '관세 충격' 여파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개월 전보다 반토막 난, 1.0%로 낮췄습니다.
선진국 그룹 국가 가운데 가장 큰 폭입니다.
정부는 내일 '2+2 통상 협의'에서, 품목 관세 인하를 요청하면서 미국에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미국 측 관심 사항을 저희가 경청하고 또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다만, 미국이 갑자기 어떤 의제를 들고나올지 모르는 상황….
정부 대표단은 소고기 수입부터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이호영 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동차 신속 해결책 마련”…윈윈 전략 통할까
-
- 입력 2025-04-23 23:03:05
- 수정2025-04-23 23:06:16

[앵커]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미국과 '2+2 통상협의'에 나설 산업부 등 정부 대표단이 오늘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가장 큰 숙제는 우리 수출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 붙은 품목 관세 25%를 다시 낮추는 겁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 미국으로 향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동차를 담당하는 산업부 1차관과 자동차과장이 함께 떠났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25% 관세가 부과돼서 산업에 큰 피해가 있는 자동차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액이 가장 큰 품목, 3일부터 25% 품목 관세를 안고 미국에 나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은, 수출길이 막히는 직격탄을 이미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달간 중소기업이 정부에 신고한 수출 보류 등 관세 문제를 살펴봤더니….
절반 이상, 품목 관세가 매겨진 자동차 철강 분야였습니다.
이 품목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 전체에도 타격이 올 걸로 보입니다.
IMF는 '관세 충격' 여파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개월 전보다 반토막 난, 1.0%로 낮췄습니다.
선진국 그룹 국가 가운데 가장 큰 폭입니다.
정부는 내일 '2+2 통상 협의'에서, 품목 관세 인하를 요청하면서 미국에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미국 측 관심 사항을 저희가 경청하고 또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다만, 미국이 갑자기 어떤 의제를 들고나올지 모르는 상황….
정부 대표단은 소고기 수입부터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이호영 채상우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미국과 '2+2 통상협의'에 나설 산업부 등 정부 대표단이 오늘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가장 큰 숙제는 우리 수출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 붙은 품목 관세 25%를 다시 낮추는 겁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세 번째 미국으로 향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동차를 담당하는 산업부 1차관과 자동차과장이 함께 떠났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25% 관세가 부과돼서 산업에 큰 피해가 있는 자동차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자동차는 대미 수출액이 가장 큰 품목, 3일부터 25% 품목 관세를 안고 미국에 나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은, 수출길이 막히는 직격탄을 이미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달간 중소기업이 정부에 신고한 수출 보류 등 관세 문제를 살펴봤더니….
절반 이상, 품목 관세가 매겨진 자동차 철강 분야였습니다.
이 품목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 전체에도 타격이 올 걸로 보입니다.
IMF는 '관세 충격' 여파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개월 전보다 반토막 난, 1.0%로 낮췄습니다.
선진국 그룹 국가 가운데 가장 큰 폭입니다.
정부는 내일 '2+2 통상 협의'에서, 품목 관세 인하를 요청하면서 미국에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미국 측 관심 사항을 저희가 경청하고 또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다만, 미국이 갑자기 어떤 의제를 들고나올지 모르는 상황….
정부 대표단은 소고기 수입부터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이호영 채상우
-
-
하누리 기자 ha@kbs.co.kr
하누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