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45% 관세 철회 가능성 없어”…중국과 첫 고위급 협상 앞두고 ‘신경전’

입력 2025.05.08 (06:27) 수정 2025.05.08 (1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 자릿수 관세로 서로 맞대응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오는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관세 갈등을 풀기 위한 고위급 회담을 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을 위해 선제적으로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는 10일부터 시작되는 미·중 간 첫 고위급 무역 협상을 앞두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먼저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실질적 협상을 위해 145%의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중국의 요구를 거듭 일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앉게 하기 위해 관세를 철회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아니요."]

중국이 먼저 시작한 기싸움도 그대로 받아쳤습니다.

이번 협상을 미국이 먼저 요청했다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 다시 기록을 살펴봐야 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중국이 우리가 (협상을) 시작했다고 했다고요? 제 생각엔 그들이 자기네 기록을 다시 들여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양국 경제 책임자들이 일단 마주 앉기로 했지만 신경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외교통상가에선 이번 협상의 목표가 무역 현안의 일괄 타결보다는 부분적인 관세 인하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성급한 기대를 차단하고 나섰습니다.

[스콧 베센트/미 재무장관 : "제가 말씀드렸듯이, 토요일(10일)에 협상이 시작됩니다. 이는 '진전됐다'는 것과는 반대죠."]

베센트 장관은 이번 주 중 최대 교역국 일부와 무역 합의를 발표할 수 있다고 언급했던 것과 관련해 해당 국가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밝히는 건 국익에 해롭다는 겁니다.

또, 중요한 무역 파트너인 18개국과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일부는 상당히 진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국 관세로 카시트 등 육아용품 가격이 오르자 이들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145% 관세 철회 가능성 없어”…중국과 첫 고위급 협상 앞두고 ‘신경전’
    • 입력 2025-05-08 06:27:39
    • 수정2025-05-08 10:32:19
    뉴스광장 1부
[앵커]

세 자릿수 관세로 서로 맞대응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오는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관세 갈등을 풀기 위한 고위급 회담을 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을 위해 선제적으로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는 10일부터 시작되는 미·중 간 첫 고위급 무역 협상을 앞두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먼저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실질적 협상을 위해 145%의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중국의 요구를 거듭 일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앉게 하기 위해 관세를 철회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아니요."]

중국이 먼저 시작한 기싸움도 그대로 받아쳤습니다.

이번 협상을 미국이 먼저 요청했다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 다시 기록을 살펴봐야 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중국이 우리가 (협상을) 시작했다고 했다고요? 제 생각엔 그들이 자기네 기록을 다시 들여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양국 경제 책임자들이 일단 마주 앉기로 했지만 신경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외교통상가에선 이번 협상의 목표가 무역 현안의 일괄 타결보다는 부분적인 관세 인하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성급한 기대를 차단하고 나섰습니다.

[스콧 베센트/미 재무장관 : "제가 말씀드렸듯이, 토요일(10일)에 협상이 시작됩니다. 이는 '진전됐다'는 것과는 반대죠."]

베센트 장관은 이번 주 중 최대 교역국 일부와 무역 합의를 발표할 수 있다고 언급했던 것과 관련해 해당 국가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밝히는 건 국익에 해롭다는 겁니다.

또, 중요한 무역 파트너인 18개국과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일부는 상당히 진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국 관세로 카시트 등 육아용품 가격이 오르자 이들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