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일손 부족에 맞선 실험 ‘물 안 대는 논’
입력 2025.05.12 (19:33)
수정 2025.05.12 (1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의 쌀 생산 농가와 법인 수가 2030년 27만 곳으로, 2020년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들 전망인데요.
일손 부족 속에 쌀 생산을 이어가려는 시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리포트]
40년 넘게 물을 대던 이 논.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물을 대지 않는 마른 논으로 바뀌었습니다.
직원 5명으로 연간 600톤의 쌀을 생산하는 농업법인 대표 야마자키 씨는 마른 논 재배에 도전했습니다.
기존 방식은 논을 갈고 물을 대고 모를 길러 모내기해야 하지만 마른 논은 논을 갈고 곧바로 씨를 뿌립니다.
수확량은 조금 감소했지만 농번기 노동 시간이 70%나 줄었습니다.
양분이 부족해 생육이 불안정하던 마른 논의 문제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효모로 만든 비료를 써서 해결했습니다.
벼가 병에 걸렸다고 착각해 잔뿌리를 많이 내리면서 양분 흡수가 활발해집니다.
[야마자키 요시오/농업 생산법인 대표 : "비용을 줄이고 수익성 있는 농업을 해야 일자리도 늘고 젊은 세대도 농업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야마자키 씨는 재배 기술과 비용 등을 공개하며 다른 농가로의 확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쌀 생산 농가와 법인 수가 2030년 27만 곳으로, 2020년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들 전망인데요.
일손 부족 속에 쌀 생산을 이어가려는 시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리포트]
40년 넘게 물을 대던 이 논.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물을 대지 않는 마른 논으로 바뀌었습니다.
직원 5명으로 연간 600톤의 쌀을 생산하는 농업법인 대표 야마자키 씨는 마른 논 재배에 도전했습니다.
기존 방식은 논을 갈고 물을 대고 모를 길러 모내기해야 하지만 마른 논은 논을 갈고 곧바로 씨를 뿌립니다.
수확량은 조금 감소했지만 농번기 노동 시간이 70%나 줄었습니다.
양분이 부족해 생육이 불안정하던 마른 논의 문제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효모로 만든 비료를 써서 해결했습니다.
벼가 병에 걸렸다고 착각해 잔뿌리를 많이 내리면서 양분 흡수가 활발해집니다.
[야마자키 요시오/농업 생산법인 대표 : "비용을 줄이고 수익성 있는 농업을 해야 일자리도 늘고 젊은 세대도 농업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야마자키 씨는 재배 기술과 비용 등을 공개하며 다른 농가로의 확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일손 부족에 맞선 실험 ‘물 안 대는 논’
-
- 입력 2025-05-12 19:33:54
- 수정2025-05-12 19:37:05

[앵커]
일본의 쌀 생산 농가와 법인 수가 2030년 27만 곳으로, 2020년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들 전망인데요.
일손 부족 속에 쌀 생산을 이어가려는 시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리포트]
40년 넘게 물을 대던 이 논.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물을 대지 않는 마른 논으로 바뀌었습니다.
직원 5명으로 연간 600톤의 쌀을 생산하는 농업법인 대표 야마자키 씨는 마른 논 재배에 도전했습니다.
기존 방식은 논을 갈고 물을 대고 모를 길러 모내기해야 하지만 마른 논은 논을 갈고 곧바로 씨를 뿌립니다.
수확량은 조금 감소했지만 농번기 노동 시간이 70%나 줄었습니다.
양분이 부족해 생육이 불안정하던 마른 논의 문제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효모로 만든 비료를 써서 해결했습니다.
벼가 병에 걸렸다고 착각해 잔뿌리를 많이 내리면서 양분 흡수가 활발해집니다.
[야마자키 요시오/농업 생산법인 대표 : "비용을 줄이고 수익성 있는 농업을 해야 일자리도 늘고 젊은 세대도 농업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야마자키 씨는 재배 기술과 비용 등을 공개하며 다른 농가로의 확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쌀 생산 농가와 법인 수가 2030년 27만 곳으로, 2020년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들 전망인데요.
일손 부족 속에 쌀 생산을 이어가려는 시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리포트]
40년 넘게 물을 대던 이 논.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물을 대지 않는 마른 논으로 바뀌었습니다.
직원 5명으로 연간 600톤의 쌀을 생산하는 농업법인 대표 야마자키 씨는 마른 논 재배에 도전했습니다.
기존 방식은 논을 갈고 물을 대고 모를 길러 모내기해야 하지만 마른 논은 논을 갈고 곧바로 씨를 뿌립니다.
수확량은 조금 감소했지만 농번기 노동 시간이 70%나 줄었습니다.
양분이 부족해 생육이 불안정하던 마른 논의 문제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효모로 만든 비료를 써서 해결했습니다.
벼가 병에 걸렸다고 착각해 잔뿌리를 많이 내리면서 양분 흡수가 활발해집니다.
[야마자키 요시오/농업 생산법인 대표 : "비용을 줄이고 수익성 있는 농업을 해야 일자리도 늘고 젊은 세대도 농업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야마자키 씨는 재배 기술과 비용 등을 공개하며 다른 농가로의 확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