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바위 낚시 사고 증가…단속 ‘한계’

입력 2025.05.19 (08:03) 수정 2025.05.19 (0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갯바위나 방파제 등 부산 연안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가 통제구역을 정해 낚시꾼들의 접근을 막고 있지만 단속이 쉽지 않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조명탄을 흔들며 구조 요청 신호를 보냅니다.

["살려주세요!"]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경 구조대원이 바다에 뛰어들어 이 남성을 구조합니다.

낚시객이 갯바위에 고립된 상황을 가정한 해경 합동 구조 훈련입니다.

[박종천/부산 해양경찰서 남항파출소 경사 : "연안의 갯바위는 물기와 이끼 등으로 인해 굉장히 미끄럽고 발을 헛디딜 경우 부상이나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난해 부산 갯바위나 방파제 등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모두 50건으로 1년 사이 14건 늘었습니다.

추락사도 6명에 달합니다.

이런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부산시가 연안을 낀 6개 구에 낚시 통제구역 13곳을 지정하고 접근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런 테트라포드 등 낚시 통제구역에서 낚시하다가 적발되면 최대 8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과태료 처분까지 이어지진 않습니다.

낚시 특성상, 단속 취약시간대인 데다 신고에 따른 현장 증거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산 기초단체 관계자/음성변조 : "낚시 통제구역으로 지정된 지가 좀 됐고, 몰랐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는…. 새벽이나 이럴 때는 저희가 계속 상주할 수 없기 때문에…."]

위험천만한 낚시로 인명 사고가 늘어나는데, 통제구역 지정부터 단속, 과태료까지 대책마다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갯바위 낚시 사고 증가…단속 ‘한계’
    • 입력 2025-05-19 08:03:19
    • 수정2025-05-19 09:34:45
    뉴스광장(부산)
[앵커]

갯바위나 방파제 등 부산 연안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가 통제구역을 정해 낚시꾼들의 접근을 막고 있지만 단속이 쉽지 않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조명탄을 흔들며 구조 요청 신호를 보냅니다.

["살려주세요!"]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경 구조대원이 바다에 뛰어들어 이 남성을 구조합니다.

낚시객이 갯바위에 고립된 상황을 가정한 해경 합동 구조 훈련입니다.

[박종천/부산 해양경찰서 남항파출소 경사 : "연안의 갯바위는 물기와 이끼 등으로 인해 굉장히 미끄럽고 발을 헛디딜 경우 부상이나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난해 부산 갯바위나 방파제 등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모두 50건으로 1년 사이 14건 늘었습니다.

추락사도 6명에 달합니다.

이런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부산시가 연안을 낀 6개 구에 낚시 통제구역 13곳을 지정하고 접근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런 테트라포드 등 낚시 통제구역에서 낚시하다가 적발되면 최대 8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과태료 처분까지 이어지진 않습니다.

낚시 특성상, 단속 취약시간대인 데다 신고에 따른 현장 증거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산 기초단체 관계자/음성변조 : "낚시 통제구역으로 지정된 지가 좀 됐고, 몰랐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는…. 새벽이나 이럴 때는 저희가 계속 상주할 수 없기 때문에…."]

위험천만한 낚시로 인명 사고가 늘어나는데, 통제구역 지정부터 단속, 과태료까지 대책마다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