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에선 일-가정 친화 정책 ‘정착 중’…전면 확대는 ‘과제’
입력 2025.05.21 (19:49)
수정 2025.05.21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월 21일, 오늘은 둘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부부의 날'입니다.
일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일은 저출생 문제의 해법으로도 꼽히는데요,
공공을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가정 친화 정책들을 박연선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두 아이 등원 준비와 뒷정리는 오늘 하루 아빠 몫입니다.
일주일에 하루 출근하지 않는 '집약 근무제' 덕분입니다.
나흘 동안 일을 나눠하면 하루를 지정해 쉴 수 있는데, 나흘 동안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으로 32시간만 일하면 됩니다.
공동양육자의 역할엔 분명 더 충실해졌습니다.
[김광태/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 :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고, 나도 참여하게 되니까 (아내) 이해를 더 많이 하게 되는 거 같아요."]
무엇보다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가 큰 힘이 됐습니다.
[이용석/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장 : "직원이 하루 쉬고 온 다음에 업무 집중도가 훨씬 좋아졌고요, 집중도가 높아지니까 업무 효율성도 (좋고)."]
이 기업도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은 하루 2시간 단축근무를 합니다.
하루 2시간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는 등 출퇴근 시간 조절도 가능하고, 올해부터는 아예 주요 돌봄 시기에 의무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김영은/한국수자원공사 수변기획처 과장 : "아이를 오롯이 저희 부부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서, 저 같은 경우는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4.5일제 등을 포함한 민간 기업 등의 유연 근무 활용률은 평균 15%,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갑니다.
[이주희/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 "중소기업 대상으로는 일정 기간 인건비 지원도 고려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한 3년 정도 필요한 인력을 추가 고용할 때 좀 지원을 해준다거나…."]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가정 친화 제도들이 민간 영역까지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5월 21일, 오늘은 둘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부부의 날'입니다.
일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일은 저출생 문제의 해법으로도 꼽히는데요,
공공을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가정 친화 정책들을 박연선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두 아이 등원 준비와 뒷정리는 오늘 하루 아빠 몫입니다.
일주일에 하루 출근하지 않는 '집약 근무제' 덕분입니다.
나흘 동안 일을 나눠하면 하루를 지정해 쉴 수 있는데, 나흘 동안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으로 32시간만 일하면 됩니다.
공동양육자의 역할엔 분명 더 충실해졌습니다.
[김광태/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 :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고, 나도 참여하게 되니까 (아내) 이해를 더 많이 하게 되는 거 같아요."]
무엇보다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가 큰 힘이 됐습니다.
[이용석/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장 : "직원이 하루 쉬고 온 다음에 업무 집중도가 훨씬 좋아졌고요, 집중도가 높아지니까 업무 효율성도 (좋고)."]
이 기업도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은 하루 2시간 단축근무를 합니다.
하루 2시간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는 등 출퇴근 시간 조절도 가능하고, 올해부터는 아예 주요 돌봄 시기에 의무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김영은/한국수자원공사 수변기획처 과장 : "아이를 오롯이 저희 부부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서, 저 같은 경우는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4.5일제 등을 포함한 민간 기업 등의 유연 근무 활용률은 평균 15%,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갑니다.
[이주희/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 "중소기업 대상으로는 일정 기간 인건비 지원도 고려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한 3년 정도 필요한 인력을 추가 고용할 때 좀 지원을 해준다거나…."]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가정 친화 제도들이 민간 영역까지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에선 일-가정 친화 정책 ‘정착 중’…전면 확대는 ‘과제’
-
- 입력 2025-05-21 19:49:55
- 수정2025-05-21 20:15:49

[앵커]
5월 21일, 오늘은 둘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부부의 날'입니다.
일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일은 저출생 문제의 해법으로도 꼽히는데요,
공공을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가정 친화 정책들을 박연선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두 아이 등원 준비와 뒷정리는 오늘 하루 아빠 몫입니다.
일주일에 하루 출근하지 않는 '집약 근무제' 덕분입니다.
나흘 동안 일을 나눠하면 하루를 지정해 쉴 수 있는데, 나흘 동안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으로 32시간만 일하면 됩니다.
공동양육자의 역할엔 분명 더 충실해졌습니다.
[김광태/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 :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고, 나도 참여하게 되니까 (아내) 이해를 더 많이 하게 되는 거 같아요."]
무엇보다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가 큰 힘이 됐습니다.
[이용석/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장 : "직원이 하루 쉬고 온 다음에 업무 집중도가 훨씬 좋아졌고요, 집중도가 높아지니까 업무 효율성도 (좋고)."]
이 기업도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은 하루 2시간 단축근무를 합니다.
하루 2시간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는 등 출퇴근 시간 조절도 가능하고, 올해부터는 아예 주요 돌봄 시기에 의무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김영은/한국수자원공사 수변기획처 과장 : "아이를 오롯이 저희 부부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서, 저 같은 경우는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4.5일제 등을 포함한 민간 기업 등의 유연 근무 활용률은 평균 15%,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갑니다.
[이주희/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 "중소기업 대상으로는 일정 기간 인건비 지원도 고려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한 3년 정도 필요한 인력을 추가 고용할 때 좀 지원을 해준다거나…."]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가정 친화 제도들이 민간 영역까지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5월 21일, 오늘은 둘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부부의 날'입니다.
일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일은 저출생 문제의 해법으로도 꼽히는데요,
공공을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가정 친화 정책들을 박연선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두 아이 등원 준비와 뒷정리는 오늘 하루 아빠 몫입니다.
일주일에 하루 출근하지 않는 '집약 근무제' 덕분입니다.
나흘 동안 일을 나눠하면 하루를 지정해 쉴 수 있는데, 나흘 동안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으로 32시간만 일하면 됩니다.
공동양육자의 역할엔 분명 더 충실해졌습니다.
[김광태/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 :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고, 나도 참여하게 되니까 (아내) 이해를 더 많이 하게 되는 거 같아요."]
무엇보다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가 큰 힘이 됐습니다.
[이용석/충남도 안면도관광지 관리팀장 : "직원이 하루 쉬고 온 다음에 업무 집중도가 훨씬 좋아졌고요, 집중도가 높아지니까 업무 효율성도 (좋고)."]
이 기업도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은 하루 2시간 단축근무를 합니다.
하루 2시간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는 등 출퇴근 시간 조절도 가능하고, 올해부터는 아예 주요 돌봄 시기에 의무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김영은/한국수자원공사 수변기획처 과장 : "아이를 오롯이 저희 부부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서, 저 같은 경우는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4.5일제 등을 포함한 민간 기업 등의 유연 근무 활용률은 평균 15%,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갑니다.
[이주희/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 "중소기업 대상으로는 일정 기간 인건비 지원도 고려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한 3년 정도 필요한 인력을 추가 고용할 때 좀 지원을 해준다거나…."]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가정 친화 제도들이 민간 영역까지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박연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