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넘어 화물차에 중장비까지 전기화

입력 2025.07.01 (19:08) 수정 2025.07.01 (19: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른 더위에 기후위기가 실감 나는 요즘입니다.

제주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는 수송 부문에서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만큼 수송 부문의 탄소 중립은 미뤄선 안 될 과제인데요,

북유럽 스웨덴의 사례를 통해 제주의 탄소중립 방향을 짚어보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상용차와 건설장비의 전기화를 김가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웨덴 제2의 도시 예테보리.

상용차 기업 볼보의 본거지입니다.

볼보는 2040년까지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걸 목표로 전기 화물차를 잇따라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40톤 중량의 이 최신 모델은 배터리팩을 6개까지 달아 540kWh까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데, 2시간 반을 충전하면 약 300km 거리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모터와 변속기 같은 핵심 부품을 하나로 묶어 에너지와 배터리 공간 효율을 높인 겁니다.

[니클라스 발베르그/볼보 판매사업 개발자 : "오염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에 저희는 이 부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업용 차량의 동력 방식을 바꾸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건설 장비도 2톤에서 40톤까지 다양한 중량의 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소형 굴착기나 휠로더는 이미 상용화된 상탭니다.

100% 전기로 구동하는 중장비입니다.

전기로 구동하지만 기존 중장비와 똑같은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스웨덴은 2030년까지 상용차 절반을 탄소배출 없는 차량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다만 가격이 비싸고 상용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것은 과제입니다.

[니클라스 발베르그/볼보 판매사업 개발자 : "2040년까지 에너지 전환을 완수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물론 이를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 인프라 제공업체와의 많은 협력이 필요합니다."]

제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화물차와 건설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현재 보급하고 있는 1톤 전기화물차 수준을 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송 분야의 에너지 전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영상편집:고진현/그래픽:노승언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5년 KPF 디플로마 기후테크(전기화)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차 넘어 화물차에 중장비까지 전기화
    • 입력 2025-07-01 19:07:59
    • 수정2025-07-01 19:12:28
    뉴스7(제주)
[앵커]

이른 더위에 기후위기가 실감 나는 요즘입니다.

제주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는 수송 부문에서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만큼 수송 부문의 탄소 중립은 미뤄선 안 될 과제인데요,

북유럽 스웨덴의 사례를 통해 제주의 탄소중립 방향을 짚어보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상용차와 건설장비의 전기화를 김가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웨덴 제2의 도시 예테보리.

상용차 기업 볼보의 본거지입니다.

볼보는 2040년까지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걸 목표로 전기 화물차를 잇따라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40톤 중량의 이 최신 모델은 배터리팩을 6개까지 달아 540kWh까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데, 2시간 반을 충전하면 약 300km 거리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모터와 변속기 같은 핵심 부품을 하나로 묶어 에너지와 배터리 공간 효율을 높인 겁니다.

[니클라스 발베르그/볼보 판매사업 개발자 : "오염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에 저희는 이 부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업용 차량의 동력 방식을 바꾸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건설 장비도 2톤에서 40톤까지 다양한 중량의 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소형 굴착기나 휠로더는 이미 상용화된 상탭니다.

100% 전기로 구동하는 중장비입니다.

전기로 구동하지만 기존 중장비와 똑같은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스웨덴은 2030년까지 상용차 절반을 탄소배출 없는 차량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다만 가격이 비싸고 상용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것은 과제입니다.

[니클라스 발베르그/볼보 판매사업 개발자 : "2040년까지 에너지 전환을 완수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물론 이를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 인프라 제공업체와의 많은 협력이 필요합니다."]

제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화물차와 건설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현재 보급하고 있는 1톤 전기화물차 수준을 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송 분야의 에너지 전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영상편집:고진현/그래픽:노승언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5년 KPF 디플로마 기후테크(전기화)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