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남] 어획량 급감에 어업 포기·감척 신청 속출
입력 2025.07.01 (19:23)
수정 2025.07.01 (1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 변화로 해마다 어획량이 줄면서 전남의 바다에서 어업을 포기하는 어민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선을 처분하고 폐업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감척 사업'으로도 어민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허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한 선착장.
드나드는 어선은 없고 오랫동안 방치된 배들만 눈에 띕니다.
어업을 포기한 어민들이 방치한 뱁니다.
배 곳곳이 녹슬어 있고 갑판에는 잡초까지 자라고 있습니다.
어황 부진이 계속되자 중고 어선을 사려는 사람들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화수/목포 어민 : "배를 누가 안 사니깐 감척을 넣은 거야. (안 한다는 분들 많으세요?) 그런 배들 많지."]
실제로 목포의 주력 어종인 조기와 갈치 어획량은 2021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중고선 처분이 어려워지자 어민들은 폐업 지원금이라도 받기 위해 꾸준히 감척 사업의 문을 두드리지만 이 또한 쉽지 않습니다.
전남의 감척 신청 어민은 지난 2021년 78척에서 올해 194척으로 꾸준히 늘었지만 감척 대상은 43척에 불과합니다.
감척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어민 다섯 명 중 네 명은 적자를 보면서도 다시 바다로 나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지준/목포시 근해유자망협회 회장 : "거의 대부분 적자를 내고 있어요 선주들이. 적자 이렇게 나서는 사업을 못 하겠다고 배를 묶어 놓은 데도 있고."]
어민들은 감척 확대를 호소하지만 무분별한 감척은 어선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이렇게 가다가는 어선업이 아예 소멸되지 않을까. 우리 어선들이 한중공역수역 EEZ에 가서 조업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 나간 어선들이 다 없어져 버린다고 하면 중국이 EEZ를 다 차지하게 되잖아요."]
어업 현장에서는 선박 임대 사업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김영록 지사, 대통령실 찾아 ‘서남권 성장벨트’ 건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오늘(1) 대통령실을 찾아 '전남 서남권 인구 50만 에너지 혁신성장 벨트' 조성 방안을 건의했습니다.
무안·영암·해남·목포 등 4개 시군을 첨단산업과 신도시 인프라로 혁신해 인구 20만 명을 늘려 50만 규모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자는 내용입니다.
이에 김용범 정책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공감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해경정비창, 목포서 10월 가동 앞두고 업무 개시
오는 10월 본격 가동을 앞둔 해양경찰정비창이 오늘(1) 목포 허사도에서 공식 업무에 들어갔습니다.
안교진 초대 정비창장은 오늘 목포 노을공원에서 불법 중국어선 단속 중 순직한 고 박경조 경위 흉상에 참배하는 것으로 첫 공식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해경정비창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면 기존에 있던 부산정비창까지 관할하는 본원 역할을 하게되며, 그동안 해군에 위탁했던 1천 톤급 이상 대형 함정도 자체적으로 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생활인구 52만’ 신안군 “교부세, 섬 현실 반영해야”
주민의 14배가 넘는 52만여 명의 생활인구를 달성한 신안군이 정부의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섬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은 2026년부터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반영될 '생활인구' 지표가 섬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신안군은 단순 수치를 넘어 교통 여건 등 정성적인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선안을 마련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기후 변화로 해마다 어획량이 줄면서 전남의 바다에서 어업을 포기하는 어민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선을 처분하고 폐업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감척 사업'으로도 어민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허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한 선착장.
드나드는 어선은 없고 오랫동안 방치된 배들만 눈에 띕니다.
어업을 포기한 어민들이 방치한 뱁니다.
배 곳곳이 녹슬어 있고 갑판에는 잡초까지 자라고 있습니다.
어황 부진이 계속되자 중고 어선을 사려는 사람들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화수/목포 어민 : "배를 누가 안 사니깐 감척을 넣은 거야. (안 한다는 분들 많으세요?) 그런 배들 많지."]
실제로 목포의 주력 어종인 조기와 갈치 어획량은 2021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중고선 처분이 어려워지자 어민들은 폐업 지원금이라도 받기 위해 꾸준히 감척 사업의 문을 두드리지만 이 또한 쉽지 않습니다.
전남의 감척 신청 어민은 지난 2021년 78척에서 올해 194척으로 꾸준히 늘었지만 감척 대상은 43척에 불과합니다.
감척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어민 다섯 명 중 네 명은 적자를 보면서도 다시 바다로 나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지준/목포시 근해유자망협회 회장 : "거의 대부분 적자를 내고 있어요 선주들이. 적자 이렇게 나서는 사업을 못 하겠다고 배를 묶어 놓은 데도 있고."]
어민들은 감척 확대를 호소하지만 무분별한 감척은 어선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이렇게 가다가는 어선업이 아예 소멸되지 않을까. 우리 어선들이 한중공역수역 EEZ에 가서 조업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 나간 어선들이 다 없어져 버린다고 하면 중국이 EEZ를 다 차지하게 되잖아요."]
어업 현장에서는 선박 임대 사업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김영록 지사, 대통령실 찾아 ‘서남권 성장벨트’ 건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오늘(1) 대통령실을 찾아 '전남 서남권 인구 50만 에너지 혁신성장 벨트' 조성 방안을 건의했습니다.
무안·영암·해남·목포 등 4개 시군을 첨단산업과 신도시 인프라로 혁신해 인구 20만 명을 늘려 50만 규모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자는 내용입니다.
이에 김용범 정책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공감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해경정비창, 목포서 10월 가동 앞두고 업무 개시
오는 10월 본격 가동을 앞둔 해양경찰정비창이 오늘(1) 목포 허사도에서 공식 업무에 들어갔습니다.
안교진 초대 정비창장은 오늘 목포 노을공원에서 불법 중국어선 단속 중 순직한 고 박경조 경위 흉상에 참배하는 것으로 첫 공식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해경정비창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면 기존에 있던 부산정비창까지 관할하는 본원 역할을 하게되며, 그동안 해군에 위탁했던 1천 톤급 이상 대형 함정도 자체적으로 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생활인구 52만’ 신안군 “교부세, 섬 현실 반영해야”
주민의 14배가 넘는 52만여 명의 생활인구를 달성한 신안군이 정부의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섬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은 2026년부터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반영될 '생활인구' 지표가 섬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신안군은 단순 수치를 넘어 교통 여건 등 정성적인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선안을 마련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전남] 어획량 급감에 어업 포기·감척 신청 속출
-
- 입력 2025-07-01 19:23:51
- 수정2025-07-01 19:36:32

[앵커]
기후 변화로 해마다 어획량이 줄면서 전남의 바다에서 어업을 포기하는 어민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선을 처분하고 폐업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감척 사업'으로도 어민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허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한 선착장.
드나드는 어선은 없고 오랫동안 방치된 배들만 눈에 띕니다.
어업을 포기한 어민들이 방치한 뱁니다.
배 곳곳이 녹슬어 있고 갑판에는 잡초까지 자라고 있습니다.
어황 부진이 계속되자 중고 어선을 사려는 사람들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화수/목포 어민 : "배를 누가 안 사니깐 감척을 넣은 거야. (안 한다는 분들 많으세요?) 그런 배들 많지."]
실제로 목포의 주력 어종인 조기와 갈치 어획량은 2021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중고선 처분이 어려워지자 어민들은 폐업 지원금이라도 받기 위해 꾸준히 감척 사업의 문을 두드리지만 이 또한 쉽지 않습니다.
전남의 감척 신청 어민은 지난 2021년 78척에서 올해 194척으로 꾸준히 늘었지만 감척 대상은 43척에 불과합니다.
감척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어민 다섯 명 중 네 명은 적자를 보면서도 다시 바다로 나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지준/목포시 근해유자망협회 회장 : "거의 대부분 적자를 내고 있어요 선주들이. 적자 이렇게 나서는 사업을 못 하겠다고 배를 묶어 놓은 데도 있고."]
어민들은 감척 확대를 호소하지만 무분별한 감척은 어선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이렇게 가다가는 어선업이 아예 소멸되지 않을까. 우리 어선들이 한중공역수역 EEZ에 가서 조업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 나간 어선들이 다 없어져 버린다고 하면 중국이 EEZ를 다 차지하게 되잖아요."]
어업 현장에서는 선박 임대 사업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김영록 지사, 대통령실 찾아 ‘서남권 성장벨트’ 건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오늘(1) 대통령실을 찾아 '전남 서남권 인구 50만 에너지 혁신성장 벨트' 조성 방안을 건의했습니다.
무안·영암·해남·목포 등 4개 시군을 첨단산업과 신도시 인프라로 혁신해 인구 20만 명을 늘려 50만 규모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자는 내용입니다.
이에 김용범 정책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공감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해경정비창, 목포서 10월 가동 앞두고 업무 개시
오는 10월 본격 가동을 앞둔 해양경찰정비창이 오늘(1) 목포 허사도에서 공식 업무에 들어갔습니다.
안교진 초대 정비창장은 오늘 목포 노을공원에서 불법 중국어선 단속 중 순직한 고 박경조 경위 흉상에 참배하는 것으로 첫 공식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해경정비창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면 기존에 있던 부산정비창까지 관할하는 본원 역할을 하게되며, 그동안 해군에 위탁했던 1천 톤급 이상 대형 함정도 자체적으로 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생활인구 52만’ 신안군 “교부세, 섬 현실 반영해야”
주민의 14배가 넘는 52만여 명의 생활인구를 달성한 신안군이 정부의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섬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은 2026년부터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반영될 '생활인구' 지표가 섬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신안군은 단순 수치를 넘어 교통 여건 등 정성적인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선안을 마련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기후 변화로 해마다 어획량이 줄면서 전남의 바다에서 어업을 포기하는 어민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선을 처분하고 폐업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감척 사업'으로도 어민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허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한 선착장.
드나드는 어선은 없고 오랫동안 방치된 배들만 눈에 띕니다.
어업을 포기한 어민들이 방치한 뱁니다.
배 곳곳이 녹슬어 있고 갑판에는 잡초까지 자라고 있습니다.
어황 부진이 계속되자 중고 어선을 사려는 사람들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화수/목포 어민 : "배를 누가 안 사니깐 감척을 넣은 거야. (안 한다는 분들 많으세요?) 그런 배들 많지."]
실제로 목포의 주력 어종인 조기와 갈치 어획량은 2021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중고선 처분이 어려워지자 어민들은 폐업 지원금이라도 받기 위해 꾸준히 감척 사업의 문을 두드리지만 이 또한 쉽지 않습니다.
전남의 감척 신청 어민은 지난 2021년 78척에서 올해 194척으로 꾸준히 늘었지만 감척 대상은 43척에 불과합니다.
감척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어민 다섯 명 중 네 명은 적자를 보면서도 다시 바다로 나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지준/목포시 근해유자망협회 회장 : "거의 대부분 적자를 내고 있어요 선주들이. 적자 이렇게 나서는 사업을 못 하겠다고 배를 묶어 놓은 데도 있고."]
어민들은 감척 확대를 호소하지만 무분별한 감척은 어선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이렇게 가다가는 어선업이 아예 소멸되지 않을까. 우리 어선들이 한중공역수역 EEZ에 가서 조업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 나간 어선들이 다 없어져 버린다고 하면 중국이 EEZ를 다 차지하게 되잖아요."]
어업 현장에서는 선박 임대 사업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김영록 지사, 대통령실 찾아 ‘서남권 성장벨트’ 건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오늘(1) 대통령실을 찾아 '전남 서남권 인구 50만 에너지 혁신성장 벨트' 조성 방안을 건의했습니다.
무안·영암·해남·목포 등 4개 시군을 첨단산업과 신도시 인프라로 혁신해 인구 20만 명을 늘려 50만 규모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자는 내용입니다.
이에 김용범 정책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공감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해경정비창, 목포서 10월 가동 앞두고 업무 개시
오는 10월 본격 가동을 앞둔 해양경찰정비창이 오늘(1) 목포 허사도에서 공식 업무에 들어갔습니다.
안교진 초대 정비창장은 오늘 목포 노을공원에서 불법 중국어선 단속 중 순직한 고 박경조 경위 흉상에 참배하는 것으로 첫 공식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해경정비창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면 기존에 있던 부산정비창까지 관할하는 본원 역할을 하게되며, 그동안 해군에 위탁했던 1천 톤급 이상 대형 함정도 자체적으로 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생활인구 52만’ 신안군 “교부세, 섬 현실 반영해야”
주민의 14배가 넘는 52만여 명의 생활인구를 달성한 신안군이 정부의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섬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은 2026년부터 지방교부세 산정 기준에 반영될 '생활인구' 지표가 섬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신안군은 단순 수치를 넘어 교통 여건 등 정성적인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선안을 마련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