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민 토론회…“갈등 아닌 소통해야”
입력 2025.07.02 (19:18)
수정 2025.07.02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이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일지, '경남-부산 행정통합' 일지, 관심이 높습니다.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린 행정통합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정치권의 사심 없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647만 명에 지역 내 총생산이 250조 원을 넘는 경상남도와 부산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 초광역권을 형성해야 한다는 주장은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도민 의견을 반영해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도민 토론회가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우주항공과 방위산업 등 경남도의 제조업 분야와 부산시의 광역 교통망 구축이 수도권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전제 조건.
[윤창술/경상국립대학교 교수 : "우주항공도시가 사천 중심으로, 진주 중심으로 경남이 똘똘 뭉치고 움직이고 있잖아요. 충청도 블랙홀이 부산·경남 남북권의 광역권보다 더 빠르게 치고 나갔을 때는 더 불리해진다."]
자치입법권을 강화하는 등 통합자치단체가 지금의 광역자치단체보다 많은 권한과 높은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안권욱/지방분권 경남연대 대표 : "기존에 있던 광역 지방자치단체보다는 더 큰 권한을 가진 새로운 지방자치단체 종류를 만들어서 그 종류 내에 여러 가지 정책들을 담아야 한다."]
도민들은 지역 소멸 위기 앞에 지역 갈등을 앞세우기 보다는 꾸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도재율/양산시 덕계동 : "(경남·부산의) 행정통합이 언제쯤 결실을 볼 것인가? 흐지부지하게 중간에 의지를 꺾으면 안 된다."]
[박상인/김해시 삼방동 : "경남 하나보다는 부·울·경 합해가지고 좀 더 큰 틀에서 광역화해가지고, 또 중앙 정부의 권한도 많이 가져오고 지역의 발전이 있으면 좋지 않겠나."]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각각 3차례 시·도민 토론회를 열고 여론을 형성하고,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이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일지, '경남-부산 행정통합' 일지, 관심이 높습니다.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린 행정통합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정치권의 사심 없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647만 명에 지역 내 총생산이 250조 원을 넘는 경상남도와 부산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 초광역권을 형성해야 한다는 주장은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도민 의견을 반영해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도민 토론회가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우주항공과 방위산업 등 경남도의 제조업 분야와 부산시의 광역 교통망 구축이 수도권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전제 조건.
[윤창술/경상국립대학교 교수 : "우주항공도시가 사천 중심으로, 진주 중심으로 경남이 똘똘 뭉치고 움직이고 있잖아요. 충청도 블랙홀이 부산·경남 남북권의 광역권보다 더 빠르게 치고 나갔을 때는 더 불리해진다."]
자치입법권을 강화하는 등 통합자치단체가 지금의 광역자치단체보다 많은 권한과 높은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안권욱/지방분권 경남연대 대표 : "기존에 있던 광역 지방자치단체보다는 더 큰 권한을 가진 새로운 지방자치단체 종류를 만들어서 그 종류 내에 여러 가지 정책들을 담아야 한다."]
도민들은 지역 소멸 위기 앞에 지역 갈등을 앞세우기 보다는 꾸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도재율/양산시 덕계동 : "(경남·부산의) 행정통합이 언제쯤 결실을 볼 것인가? 흐지부지하게 중간에 의지를 꺾으면 안 된다."]
[박상인/김해시 삼방동 : "경남 하나보다는 부·울·경 합해가지고 좀 더 큰 틀에서 광역화해가지고, 또 중앙 정부의 권한도 많이 가져오고 지역의 발전이 있으면 좋지 않겠나."]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각각 3차례 시·도민 토론회를 열고 여론을 형성하고,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민 토론회…“갈등 아닌 소통해야”
-
- 입력 2025-07-02 19:18:29
- 수정2025-07-02 19:59:08

[앵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이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일지, '경남-부산 행정통합' 일지, 관심이 높습니다.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린 행정통합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정치권의 사심 없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647만 명에 지역 내 총생산이 250조 원을 넘는 경상남도와 부산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 초광역권을 형성해야 한다는 주장은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도민 의견을 반영해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도민 토론회가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우주항공과 방위산업 등 경남도의 제조업 분야와 부산시의 광역 교통망 구축이 수도권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전제 조건.
[윤창술/경상국립대학교 교수 : "우주항공도시가 사천 중심으로, 진주 중심으로 경남이 똘똘 뭉치고 움직이고 있잖아요. 충청도 블랙홀이 부산·경남 남북권의 광역권보다 더 빠르게 치고 나갔을 때는 더 불리해진다."]
자치입법권을 강화하는 등 통합자치단체가 지금의 광역자치단체보다 많은 권한과 높은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안권욱/지방분권 경남연대 대표 : "기존에 있던 광역 지방자치단체보다는 더 큰 권한을 가진 새로운 지방자치단체 종류를 만들어서 그 종류 내에 여러 가지 정책들을 담아야 한다."]
도민들은 지역 소멸 위기 앞에 지역 갈등을 앞세우기 보다는 꾸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도재율/양산시 덕계동 : "(경남·부산의) 행정통합이 언제쯤 결실을 볼 것인가? 흐지부지하게 중간에 의지를 꺾으면 안 된다."]
[박상인/김해시 삼방동 : "경남 하나보다는 부·울·경 합해가지고 좀 더 큰 틀에서 광역화해가지고, 또 중앙 정부의 권한도 많이 가져오고 지역의 발전이 있으면 좋지 않겠나."]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각각 3차례 시·도민 토론회를 열고 여론을 형성하고,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이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일지, '경남-부산 행정통합' 일지, 관심이 높습니다.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린 행정통합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정치권의 사심 없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647만 명에 지역 내 총생산이 250조 원을 넘는 경상남도와 부산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 초광역권을 형성해야 한다는 주장은 끊임없이 제기됐습니다.
도민 의견을 반영해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도민 토론회가 경남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우주항공과 방위산업 등 경남도의 제조업 분야와 부산시의 광역 교통망 구축이 수도권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전제 조건.
[윤창술/경상국립대학교 교수 : "우주항공도시가 사천 중심으로, 진주 중심으로 경남이 똘똘 뭉치고 움직이고 있잖아요. 충청도 블랙홀이 부산·경남 남북권의 광역권보다 더 빠르게 치고 나갔을 때는 더 불리해진다."]
자치입법권을 강화하는 등 통합자치단체가 지금의 광역자치단체보다 많은 권한과 높은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안권욱/지방분권 경남연대 대표 : "기존에 있던 광역 지방자치단체보다는 더 큰 권한을 가진 새로운 지방자치단체 종류를 만들어서 그 종류 내에 여러 가지 정책들을 담아야 한다."]
도민들은 지역 소멸 위기 앞에 지역 갈등을 앞세우기 보다는 꾸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도재율/양산시 덕계동 : "(경남·부산의) 행정통합이 언제쯤 결실을 볼 것인가? 흐지부지하게 중간에 의지를 꺾으면 안 된다."]
[박상인/김해시 삼방동 : "경남 하나보다는 부·울·경 합해가지고 좀 더 큰 틀에서 광역화해가지고, 또 중앙 정부의 권한도 많이 가져오고 지역의 발전이 있으면 좋지 않겠나."]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각각 3차례 시·도민 토론회를 열고 여론을 형성하고,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